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301794
한자 佛敎遺蹟-遺物
영어의미역 historic buddhist sites and relics
분야 종교/불교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강원도 강릉시
집필자 홍영호

[정의]

사찰이 있었던 터나 현재 전해지는 불교 관련 물건.

[개설]

강릉 지역의 불교 유적 가운데 지금까지 알려지고, 조사된 폐사지로는, 향호리사지(香湖里寺址)[주문진읍 향호2리 816], 삼교리사지(三橋里寺址)[신사동사지(新寺洞寺址), 주문진읍 삼교리 572], 삼산리사지(三山里寺址)[청학암(靑鶴菴), 연곡면 외동길 111[삼산2리 259]], 장덕리사지(長德里寺址)[원당사지(元堂寺址), 주문진읍 장덕리 1077], 행전동사지(杏田洞寺址)[주문진읍 삼교골길 99[삼교리 행전동 816]], 유등리사지(柳等里寺址)[백운사지(白雲寺址), 연곡면 유등리 백운동], 방내리사지(坊內里寺址)[방현사지(坊縣寺址), 연곡면 방내리 304번지], 보현사(普賢寺) 지장선원지(地藏禪院址)[성산면 보현길 396[보광리 산 544]], 관음리사지(觀音里寺址)[안곡사(安谷寺), 안국사(安國寺), 성산면 관음2리 774 안곡], 신복사지(神福寺址)[내곡동 403], 옥천동사지(玉川洞寺址)[옥천동 일대], 한송사지(寒松寺址)[문수사(文殊寺), 남항진동], 굴산사지(掘山寺址)[구정면 학산리 일대], 등명사지(燈明寺址)[강동면 정동진리 산 7-3], 낙풍리사지 정토암(樂豊里寺址 淨土菴)[옥계면 낙풍리 절골], 산계리사지 산계암(山溪里寺址 山溪菴)[옥계면 산계리 1232], 흑암사지(黑岩寺址)[구정면 창파동 절골], 방동리사지(方洞里寺址)[사천면 방동리 500번지], 인월사터[안현동 방해정 뒤] 등이 있다.

오대산(五臺山) 지역을 제외하고, 현재의 행정구역상 강릉 지역의 사찰 가운데 옛 문헌에 수록된 사찰을 살펴보면, 굴산사(掘山寺)[구정면 학산리 일대], 보현사(普賢寺)[지장사(地藏寺), 성산면 보현길 396[보광리 산 544번지]], 문수사(文殊寺)[한송사(寒松寺), 강릉시 남항진동], 신복사(神福寺)[강릉시 내곡동 403-2번지], 등명사(燈明寺)[현 등명낙가사(燈明洛伽寺), 강동면 정동진리 산 7-3], 안국사(安國寺)[안곡사(安谷寺), 강릉시 성산면 관음리 774], 산계암(山溪菴)[강릉시 옥계면 산계리 1232], 염양사(艶陽寺)[강릉 읍성 북쪽), 청학사(靑鶴寺)[연곡면 외동길 111[삼산2리 259]], 용연사(龍淵寺)[사천면 중앙서로 961[사기막리 용연동 821]], 칠성암(七星菴)[현 법왕사(法王寺), 강릉시 구정면 어단리 926], 정토암(淨土菴)[옥계면 낙풍리 절골] 등이 있다.

이밖에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강릉대도호부에서 도기소를 서술하면서 우계현(羽溪縣)[현 옥계면]에 마류사(瑪瑠寺)를 언급하였고,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고적조에 ‘동루가 용지사(龍池寺)에 있다’라고 하여 ‘용지사’라는 사찰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위 두 사찰 모두 더 이상의 문헌 사료에는 나오지 않고 있어 자세한 사적은 알 수 없다.

한편, 문헌 기록에 사찰명이 나타나지는 않으나, 현재 사찰이 존재하며, 유적·유물이 있어 역사성을 지닐 수 있는 사찰들로는 청송사(靑松寺)[연곡면 방내리 67], 송라사(松蘿寺)[연곡면 방내리 172], 백운사(白雲寺)[연곡면 유등리 백운동], 관음사(觀音寺)[강릉시 금학동 29번지] 등이 있다.

여기에 소개한 폐사지와 문헌에 수록된 사찰은 극소수를 제외하고는 그 위치가 확인되었으며, 문헌에 수록된 사찰과 폐사지간의 상호 관계도 어느 정도 파악이 가능하다.

근래에 들어오면서부터 최근까지 강릉 지역의 불교유적에 대한 발굴조사가 많이 이루어졌다. 우선 기록에 나타나지 않는 불교유적에 대한 발굴은 강릉시 성산면 보광리 무일동사지, 홍제동사지가 있다. 무일동사지와 홍제동사지는 탑지가 없고 건물과 출입시설이 마당을 둘러싸는 가람배치인 무탑식 산지중정형(無塔式 山地中庭形)이다. 무일동사지에서는 작은 금동불과 암막새, 해무리굽 청자 등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각종 유물이 출토되었다. 그러므로 11세기를 전후한 시기에 창건되어 17세기 무렵까지 존속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홍제동사지는 통일신라말기의 작은 금동불상이 출토되었고, 해무리굽 청자도 출토되었다. 수막새와 암막새가 출토되었으며, 고려청자와 분청사기가 주종을 이룬다. 신라말에 창건되어 임진왜란 이후에 폐사된 것으로 판단된다.

기록에 보이는 사찰들에 대한 발굴조사는 신복사지, 관음리사지[안국사지], 보현사, 굴산사지가 있다. 신복사지에서는 ‘신복사(神福寺)’명 기와가 출토되어 사찰의 이름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고, 해무리굽 청자, 귀목문 막새류 등이 출토되어 사찰의 존속 시기가 석탑 및 석불의 양식과 일치하는 고려시대 중심임을 알 수 있었다. 관음리사지[안국사, 안곡사]의 발굴 결과 ‘안국사(安國寺)’라는 명문 기와가 출토되어 이 사찰의 이름을 확정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영주 부석사의 ‘원융국사비문’에 의하면 명주[강릉] 출신인 원융국사 결응(決凝)[964~1053]이 말년에 고향에 안국사를 창건하였으며, 고려 문종이 ‘화엄안국사(華嚴安國寺)’라는 이름의 사액을 내려주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절터가 ‘화엄안국사’로 판단되고, 그 때문인지 안국사지를 발굴한 결과 금당 내부의 서쪽에 불상이 배치되어 있어 부석사 무량수전의 불상 배치 방식을 적용한 것으로 보인다.

강릉에서 가장 역사성이 있는 사찰 중의 하나인 보현사도 현재의 낭원대사오진탑비가 있는 동쪽을 발굴한 결과 건물지들이 조사되었고, 신라말~고려초의 금동풍탁 등이 출토되었다. 굴산사지는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에서 연차발굴[2010~2016]을 하면서 사역 내의 건물 배치와 공간 구성을 파악하였고, 귀부가 출토되어 탑비가 있었던 자리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출토 유물 가운데에는 기와골을 표현한 팔각의 부도 지붕돌[옥개석] 편과 팔각기단석도 출토되어 부도가 원래 2기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현재 범일국사의 부도라고 전해지는 하부에는 큰 석실이 만들어져 있어 초기 선승의 장례 방법을 연구하는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또한 ‘오대산 금강사(五臺山金剛社)’명 기와가 출토되어 『삼국유사』「탑상」편에 기록된 오대산 신앙결사가 실제 존재하였으며, 굴산사오대산 남대(南臺)의 신앙결사와 관련이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현황]

문화재로 지정된 강릉 지역의 불교 유적·유물들로는 방현사지(坊縣寺址) 3층석탑[방내리 3층석탑, 지방유형문화재 제36호(1971.12.16.), 연곡면 방내리 304], 한송사지(寒松寺址) 석불좌상[보물 제81호(1963.1.21.), 남항진동, 현재 강릉오죽헌박물관 내], 한송사지(寒松寺址) 석불좌상[국보 제124호(1967.6.21.), 남항진동, 현재 국립박물관 내], 강릉 귀부(龜趺)[문화재자료 제2호(1984.6.2.), 임당동 139번지, 현재 강릉오죽헌박물관 내], 석조여래입상(石造如來立像)[문화재자료 제3호(1984.6.2.), 옥천동, 현재 강릉오죽헌박물관 내], 옥천동 석탑재(玉川洞 石塔材)[문화재자료 제4호(1984.6.2.), 옥천동, 현재 강릉오죽헌박물관 내], 대창리 당간지주(大昌里 幢竿支柱)[보물 제82호(1963.1.21.), 옥천동 333-3], 수문리 당간지주(水門里 幢竿支柱)[보물 제83호(1963.1.21.), 옥천동 43-9], 낭원대사 오진탑(朗圓大師 悟眞塔)[보물 제191호(1963.1.21.), 성산면 보현길 396[보광리 산 544]], 낭원대사 오진탑비(朗圓大師 悟眞塔碑)[보물 제192호(1963.1.21.), 성산면 보현길 396[보광리 산 544]], 보현사 대웅전(普賢寺 大雄殿)[문화재자료 제37호(1984.6.2.), 성산면 보현길 396[보광리 산 544]], 보광리 석조여래좌상(普光里 石造如來坐像)[지방유형문화재 제111호(1992.6.10.), 성산면 삼왕길 139-98[보광리 산 400]], 관음리 안국사지(觀音里 安國寺址) 5층석탑[지방유형문화재 제112호(1992.6.10.), 성산면 관음리 774], 신복사지 석불좌상(神福寺址 石佛坐像)[보물 제84호(1963.1.21.), 내곡동 403], 신복사지(神福寺址) 3층석탑[보물 제87호(1963.1.21.), 내곡동 403], 굴산사지(掘山寺址)[지방기념물 제11호(1971.12.16.), 구정면 학산리 732], 굴산사지 석불좌상(掘山寺址 石佛坐像)[문화재자료 제38호(1984.6.2.), 구정면 학산리 603-1], 굴산사지 부도(掘山寺址 浮屠)[보물 제85호(1963.1.21.), 구정면 학산리 731], 굴산사지 당간지주(掘山寺址 幢竿支柱)[보물 제86호(1963.1.21.), 구정면 학산리 731], 등명사지(燈明寺址) 5층석탑[지방유형문화재 제37호(1971. 12.16), 강동면 정동진리 산 7-3], 산계리 산계사지(山溪里 山溪寺址) 3층석탑[문화재자료 제43호(1984.6.2.), 옥계면 산계리 1232], 송라사 석조약사여래좌상(松蘿寺 石造藥師如來坐像)[지방유형문화재 제129호(2001.12.29.), 연곡면 방내리 172], 청학사 소장 석조관음보살상 및 복장유물[유형문화재 146호(2007.1.19.), 구정면 청파로 176-38], 청학사 소장 청동불입상[문화재자료 142호(2007.1.19.), 구정면 청파로 176-38], 청학사 소장 청동보살입상[문화재자료 143호(2007.1.19.), 구정면 청파로 176-38], 청학사 소장 석불좌상·광배 및 중대석[문화재자료 152호(2011.8.12.), 구정면 청파로 176-38], 관음사 소장 목조관음보살좌상[유형문화재 149호(2007.11.23.), 신대학길 29], 관음사 소장 동종[유형문화재 150호(2007.11.23.), 신대학길 29], 보현사 석조아미타삼존불상과 복장유물[유형문화재 167호(2013.01.11.), 성산면 보현길 396], 보현사 목조보살좌상과 복장유물[유형문화재 173호(2015.03.06.), 성산면 보현길 396], 보현사 소조보살좌상[문화재자료 153호(2013.1.11.), 성산면 보현길 396], 용연사 석탑[문화재자료 139호(2006.7.28.), 사천면 중앙서로 961], 용연사 석조관음보살좌상[문화재자료 141호(2007.1.19.), 사천면 중앙서로 961] 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