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가모니(釋迦牟尼)를 교조(敎祖)로 하여 부처의 가르침을 신봉하는 종교. 옛날부터 강릉을 비롯한 영동 지역은 산세가 험하고 교통이 불편해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여러 분야에서 변방의 위치에 머물러 있었다. 다시 말해 영동 지역은 지정학적 특징으로 인해 한국사의 전개과정에서 특별한 주목을 받지 못했던 곳이었다. 그러나 한국불교사의 입장에서 살펴보면 이 지역의 의미는 크게 달라진다....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을 굳게 믿어 그 가르침을 지키고 따르는 신앙. 관세음보살은 광세음보살(光世音菩薩), 관세음자재보살(觀世音自在菩薩)이라고도 하며, 줄여서 관음보살(觀音菩薩)이라고 부른다. 대자대비(大慈大悲)를 상징하는 현세이익신앙의 대표적인 경배대상이다. 관세음보살은 인도 남쪽 해안의 보타락가산(補[寶]陀洛伽山)[梵語 Potalaka]에 거처하면서 온 누리에 자비의 빛을 발현...
문수보살을 굳게 믿어 그 가르침을 지키고 따르고자 하는 신앙. 『육십화엄경(六十華嚴經)』 「보살주처품(菩薩住處品)」에 “동북방의 청량산(淸凉山)에 문수보살(文殊菩薩)이 머무르면서 일만(一萬)의 권속(眷屬)을 거느리고 항상 설법(說法)한다.”라고 하였다. 그리하여 이 경전이 중국에서 번역된 418년 이후 문수신앙이 유포되기 시작하여 많은 사람들이 문수보살을 친견(親見)하고자 찾아와...
산악숭배와 문수신앙·밀교가 융합된 신앙. 중국의 산악신앙은 웅장하고 신비한 자태를 보여주는 산악에 신이 거주한다고 생각해 신성시 여긴 데에서 출발하였다. 그 뒤 중국에 불교가 전래된 후 산악을 여러 불보살(佛菩薩)의 본지(本地)나 시현(示顯)의 영험한 장소로 숭배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즉, 중국의 자연 위에 새로운 신앙형태인 중국적 산악불교가 일어났던 것이다. 그 중에서도 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