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귀찜은 아귀에 각종 채소와 고춧가루, 녹말물을 넣어 끓여낸 찜. 아귀는 아귀과에 속하고 흔히 아구라고 부르지만 표준말은 아귀이다. 아귀류는 세계에 270종 정도가 알려져 있으며 강릉 지역의 동해안에 분포하고 있다. 몸과 머리는 납작하며 특히 머리가 비대하고 입이 크며 양쪽에는 이빨이 나 있으며 아래턱과 머리의 배 쪽 테두리를 따라 수십 개의 수염 모양의 돌기가 나 있다. 몸길이는...
-
아귀찜은 아귀에 각종 채소와 고춧가루, 녹말물을 넣어 끓여낸 찜. 아귀는 아귀과에 속하고 흔히 아구라고 부르지만 표준말은 아귀이다. 아귀류는 세계에 270종 정도가 알려져 있으며 강릉 지역의 동해안에 분포하고 있다. 몸과 머리는 납작하며 특히 머리가 비대하고 입이 크며 양쪽에는 이빨이 나 있으며 아래턱과 머리의 배 쪽 테두리를 따라 수십 개의 수염 모양의 돌기가 나 있다. 몸길이는...
-
강릉에서 된장과 고추장을 푼 멸치 국물에 아귀, 콩나물, 무, 고춧가루, 쑥갓, 미나리, 파 등을 넣고 끓인 음식. 아귀를 흔히 아귀라고 부르는데 입이 크다 하여 붙은 이름이다. 비늘이 없이 피질돌기로 덮였는데, 등의 앞쪽에 촉수 모양의 가지가 있어 이것으로 작은 물고기를 꿰어서 잡아먹는다. 『자산어보(玆山魚譜)』에 ‘조사어(釣絲魚), 속명 아귀어(餓口魚)’라는 이름으로...
-
강릉에서 된장과 고추장을 푼 멸치 국물에 아귀, 콩나물, 무, 고춧가루, 쑥갓, 미나리, 파 등을 넣고 끓인 음식. 아귀를 흔히 아귀라고 부르는데 입이 크다 하여 붙은 이름이다. 비늘이 없이 피질돌기로 덮였는데, 등의 앞쪽에 촉수 모양의 가지가 있어 이것으로 작은 물고기를 꿰어서 잡아먹는다. 『자산어보(玆山魚譜)』에 ‘조사어(釣絲魚), 속명 아귀어(餓口魚)’라는 이름으로...
-
강릉의 아귀회는 아귀를 저며 썰어 회로 만든 음식. 아귀는 아귀과에 속하고 흔히 아구라고 부르지만 표준말은 아귀이다. 아귀는 몸과 머리는 납작하며 특히 머리가 비대하고 입이 크며 양쪽에는 이빨이 나 있으며 아래턱과 머리의 배 쪽 테두리를 따라 수십 개의 수염 모양의 돌기가 나 있다. 몸길이는 약 100㎝이며 수심 55~150m에서 주로 서식한다. 주로 어류와 오징어류 등...
-
강릉의 아귀회는 아귀를 저며 썰어 회로 만든 음식. 아귀는 아귀과에 속하고 흔히 아구라고 부르지만 표준말은 아귀이다. 아귀는 몸과 머리는 납작하며 특히 머리가 비대하고 입이 크며 양쪽에는 이빨이 나 있으며 아래턱과 머리의 배 쪽 테두리를 따라 수십 개의 수염 모양의 돌기가 나 있다. 몸길이는 약 100㎝이며 수심 55~150m에서 주로 서식한다. 주로 어류와 오징어류 등...
-
겨드랑이에 날개가 달린 아기장수가 태어나자마자 부모에 의해 죽임을 당한 전설. 초인적인 힘을 지닌 아기가 태어나지만 가족에게 근심과 불안을 주게 되어 끝내 승화되지 못한 채 희생되고 만다는 전설이다. 새로운 생명의 탄생은 축복을 받아야 할 일이지만 아기장수의 탄생은 숙명적인 비극을 내포하고 있다. 그 숙명적인 비극이란 평범한 서민의 가정에서 비범한 재능을 가지고 태어났다는 것은 불...
-
아귀찜은 아귀에 각종 채소와 고춧가루, 녹말물을 넣어 끓여낸 찜. 아귀는 아귀과에 속하고 흔히 아구라고 부르지만 표준말은 아귀이다. 아귀류는 세계에 270종 정도가 알려져 있으며 강릉 지역의 동해안에 분포하고 있다. 몸과 머리는 납작하며 특히 머리가 비대하고 입이 크며 양쪽에는 이빨이 나 있으며 아래턱과 머리의 배 쪽 테두리를 따라 수십 개의 수염 모양의 돌기가 나 있다. 몸길이는...
-
강릉의 아귀회는 아귀를 저며 썰어 회로 만든 음식. 아귀는 아귀과에 속하고 흔히 아구라고 부르지만 표준말은 아귀이다. 아귀는 몸과 머리는 납작하며 특히 머리가 비대하고 입이 크며 양쪽에는 이빨이 나 있으며 아래턱과 머리의 배 쪽 테두리를 따라 수십 개의 수염 모양의 돌기가 나 있다. 몸길이는 약 100㎝이며 수심 55~150m에서 주로 서식한다. 주로 어류와 오징어류 등...
-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읍 주문리 소돌마을 바닷가인 죽도를 중심으로 조성되어 있는 공원. 아들바위는 죽도바위라고도 하며, 쥬라기 시대인 일억 오천만년 전에 지각변동으로 인하여 지상에 솟은 바위이다. 죽도바위는 코끼리처럼 생겼다하여 코끼리바위, 소원을 빌면 이루어진다고 하여 소원바위라고도 하며, 자식을 원하는 사람이 기도하여 아들을 낳았다는 전설이 있어 아들바위로...
-
강릉 출신의 작가 이순원의 자전적 장편 소설. 「아들과 함께 걷는 길」은 작가의 자전적 경험을 바탕에 두고 있는데, 『수색, 그 물빛 무늬』[1997] 출간 직후, 심란했던 심리적 정황을 배경으로 13살인 맏아들 '상우'와 함께 대관령 길을 걸으며 나눈 진솔한 지혜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1996년 도서출판 해냄에서 처음 출간된 뒤, 2002년 동 출판사에서...
-
강원도 강릉시 사천면 석교2리 구라미천 중류에 위치한 마을. 사천면 석교2리 마을 전체의 이름을 구라미, 굴암(窟巖)이라고 부른다. 이를 다시 상구라미 또는 사이구라미 등으로 나누어 부른다. 마을 뒤 연곡면 동덕리 쪽에서 남서쪽으로 뻗어 내린 산줄기가 구라미천을 막게 되자 그 산줄기 밑으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굴이 있었는데, 이를 통해 굴 안에서 물이 흘러나...
-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송림리에 있는 마을. 옛날 연곡천 변에 해당화, 찔레 등 가시덩굴이 많이 자라서 ‘초시(草柴)’라고 이름 하였고, 위치에 따라 윗초시와 아랫초시로 나눈다. 아랫초시는 소나무가 천변 근처에 많이 있고 하천에 맑은 물과 모래가 있어 여름철 많은 사람들이 휴가지로 찾아오는 곳이다. 특히 영동고속도로의 연곡천 교량 밑은 더위와 비를 피하는 피서객...
-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삼산리 청학동 소금강 지역에 있는 고대 산성. 금강산성은 해발 714m의 소금강산을 정점으로 하여 노인봉(老人峰) 쪽으로 피동 부근의 남쪽에 위치한 산성이다. 성이 위치한 이 지역은 1970년 11월 18일 명승 제1호로, 1975년 2월 1일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청학동 소금강’ 지역으로 금강산성은 1984년 6월 2일 강원도 문화재자료...
-
강원도 강릉시 사천면 방동리에 있는 의료 기관. 강릉 아산 병원[구 아산 재단 강릉 병원]은 1996년에 아산 사회 복지 재단의 고 정주영 이사장이 당시 의료의 사각 지대와 다름없던 영동 지역의 불우한 이웃과 함께 하기 위해 강원도 강릉시에 개원하였다. ‘우리 사회의 가장 불우한 이웃을 돕는다.’는 정주영 회장의 설립 취지에 따라 병원 본연의 업무뿐만 아니라...
-
정보기술과 관련된 산업전반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용어. 정보기술산업이란 정보를 가공하고 처리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생활의 편리함을 주는 모든 산업을 통칭한다. 강릉 지역에서 정보산업은 대학교육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강릉대학교에 처음으로 1988년에 전자계산학과가 신설되었고, 1990년에는 반도체공학과가 신설되었다. 오늘날 대학원의 석·박사 과정을 갖춘...
-
강릉 출신 시인 김유진의 시. 1952~1953년, 강릉 현대 시단의 출발이라 할 수 있는 '청포도' 동인으로 활동한 시인 김유진(金有振)[1926~1987]의 대표작 중 하나로, 1999년 시비로 제작되어 경포 호숫가에 세워졌다. 1985년 강원일보사 출판부에서 펴낸 시집 『산계리』에 수록되었다. 「아침에」는 연 구분 없이 총12행으로 이루어졌다. 3~7행은...
-
아귀찜은 아귀에 각종 채소와 고춧가루, 녹말물을 넣어 끓여낸 찜. 아귀는 아귀과에 속하고 흔히 아구라고 부르지만 표준말은 아귀이다. 아귀류는 세계에 270종 정도가 알려져 있으며 강릉 지역의 동해안에 분포하고 있다. 몸과 머리는 납작하며 특히 머리가 비대하고 입이 크며 양쪽에는 이빨이 나 있으며 아래턱과 머리의 배 쪽 테두리를 따라 수십 개의 수염 모양의 돌기가 나 있다. 몸길이는...
-
강릉의 아귀회는 아귀를 저며 썰어 회로 만든 음식. 아귀는 아귀과에 속하고 흔히 아구라고 부르지만 표준말은 아귀이다. 아귀는 몸과 머리는 납작하며 특히 머리가 비대하고 입이 크며 양쪽에는 이빨이 나 있으며 아래턱과 머리의 배 쪽 테두리를 따라 수십 개의 수염 모양의 돌기가 나 있다. 몸길이는 약 100㎝이며 수심 55~150m에서 주로 서식한다. 주로 어류와 오징어류 등...
-
아귀찜은 아귀에 각종 채소와 고춧가루, 녹말물을 넣어 끓여낸 찜. 아귀는 아귀과에 속하고 흔히 아구라고 부르지만 표준말은 아귀이다. 아귀류는 세계에 270종 정도가 알려져 있으며 강릉 지역의 동해안에 분포하고 있다. 몸과 머리는 납작하며 특히 머리가 비대하고 입이 크며 양쪽에는 이빨이 나 있으며 아래턱과 머리의 배 쪽 테두리를 따라 수십 개의 수염 모양의 돌기가 나 있다. 몸길이는...
-
강릉의 아귀회는 아귀를 저며 썰어 회로 만든 음식. 아귀는 아귀과에 속하고 흔히 아구라고 부르지만 표준말은 아귀이다. 아귀는 몸과 머리는 납작하며 특히 머리가 비대하고 입이 크며 양쪽에는 이빨이 나 있으며 아래턱과 머리의 배 쪽 테두리를 따라 수십 개의 수염 모양의 돌기가 나 있다. 몸길이는 약 100㎝이며 수심 55~150m에서 주로 서식한다. 주로 어류와 오징어류 등...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양천. 자는 공언(功彦), 호는 악록(岳麓)·산전(山前).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허엽(許曄)의 아들이고 허봉(許篈)과 허균(許筠)의 형이며, 허난설헌(許蘭說軒)의 오빠이다. 1568년(선조 1)에 생원이 되고, 1583년에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590년 전적(典籍)으로서 통신사(通信使)의 종사관이 되어 정사 황윤길(黃允吉), 부사 김성일...
-
감리교회 담임목사로 강원도 강릉 지역의 3·1만세운동 핵심 주동인물. 한학(漢學)을 4~5년간 수학하고 숭실학교[4년]를 다녔으며, 감리교 신학교를 1회로 졸업(1911)하였다. 1911년 신학교를 졸업한 후에 평양에서 전도사로 목회하였고, 1913년부터 원주 지방 순행 전도사로 영월에서 조상옥, 신성희와 목회하였다. 1914년에는 강릉, 삼척을 담임 시무하였으며 191...
-
강원도 강릉시 안현동에 있는 고개. 안고개[雁峴]는 난곡동에 있는 된봉[천제봉]에서 북쪽으로 뻗어 내린 산 능선이 여러 줄기인데, 그 능선 가운데 ‘기러기가 평평한 모래에 내려앉는 형상’으로 된 평사낙안형(平沙落雁形)이 있어 안고개란 이름이 생겼다. 안고개 가운데로는 안현천이 흐르고, 내 양쪽으로 산줄기가 길게 이어졌다. 안고개는 저동 모...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관음리에 있는 마을. 안곡(安谷)은 예전에 마을에 안국사란 절이 있어 그 이름을 따서 안국이라 하다가, 나중에 마을 이름에 ‘국(國)’자가 들어가면 안 된다고 하여 ‘국’자를 ‘곡’(谷)자로 바꾸었다고 한다. 안곡은 안동권씨들이 들어와 살면서 마을이 형성되었다. 안곡 입구에는 망월봉에서 내려온 조강재가 있고, 이 재를...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관음리에 위치한 사지(寺址).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 「사찰조」에 ‘안곡사재성산면안곡동 년대미상 당우소실 단석탑고오척삼촌폭삼척 전면각불상석 비고이척 지장존석조잔류 금폐(安谷寺在城山面安谷洞 年代未詳 堂宇燒失 但石塔高五尺三寸幅三尺 全面刻佛像石 碑高二尺 地藏尊石造殘留 今廢)’라는 기록과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朝鮮寶物古蹟調査資料)』...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관음리의 안국사지에 있는 석불대좌. 안국사지 석불대좌는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관음리 774에 위치한 안국사지 내에 있는 안국사지 5층석탑의 좌측 부근에 인접해 있다. 불상이 올려져 있던 대좌로서 고려시대의 유물로 추정된다. 남북이 긴 장방형의 개석(180×127㎝)은 하부에 2단의 몰딩이 있고, 면석(131×69㎝)은 사면에 조식되어 있다...
-
강릉시 교동에 있는 안동김씨 3대와 그들의 아내 2명의 효열을 기리기 위해 세운 효열각. 안동김씨 삼세삼효이열지려(安東金氏 三世三孝二烈之閭)는 안동김씨 김몽상(金夢相)의 효자비와 그의 처 강릉김씨의 열녀비, 김몽상의 아들 김석진(金錫晋)의 효자비와 그의 처 강릉최씨의 열녀비, 김석진의 아들 김구(金坵)의 효자비가 있는 효열각(孝烈閣)이다. 김몽상은...
-
안동김씨 김몽상(金夢相), 김몽상의 처 강릉김씨, 김석진(金錫晋), 김석진 처 강릉최씨, 김구(金坵) 등 삼세삼효이열(三世三孝二烈)의 효열 행적을 기록한 정려 기문. 「안동김씨 삼효이녀려기(安東金氏三孝二女閭記)」는 강릉시 교2동 "안동김씨 삼세삼효이열지각(三世三孝二烈之閣)" 안에 있다. 제목은 '효열각 행적기(孝烈閣行蹟記)'이다. 이 효열각 행적기는 1807년...
-
강원도 강릉에 본관을 둔 성씨. 안동권씨의 시조는 권행(權幸)인데 신라 때에는 김씨였다. 본래 신라에 속하였고, 뒤에 후백제(後百濟)의 지배하에 있던 고창(古昌)[안동]의 수령(守令)으로 있다가 견훤(甄萱)이 신라 경애왕(敬哀王)을 자살하게 한 데 대해 분개하던 중 고려가 고창에서 후백제군을 무찌르는 데 가담하여 공을 세웠다. 왕건이 그 공적을 인정하여 권씨...
-
강릉에 거주하는 안동권씨의 종친회. 숭조이념의 확립, 애족사상의 고취, 후학계도의 기여, 사회윤리의 배양을 종시(宗是)로 세워 종족간의 친목과 화합을 목적으로 한다. 강릉 입향 시조의 제의 봉사, 족보편찬, 족인들의 화합모색 등을 주요사업으로 하고 있다. 연건평 400여 평의 대종회사무실을 운영하고 있다. 회장 1인, 부회장 2인, 감사 2인, 운영위원 20인...
-
안동권씨의 효자비와 열녀비가 보존된 비각. 열녀비 2기, 효자비 1기, 열녀 명정판(命旌版) 1개를 보존하고 있는 비각이다. 열녀비 2기는 임진왜란을 겪는 동안 정절을 지킨 권처평(權處平)의 처 강릉최씨와 권처진(權處眞)의 처 강릉김씨의 열녀비이다. 효자비 1기는 권처평의 아들로서 자결한 어머니의 시신을 거두어 장사지내고 죽으로 연명하면서 3년 동안 시묘살이를 한 권덕유...
-
강원도 강릉에 본관을 둔 성씨. 안동김씨 시조에 대해서는 신라 경순왕의 손자인 김숙승(金叔承)이라는 설, 김숙승의 손자인 김이청(金利淸)이라는 설 등이 있다. 그러나 『안동김씨 세보』에는 김이청의 증손이며 고려조 명장인 김방경(金方慶)을 중시조로 삼고 있다. 강릉 입향시조는 김방경의 9세손인 김기(金沂)이다. 김기의 자는 영이(詠而)이고 조선 개국...
-
안동김씨 김몽상(金夢相), 김몽상의 처 강릉김씨, 김석진(金錫晋), 김석진 처 강릉최씨, 김구(金坵) 등 삼세삼효이열지려각(三世三孝二烈之閭閣)의 중수 사실을 적은 기문. 「안동김씨효열각중수기(安東金氏孝烈閣重修記)」는 강릉시 교2동 안동김씨 삼세삼효이열지각(三世三孝二烈之閣) 안에 있다. 「안동김씨효열각중수기」는 1941년 8세손 김재남(金在南)이 짓고, 김재익(...
-
강원도 강릉시 노암동에 있는 마을. 안땔[內月]은 진재등에서 동쪽으로 뻗어 내린 산줄기들이 반달 같이 생겼는데, 마을이 반달 안쪽에 있어서 반달 형상의 안쪽에 마을이 있다고 하여 안달(內月)이 되었다가 뒤에 안땔로 되었다. 안땔골은 노암동 옛 공설운동장 안쪽에 있는 큰 골로 앞에는 남대천이 흐르고, 양쪽으로는 댕댕이굼과 진재등 줄기에 감싸여 있다....
-
강원도 강릉시 노암동에 있는 마을 수호신인 서낭을 모셔 놓은 당. 강릉시 노암동 안땔골에는 한 개의 서낭당이 있다. 안땔골 서낭당은 강릉시 노암동 안땔골에 위치해 있다. 안땔골 서낭당의 당집은 안땔골 야산의 서낭목 사이에 있으며 벽돌로 쌓고 슬레이트지붕을 얹었다. 안땔골의 제의는 고청제(告請祭)라고 하며 산신지신(山神之神)·토지...
-
강원도 강릉시 남대천 하구 송정과 견소동 사이에 있는 넓은 들. 앞목[前州, 全州, 南項]은 송정마을 앞에 있는 길목이어서 생긴 이름이다. 앞목은 예전에 마을 앞 남대천 건너 남쪽에 한송정, 한송사가 있었는데, 그 곳으로 가는 길목이어서 생긴 이름이다. 앞목을 한자로 전주(前州)라 하는데, 지금은 전주(前州)와 음이 같은 전주(全州)로 쓰고 있다....
-
강릉시 송정동 남대천 하구의 바다와 연접해 있는 어촌. 안목마을은 원래 견조(見潮)라고 했다. 그런데 안목마을 앞의 견조봉(堅造峰)에 올라가 남대천에서 흘러온 물이 바다로 빠지는 것을 보면 물살이 흐르는 모습을 볼 수 있다고 하여 견소(見召)가 되었다. 『대동여지도』에는 ‘견조’로 표시되어 있다. 견조봉은 원래 육지와 약간의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는 작은 섬이...
-
강원도 강릉시 견소동에 있는 마을. 견소(堅召)는 마을 앞에 있는 젠주봉[죽도봉]에 올라가 남대천에서 흘러온 물이 바다로 빠지는 것을 보면 “물살이 흐르는 모습을 볼 수 있다”하여 ‘견조(見潮)’라 불리다가 일본인들이 견조를 발음하기 쉬운 ‘견소’로 부른 데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견소진리는 안목(安木)이라고도 하는데, 당시 주변지역에서 벌채한 나무를...
-
강원도 강릉시 송정동 안목 해변 부근에 있는 항구. 2008년 5월 강릉항으로 개칭되기 전까지는 ‘안목항’으로 불리웠는데 ‘안목’은 원래 마을 앞에 있는 길목이라는 뜻으로 ‘앞목’이었으나 일제강점기 때 일본인들이 ‘앞목’의 발음이 어려워 ‘안목’으로 고쳐 부른 것이라고 한다. 강릉시 송정동 안목해수욕장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교통은 승용차로 강릉인터체인지에서...
-
떡을 칠 때 쓰는 나무판. 떡판 또는 병안(餠案)이라고도 한다. 통나무 가운데를 우묵하게 파내어 떡밥을 넣고 떡메로 치게 되어있는 형태이다. 떡메는 통나무에 긴 자루가 달려있다. 두텁고 넓은 통나무판을 반반하게 다듬어서 다리를 붙이거나 제물에 다리가 달리도록 깎아 만든다. 조선시대의 가정에는 안반과 떡메가 상비되어 있었다. 그러나 기계식 떡방아가 등장하면서 가정에서 안반에 떡을 치...
-
강원도 강릉시 왕산면 대기4리에 있는 마을. ‘안반데기’라는 마을이름은 떡매로 떡쌀을 칠 때 밑에 받치는 안반처럼 평평하게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한국전쟁 후 미국의 원조양곡을 지원 받아 개간이 시작되어 1965년을 전후한 시기에 고루포기 능선에 새로 개척된 마을로서 1995년 주민들이 개간된 농지를 불하 받으면서 완전히 정착하였다. 고루포기산[123...
-
강원도 강릉시 왕산면 대기4리에 있는 마을. ‘안반데기’라는 마을이름은 떡매로 떡쌀을 칠 때 밑에 받치는 안반처럼 평평하게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한국전쟁 후 미국의 원조양곡을 지원 받아 개간이 시작되어 1965년을 전후한 시기에 고루포기 능선에 새로 개척된 마을로서 1995년 주민들이 개간된 농지를 불하 받으면서 완전히 정착하였다. 고루포기산[123...
-
강릉시에서 1997년 개설한 강릉 해안선 남부 지역의 등산로. 1997년에 강릉시가 강릉시청 산악회를 중심으로 남부지역에 새로 개발한 해안선을 끼고 오르는 등산로이다. 1996년 9월 18일 강릉 동해바다 안인진 포구 남방 1.5㎞ 지점에 북한 잠수함이 야간 침투하였다. 당시 잠수함의 스크루가 갯바위에 걸려 빠져나가지 못하자 공비들과 잠수함 근무조가 근처 산등성이로 도주...
-
비범한 능력을 가진 안선달(安先達)이 위험에 처한 사람들을 구해주었다는 전설. 안선달은 설화 속에서 일반인과는 다른 비범함, 예컨대 무술에 능할 뿐 아니라 힘도 센 인물로 등장한다. 큰 자연재해 앞에 속수무책인 일반 사람들과는 달리 비범한 능력을 발휘해 사람들을 구했다는 안선달의 영웅성을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그 영웅성은 민요의 노랫말로도 전해지고 있다. 옛날 강원도 명주군[지금...
-
조선시대 강릉의 효자. 80세 때 집안사람 모두가 염병에 걸렸다. 그때 그의 아버지 안운(安雲)이 거의 죽게 되었는데, 자신의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흘려 넣어 아버지의 병을 낫게 하였다....
-
노암동천주교회 관할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안인리에 위치한 공소. 1969년 4월경 강릉에서 8㎞ 떨어진 해안과 인접된 안인진 201-2번지 외 4필지 1,500평의 대지에 벽돌 슬라브조 160.68m²의 건물이 신축되었다. 옥천동본당 관할에 속해 있었으나 축성식 이후 노암동본당 관할로 이관되었다. 해안과 인접한 지역적 특수성으로 매년 12,000여 명의 피서객...
-
강릉시에서 1997년 개설한 강릉 해안선 남부 지역의 등산로. 1997년에 강릉시가 강릉시청 산악회를 중심으로 남부지역에 새로 개발한 해안선을 끼고 오르는 등산로이다. 1996년 9월 18일 강릉 동해바다 안인진 포구 남방 1.5㎞ 지점에 북한 잠수함이 야간 침투하였다. 당시 잠수함의 스크루가 갯바위에 걸려 빠져나가지 못하자 공비들과 잠수함 근무조가 근처 산등성이로 도주...
-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안인일출길 50[안인진리 13-17번지]에 있는 생선회 및 매운탕을 전문으로 하는 전문 음식점. ‘안인리에서 제일 맛있는 횟집’이라는 뜻을 담아 상호를 짓게 되었다. 1988년 안인 바닷가 옆에서 김정숙이 개업하였다. 1998년 현재 식당의 인근에 3층으로 신축하여 이전 개업 후 2005년 현 위치로 다시 이전하여 운영하고 있다. 건평이 50평인 1...
-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안인진리에 위치한 해변. 1976년 7월 1일에 개장되었다. 해빈의 길이 800m, 폭 25m, 면적 13,000㎡으로 모래 질은 양호하며 수질은 청결하다. 기반 시설과 편의 시설은 피서객의 이용에 매우 미흡하며 인근의 등명 해변의 개발로 지명도가 다소 떨어지는 지역이다. 안인해변은 다른 동해안의 해변과는 달리 백사장의 규모가 크지 않고...
-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에 있는 행정리. 안인리는 칠사당을 중심으로 정동쪽에 있는데, 강릉의 동쪽이 편안하다는 뜻으로 ‘안인’이라 한 데서 유래한다. 인(仁)은 방위상 동(東)을 뜻하는데, 서울의 동대문을 흥인지문이라 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안인리는 원래 강릉군 자가곡면 지역이었는데, 1916년 행정 구역 변경 때 염전리, 큰말, 솔밭말, 지섯거리,...
-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안인리 주거지에서 출토된 철기시대 토기. 경질무문토기(硬質無文土器)는 철기시대 토기 중의 하나로 일반적인 무문토기, 즉 청동기시대의 무문토기[민무늬토기]보다 그 경도가 단단하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명칭이다. 풍납리 토성에서 처음 발견되어 ‘풍납리식무문토기(風衲里式無文土器)’라 불렸는데, 김해식토기(金海式土器)의 영향을 받아서 가마가 개량되어 제작된 토...
-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안인리 주거지에서 출토된 철기시대 토기. 경질무문토기(硬質無文土器)는 철기시대 토기 중의 하나로 일반적인 무문토기, 즉 청동기시대의 무문토기[민무늬토기]보다 그 경도가 단단하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명칭이다. 풍납리 토성에서 처음 발견되어 ‘풍납리식무문토기(風衲里式無文土器)’라 불렸는데, 김해식토기(金海式土器)의 영향을 받아서 가마가 개량되어 제작된 토...
-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안인리 주거지에서 출토된 철기시대 토기. 경질무문토기(硬質無文土器)는 철기시대 토기 중의 하나로 일반적인 무문토기, 즉 청동기시대의 무문토기[민무늬토기]보다 그 경도가 단단하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명칭이다. 풍납리 토성에서 처음 발견되어 ‘풍납리식무문토기(風衲里式無文土器)’라 불렸는데, 김해식토기(金海式土器)의 영향을 받아서 가마가 개량되어 제작된 토...
-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안인리에 있는 신라시대의 고분군. 안인리 송촌 고분군은 강릉시에서 안인리로 향하는 7번국도를 따라가다 군선강 다리 건너 바로 우측의 구릉 하단부에 위치한다. 이 고분군은 강릉시에서 승마장 건설 시에 처음 발견되었으며, 공사 당시 고분군은 공사구역에서 제외시켜 보존하였다. 주변으로는 고분의 축조 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냇돌들이 확인되...
-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안인리에 있는 철기시대 주거유적. 안인리 유적은 행정구역상으로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안인리 산 16-2번지 일대에 위치한다. 유적은 강릉 시내에서 7번국도를 따라 동남쪽으로 약 16㎞정도 가다보면 좌측으로 영동화력발전소가 위치하고 이 화력발전소 북쪽에 안인리 유적이 위치하고 있다. 이 유적은 동해 바다와는 약 300m쯤 떨어져 있고 하시동...
-
1996년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안인진리 지역으로 잠수함을 이용해 침투한 북한군 무장공비 토벌사건. 북한의 무장공비를 승선시킨 잠수함이 1996년 9월 15일 19시에 강릉 앞바다에 도착하여 공작원을 상륙시켰다. 그 후 1996년 9월 16일 20시 30분, 전날 침투시킨 공작원을 복귀시키기 위하여 안인진리 해안에 정선을 시도하였으나 실패하고 1996년 9월 17일 2차...
-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해안에 있는 법정리. 안인진리는 마을 이름에서 볼 수 있듯이 안인에 있는 진(津)으로 이루어진 마을이다. 여기서 진이란 바다와 접한 항구를 지칭한다. 그러므로 안인진은 바닷가에 입지한 마을임을 알 수 있다. 안인진리는 군선강 하구에 있는 마을이다. 마을 앞엔 봉화를 올리던 해령산이 있다. 해령산 중턱에 해령사와 해랑당이 있고 동쪽 밑 바닷...
-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안인진리 해랑당(海娘堂)의 주신(主神)인 해랑에게 마을의 풍어를 비는 당제(堂祭). 강원도 영동지방 해안에는 해신(海神)을 모신 해랑신격의 관련신화가 전하는데 이들 신격을 해랑(海娘)이라 부른다. 강릉시 강동면 안인진리 해령산 정상에도 해랑당이 있다. 해랑당에는 관기(官妓)와 연계된 신화가 있다. 즉, 강릉부사의 관기가 바다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