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강릉시 성산면 위촌리에 있으며, 마을 제일 안쪽 골에 있는 골아우에 와우형(소가 누워있는 형상)의 묘자리에서 소가 나왔다고 하여 우출(牛出)이라고도 하는 자연마을. 위촌리는 원래 강릉군 성산면 지역으로, 일제강점기인 1916년에 골아우, 새잇말, 새잇말, 송두골, 항생골, 지암골을 합쳐 위촌리(渭村里)라 했다. 위촌이란 지금부터 약 450여 년 전에 경상북도...
-
위촌리에는 유서 깊은 몇몇 집안이 대대로 살아오고 있는데, 이들 세거성씨를 알아본다. 먼저 강릉 김씨[위촌파]를 들 수 있는데, 강릉 김씨 위촌파는 매월당 김시습의 양자로 입적된 김덕양의 아들 김준현이 파조가 된다. 김덕양은 김시습의 고조인 김한신의 아우 김한경의 5세손이다. 현재 마을에는 김준현의 15세 종손인 김덕래[73살] 씨가 살고 있다. 강릉 최씨 비...
-
위촌리는 예로부터 경치가 좋아서 위촌8경의 명소가 꼽혀서 칭송되어왔다. 위촌8경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옛 8경과 새 8경으로 나뉜다. 옛 8경은 가령낙조(駕嶺落照-마을 뒤 높이 솟은 멍애재에 비치는 저녁놀의 모습), 옥천비폭(玉泉飛瀑-골아우에서 흘러온 물이 옥천으로 떨어지는 물줄기의 날리는 모습), 휴암상하(鵂岩賞花-봄철 마을 뒤에 있는 부엉재에 핀 진달래꽃의 모습),...
-
위촌리는 외진 자연환경임에도 불구하고 인근에서 예향으로 유명한 곳이며 유서 깊은 전통문화가 숨쉬는 곳이다. 특히 위촌리에는 각종 사회조직, 특히 계문화가 성행하여 아직도 그 연원을 쉽게 찾아볼 수 있을 정도다....
-
위촌리의 계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 대동계(大同契)다. 대동계는 지금부터 약 450여 년 전 율곡 선생이 만든 『서원향약』(1571년)과 『해주향약』(1577년)에 힘입어 김세록, 함상헌, 이수근 등이 뜻을 같이하여 주민들의 덕화, 상호협조, 위계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규약을 만들어 결성하여 지금까지 이어져온다. 1899년(광무 3년 기해년)에 규약을 중수하여 오늘날까지...
-
한편, 집안끼리 자녀들의 혼례를 준비하는 혼인계(관대계)도 있었다. 혼인계는 혼례 때 드는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조직했는데, 신랑 신부의 혼례복인 관복, 행사 때 쓰는 차일, 휘장, 가마 등을 빌려준다. 성주이씨 문중, 강릉함씨 문중, 강릉최씨 문중에서 혼인계를 조직했으나 지금은 다만 친목을 다지기 위해 1년에 한 번씩 모인다. 상장계(상례계)는 장례를 대비하기 위한 계다. 상여를...
-
...
-
이렇게 유서 깊은 마을 위촌리에 여러 가지 민담과 전설이 없을 리가 없다. 민담의 대표적인 것이 바로 “우추리 호랑이”다. 옛날에 아전이 한 사람 있었는데, 글을 잘했다. 고을 원님이 그 사실을 알고 “저녁 때 글을 좀 짓다가 가라.”고 지시했다. 아전이 저녁에 남아 글을 짓다가, 한 부분을 완성하고 보니 글의 기상이 좋지 않았다. 그래도 밤이 늦어서 집으로 돌아간다고 나섰는데 그...
-
위촌리에 전해오는 민요로는 「자장가」와 「둥기소리」, 「베틀노래」, 「다복녀」 등이 있다. 이 지역에서 채집한 독특한 속담으로는 ‘베 매서 남 주기가 딸 낳아서 남 주기와 같다.’ 는 말이 있다. 베를 짤 때 베를 매주는 사람이 잔풀이나 보푸라기가 없이 풀을 잘 먹여야 베를 짜는 사람이 쉽게 잘 짤 수 있다. 그런데 베를 짜는 사람은 베를 매는 사람이 아무리 잘 매줘도...
-
...
-
위촌리는 전통과 예의를 중시하는 마을이라, 상혼례도 다른 마을과 조금 다르게 치른다. 반촌이라는 자부심이 강한 위촌리의 장례습속은 다른 마을과 다르다. 상여를 메고 갈 상군들을 아무나 쓰지 않는다. 지체가 낮은 사람들은 상여를 메지 못하고 양반의 혈통을 지닌 사람만이 상여를 멜 수 있다. 그래서 위촌리 사람들 사이에선 ‘욕심을 내도 송장도 욕심을 낸다’고 하는 말이 있다...
-
위촌리에 남아 있는 민간신앙으로는 천제와 서낭제를 들 수 있다. 이들 행사는 마을에 따라 달리 지내고 있다. 우렛말[1리 3반] 천제는 서낭 옆에 있는 제단에서 지내는데 정월 초정일(初丁日)에 서낭제를 지낼 때 같이 지낸다. 신위는 신목(소나무)에 모신다. 유사가 제물을 준비하는데 제물은 메 두 그릇, 백설기, 세 가지 실과(대추, 밤, 감), 나물, 쇠고기(...
-
위촌리는 전통이 살아 있는 마을답게 세시풍속도 잘 지켜지는 편이다. 한 해의 세시풍속 가운데 가장 먼저 돌아오는 것이 설이다. 설날 아침에는 가족끼리 모여 떡국을 끓여 조상신께 차례를 올린다. 그 다음 어른께 세배를 하고 덕담을 나눈다. 세배를 마치고 떡국을 먹고, 토정비결을 보거나 윷놀이를 하며 조용히 쉬며 한 해 계획을 세운다. 정월 초이튿날 마을 사람들은 촌장집에...
-
...
-
위촌리의 문화유적으로는 앞서 민담에서 보았던 효자정문(孝子旌門)을 먼저 꼽을 수 있다. ‘효자학생이동규지려(孝子學生李東奎之閭)’라는 것이 정식 명칭인데, 위촌 1리 산 115번지 길가에 있는 효자각으로 이동규(성주이씨)가 아버지의 원한을 씻은 다음 나라에서 효자 정려를 내렸다고 한다. 아버지가 독살당한 후 17년 동안 원한을 풀기 위해 노력하면서 상복을 입고 지낸 이동규...
-
위촌리 곳곳에는 옛 사람들이 바위에 새긴 글씨들이 남아 있다. 이 지역 출신으로 근대 강릉 유림의 대가인 익분재 최영대 선생이 쓴 “비례부동(非禮不動)”이라는 글씨가 길 옆 바위에 새겨져 있다. 예의를 숭상하는 마을 사람들에게 ‘예의에 벗어나는 행동은 절대로 하지 말라’는 가르침을 주는 글이다. 골아우 남쪽 남녘골에는 ‘강릉김씨세장동(江陵金氏世藏洞)’이라는 글...
-
...
-
...
-
강릉의 택지개발에서 지구의 이름으로는 포남지구와 솔올지구를 들 수 있다. 포남지구 택지개발은 1984년부터 1990년대 후반까지 2단계에 걸쳐 진행되었다. 포남동은 원래 강릉군 북일리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운곡리, 대항리와 남일리면의 수문리 일부와 합쳐 포남리라 하여 군내면에 편입되었다. 그 후 1955년 9월 1일에 강릉시 승격과 함께 포남동으로 명칭이...
-
서편으로 태백산맥, 동편으로 동해안을 끼고 있는 강릉시는 산간지역과 해안지역의 특색을 동시에 갖춘 도시다. 도시 서편은 대관령을 중심으로 태백산맥이 뻗어 내려오면서 중심 지역은 평평하고 낮은 구릉지대를 형성하고, 외곽지역은 중산간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동편에 펼쳐진 해안선은 완만하고 단조로워 간척사업이나 수산양식에는 다소 불리하지만, 송림을 낀 모래사장과 함께 해수욕장으로는 훌륭한...
-
강릉은 북으로는 양양, 남으로는 동해시와 정선군, 서로는 홍천과 평창 등 5개 시군과 인접해 있다. 1960년대에 영동선과 태백선이 완공되고, 1975년 영동고속도로와 1979년 동해고속화도로가 개통된 이후, 명실상부한 영동지방 교통의 중심지로 부상하였다. 그밖에 속초로 연결되는 7번국도가 있으며, 주문진에서 오대산으로 연결되는 6번국도, 강릉에서 임계로 이어지는 35번...
-
...
-
강릉에는 대규모 아파트 단지 위주의 개발 사업 등으로 도시 구조와 시민의 삶을 변모시키는 택지 조성이 진행되고 있다. 1970년대 이후 점진적으로 진행돼온 대규모 택지 조성사업이 완성 단계에 이르면서, 강릉은 도시의 기능과 도시 공간 구조에 몇 가지 커다란 변화를 맞고 있다. 기존의 구시가지에서 신시가지로 도심이 이동하였고, 구시가지의 재래시장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소비...
-
강릉시는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인 1955년에 강릉읍, 성덕면, 경포면을 합하여 강릉시로 승격됨과 동시에 강릉군을 명주군으로 개칭 분리하였다. 그로부터 40년 후인 1995년에 다시 강릉시와 명주군이 통합되어 강릉시로 개칭돼 현재에 이르고 있다. 근대 도시의 형태를 갖추기 시작한 일제강점기 이후, 강릉시는 도시 개발에 따라 크게 3단계에 걸쳐 구조변화를 겪어왔다. 1기는...
-
대규모 택지개발은 기존 도심인구 분포의 변화도 가져 왔다. 주거공간이 이동하면서 기존 도심 내 인구가 택지로 이동하였는데, 이는 도시 내 전체인구의 변화가 적은 데 비해 택지 내 인구가 급증하고 있는 것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홍제동, 옥천동 등 기존 도심은 도시 중심기능을 잃어가면서 자산가치 하락과 주거환경 악화로 인구가 현저히 감소하고 있다. 반면 새로 조성된 택...
-
...
-
...
-
안인진리는 강릉시 강동면에 있으면서 산과 바다가 만나 절경을 이루는 아름다운 어촌 마을이며, 바다를 삶의 터전으로 삼고 있는 독특한 어촌문화가 형성되어 있는 마을이다. 안인진리에 우뚝 솟은 괘방산의 등산로는 우리나라에서 바다를 끼고 등산할 수 있는 유일한 등산로로 알려져 있다. 산과 바다가 어우러져 절경을 이루는 이 마을에는 굽이굽이 서려 있는 이야기도 많다....
-
안인진이라는 이름은 ‘강릉부 동쪽 나룻가에 있는 고을’을 뜻한다. 안인진 1리 마을 전체를 송촌(松村)이라 부르는데, 예전에 마을이 소나무 숲으로 둘러싸여 있었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이 지역에서 삼거리라고 하면 군선교 부근에 안인리, 모전리로 갈라지는 길을 가리킨다. 삼거리 부근의 안장재는 강릉 승마장이 있는 일대를 이른다. 말허리처럼 생긴 곳에 안장을 올...
-
안인진리는 해령산을 중심으로 서쪽과 남쪽에 형성되어 있으며 동쪽으로는 바다, 서쪽으로는 괘방산에서 내려온 줄기(강동면 임곡리, 강동면 모전리와 경계지역), 북쪽으로는 군선강(강동면 안인리와 경계), 남쪽으로는 정동진리와 접해 있다. 안인리 쪽으로는 군선강과 해안을 끼고 있고 정동진리 쪽으로는 바닷가 절벽으로 이어지는데, 이곳은 바다와 바위가 잘 조화된 천혜의 아름다움을...
-
백두대간 줄기가 강동면 해안 쪽으로 내려오면서 화비령, 괘방산을 만들고 이 줄기가 다시 마을로 내려오면서 바닷가에 이르는데 그 끝에 해령산이 우뚝 솟아 있다. 해령산은 화비령 북쪽 줄기의 끝이며, 군선강 하구에 맞닿았다. 이곳은 강동 9경의 하나인 '봉도어선(烽島漁船)'에 해당되는 곳이다. 예전에는 강릉김씨들의 정자가 있었다. 괘방산은 정동진리와 안인진리 사이...
-
안인진리는 동쪽으로는 바다, 서쪽으로는 모전리, 임곡리, 남쪽으로는 정동진리, 북쪽으로는 안인리와 접해 있다. 마을 가운데로는 7번국도, 바닷가 쪽으로는 영동선이 지나가고 국도로는 시내버스가 다니는데 111번, 112번, 113번, 114번이 지나간다. 111번은 옥계면까지 가는 시내버스로 하루에 5차례, 112번은 옥계면 금진리까지 가는 시내버스로 하루에 6차례, 11...
-
안인진리는 조선시대의 기록부터 남아 있는 오래된 마을이라 문화유적도 많다. 안인포에 대한 기록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남아 있다. ‘부 동남쪽 25리에 있다. 예전에는 만호영(萬戶營)이 있었는데 지금은 없어졌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안인포진은 부의 동남으로 20리에 있고 수군만호를 두었는데 성종 21년에 양양대포로 옮겼다고 한다. 안인역은 현 행정구역으로 안...
-
...
-
안인진리 서낭당에는 오래된 전설이 깃들어 있다. 옛날 이 마을에 살던 처녀가 바닷가에서 미역을 따고 있었다고 한다. 그때 마침 한 수려한 청년이 배를 저어 그 앞을 지나갔고 처녀는 청년에게 한눈에 반했다. 상사병에 걸린 처녀는 시름시름 앓다가 끝내 숨을 거두었는데, 이상하게도 처녀가 죽은 다음부터 바다에서 고기가 잡히지 않았다. 그러던 어느 날, 마을 어부의 꿈에 죽은...
-
사람들은 앞일을 예견하지 못하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일상생활에서 앞날을 예측하는 여러 가지 방안들을 강구하고 있다. 오랜 세월을 통해 얻어진 경험을 토대로 일기를 예측하는 방법도 그렇게 터득한 지혜의 하나다. 농촌의 일기 예측은 생산과 직결되고, 어촌의 일기 예측은 생산은 물론 생존과도 직결된다. 일기를 미리 알 수 있어야 어획고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생명의 위협도 줄일 수...
-
...
-
동제에는 서낭제가 있는데, 안인진 1리 서낭제는 1리 주민 전체가 모신다. 이곳의 서낭당은 7번국도 남쪽 옆에 있다. 예전에는 7번국도 북쪽 논가 팡개나무 옆에 있다가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제사는 섣달 그믐날에 입제하여 정월 초하루 새벽에 지냈다. 제삿날 일주일 전에 하차지가 당에 가서 금줄을 친다. 헌관과 차지는 출입을 삼가기 때문에 하차지가 서낭당 청소를 하고 제물을 준비한다...
-
옛날 안인진 1리 사람들은 정월 대보름날 밤에 이웃 마을인 안인리 사람들과 다리밟기(달밟기) 싸움을 했다. 주민들은 저녁을 먹고 마을에 모여 풍물을 앞세우고 횃불을 들고 마을 경계에 있는 군선강에 군선교로 간다. 이때쯤이면 안인리 사람들도 다리에 도착한다. 양쪽 마을 사람들은 풍물에 맞춰 횃불을 치켜들고 서로 다리를 밟으며 밀치면서 소리를 지른다. “여기는 내 다리다.” “여기는...
-
어촌생활의 안녕을 기원하는 것이 민속신앙이라면,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편의를 위한 조직이 어촌계라고 할 수 있다. 어촌계는 안인진 2리에서 배를 가지고 고기잡이하는 사람들이 40-50년 전에 결성하였는데 지금은 40여 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회비는 없고 어촌계 안에 있는 자망협회에 회비가 있다. 어촌계에 소속된 배는 3톤 이상 되는 배가 40여척인데 마을 포구에 정박해 있다. 포구에...
-
...
-
...
-
행정구역상 주문진읍 주문 6리와 주문 12리에 해당되는 어촌이며, 법정명(法定名)은 우암진리(牛岩津里)이고, 바다를 생업의 터전으로 살아가는 자연마을이다. 주문진 북쪽 해안에 위치한 아담한 항구마을 소돌은 마을의 윤곽이 소가 누워 있는 모습을 닮았다 하여 소돌 또는 우암(牛岩)이라 불린다. 이름에 걸맞게 마을에 큰 바위들이 많은데, 기암괴석이 한 폭의 그림을 이루는 아들...
-
소돌마을은 소와 인연이 깊은데, 소돌이라는 이름이 마을의 모양이 큰 소가 누워 있는 모습을 닮았다 해서 붙여진 것이기 때문이다. 소돌마을의 형상은 소가 동쪽으로 머리를 두고 앉아 있는 모양인데, 해당화서낭당 건너편 바다에 불룩 솟은 바위가 소뿔에 해당되고, 바다를 바라보는 능선이 소머리와 몸통에 해당된다. 소의 젖에 해당되는 위치에는 집 한 채가 자리 잡았는데, 소의 젖...
-
소돌마을은 390여 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30년 전까지만 해도 채씨(蔡氏), 정씨(鄭氏), 김씨(金氏) 등이 중심이었지만, 개발에 따른 급격한 인구이동으로 지금은 마을 사람들 대부분이 각성바지고 특별한 문중조직도 없다. 대부분의 동해안 어촌들이 그러하듯 이 마을에도 토박이들보다는 외지에서 이주해온 이들이 더 많아서 전체의 2/3 정도를 차지할 정도다...
-
아담한 포구를 끼고 있는 소돌마을은 서쪽 거물이[거문동(巨文洞)]에서 흘러와 바다로 흘러가는 시내가 마을 가운데를 가로지른다. 이를 기준으로 남쪽이 주문 6리, 북쪽이 주문 12리로 나뉜다. 소돌의 바닷가에는 기암괴석이 장관을 이루고 있어, 이를 찾는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소돌마을의 명물로 알려진 아들바위에는 오래된 전설이 전한다. 신라시대 이 마을에, 가난...
-
소돌마을은 주문진읍의 북쪽 해안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바다, 서쪽으로는 거문동, 남쪽으로는 오리진항, 북쪽으로는 주문진해수욕장과 접하고 있다. 최근에 주문진항에서 소돌마을까지 비교적 넓은 해안도로가 개설돼 주문진읍에 이르는 시간도 크게 단축됐다....
-
소돌에는 바다와 관련된 유적이 있다. 주영초등학교에서 임페리얼 호텔 앞 도로를 건너 소돌마을로 들어가는 입구를 약간 지나면 오른쪽 양지바른 언덕에 비석 하나가 서 있다. 1974년 7월 28일 새벽 일본 풍수수도(風水水道)를 항해하던 중 불의의 해난사고로 사망한 백인기 선장을 추모하기 위한 비석이다. ‘선장 백인기 추모비(船長 白仁基 追募碑)’는 주문진수산고등학교에서 1995년 1...
-
...
-
바다에 나가 고기를 잡으며 바다를 의지해 살아가는 마을인 소돌에는 다양한 종류의 제사도 치러진다. 소돌마을 풍어제는 3일 동안의 신(神)굿으로 이어지는데 이를 「소돌별신(別神)굿」이라 한다. 「별신굿」은 마을과 가정의 안녕을 기원하는 마당이 되기도 하지만, 주문6리와 주문12리가 한데 어울리는 화합의 축제라는 의미도 크다. 이 굿은 「별신굿」을 직업으로 하는 세습무당에...
-
소돌해수욕장의 동쪽에는 산과 같이 큰 바위가 있는데, 그 바위 꼭대기에 해당화를 신목으로 하는 서낭당이 있다. 이곳에도 전설이 깃들어 있다. 조선시대 이 마을에는 해(海)씨 성을 가진 아리따운 아가씨와 멀리서 고기 잡으러 온 봉(鳳)씨 성을 가진 청년이 있었다. 아가씨와 청년은 서로 사랑하게 되었고 이 사실은 금세 마을에 소문으로 퍼져 나갔다. 나이가 차면 부모가 짝을...
-
...
-
...
-
허균, 허난설헌의 고향으로 잘 알려진 강원도 강릉시 초당동 초당마을은 초당두부로도 유명하다. 태백준령이 뻗어내려 동해와 맞닿은 해변 소나무 숲속에 나지막한 집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어 한 폭의 동양화를 연상하게 하는 마을이 있으니 이곳이 초당이다. 초당마을은 ‘초당의 밥 짓는 연기(草堂炊煙, 초당취연)’가 경포8경에 들 정도로 풍광이 빼어나며 유서 깊고 살기 좋...
-
초당이라는 이름은 조선 광해군 때 교산(蛟山) 허균(許筠)[1569~1618]의 부친 초당(草堂) 허엽(許曄)[1517~1580] 선생이 이곳에 살면서 붙인 것이라고 한다. 한편, 이곳에 사는 최씨들은 최씨들의 초당이라고도 하며, 조선 선조 때 공조참의를 지낸 유동석이 초당을 짓고 후진들을 가르쳤다는 연유에서 초당이라고 부른다고도 한다. 초당에 있는 여러 지명...
-
초당동은 상고시대에는 예(濊)의 속국으로 있었으며 기원전 127년에 창해군으로 편입되었고 한무제 때에는 임둔(臨屯)의 땅이었다. B.C. 30년에 동예의 땅으로 계승되어 고구려 시대에는 하슬라로, 신라시대에는 하서소경의 땅으로 고구려 때에는 동원경의 속현으로 이어져 조선시대에는 진관부에 속해 있었다. 1913년 군내면, 1916년 강릉면, 1931년 강릉읍에 속했다가 1...
-
초당동은 동쪽으로 동해 바다, 서쪽은 포남동, 남쪽은 송정동, 북쪽은 경포호를 경계로 경포동과 접하고 있다. 자연부락으로는 안초당과 바깥초당 등 2개 마을이 있으며, 7통 34개 반으로 이루어졌다. 면적은 2.88㎢이고, 41%인 1.2㎢가 농경지이며 나머지는 임야 및 주거지역이다. 마을 주변으로는 어이재, 안산재, 도투리재, 된봉, 당재, 함밤굼, 안산, 골안, 건넌말...
-
화부산에서 뻗어 내린 줄기가 어이재에 와서 도투리재와 땅재로 갈라지는데, 두 재 줄기 사이에 초당마을이 있다. 강릉에서 7번국도를 타고 주문진 방면으로 가다가 경포대 안내판을 보고 우회전하여 약 2km 정도 들어오면 경포호가 나타난다. 경포호를 끼고 강릉고등학교 쪽으로 가다 보면 여기저기 초당두부 간판을 내걸고 있는 두부마을이 있고 마을 초입부터 시작되는 울창한 숲과 만...
-
두부를 만드는 과정은 간단한 것 같지만 그 맛을 제대로 내기 위해서는 섬세한 손질과 많은 정성이 필요하다. 두부의 가장 기본재료인 콩의 선택이 중요한데, 이는 두부의 맛을 좌우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그래서 재료로 사용하는 콩은 국산 콩 중에서도 강원도 산간지방의 콩을, 묵은 콩보다는 해콩을 사용한다. 질 좋은 해콩을 불려야 하는데, 여기서부터 시간이 중요하다. 시간에 따라...
-
...
-
초당마을에 살았던 역사 인물로 먼저 김충각(金忠慤)[1578~1650]을 거론할 말하다. 김충각은 명주군왕 김주원의 후손으로, 참판 김덕장의 아들이다. 호는 초정(草亭)이고, 조선 선조 때 경포 초당마을에 살면서 벼슬은 사헌부감찰직장을 지냈다. 우복(愚伏) 정경세 선생과 평소 예학을 강론하였으며, 절의와 덕행이 매우 높았다. 생전에 경포호수 부근에 경호당(鏡湖堂)을 건립...
-
초당마을에는 ‘맛’뿐만 아니라 초당마을의 ‘멋’도 있으니 허균·허난설헌 생가터[강원도 문화재자료 제59호, 1985.1.17. 지정]가 대표적이다. 강릉시 초당동 475-3번지 초당마을 북편의 드넓은 송림 속에 있는 이 가옥은 조선시대 대표적인 여류시인 허난설헌[1563~1589]의 생가터로 알려져 있으나 사실과 건립 연대는 미상이다. 건물의 구조는 안채와 사랑채, 곳간...
-
하천과 바다, 호수, 산림이 한데 어우러진 자연환경을 갖추고 있는 초당마을 일대는 선사시대부터 정착생활을 영위하는 데 최적의 조건이 되었던 곳이다. 이러한 사실은 최근까지 이 지역 일대에서 발견되는 선사 및 역사고고 유적과 유물을 통해서 입증되고 있다. 초당동 신석기시대 유적은 2000년에 경포호의 남쪽 사구지대인 이광로가옥[허난설헌 생가터] 주변 송림 일대에서 신석기시...
-
...
-
...
-
농경 민속문화가 잘 보존된 강릉시 사천면 하평리의 생활 문화와 민속놀이. 하평은 넓은 평야를 끼고 있는 농촌마을이다. 농경을 중심으로 하는 주민들의 삶 속에는 농사와 관련된 다양한 풍습들이 고스란히 녹아 있다. 세시풍습, 민요, 민속놀이부터 각종 금기들까지, 인근 마을에서 현재는 사라져가는 농경 민속문화들이 지금까지 보존, 계승되고 있다. 마을 뒷산에는 교산(蛟山) 허균(許筠)[1...
-
하평마을은 예전에 초당 허엽의 아들인 하곡(荷谷) 허봉이 이곳에 살아서 그의 호를 따 하평동이라 하였다. 마을에는 허엽의 장인이고 허봉, 허균, 허난설헌의 외조부이기도 한, 조선 중종 때 문신 김광철의 옛 집터가 있는데, 그의 호를 따 애일당(愛一堂)이라 부른다. 애일당이 있는 뒷산 형국이 도롱뇽이 누워있는 것 같아서 교산이라 했으며, 애일당의 외손으로서 「홍길동전」을...
-
하평마을의 총면적은 70.78㎢로 농경지 면적은 11.6㎢로, 그 가운데 밭 3.1㎢ 논 8.4㎢으로 논농사의 비율이 높다. 행정구역은 법정리 9개리, 행정리 15개리와 79개 반 및 53개의 자연부락으로 형성되었다. 하평마을 동쪽으로 진리와 동해 바다, 남쪽으로는 방동하리와 미노리, 서쪽으로는 판교리, 북쪽으로는 연곡면 동덕리와 인접하였다. 하평리의 가구수는 139가구...
-
하평마을에는 눈에 띄는 큰 바위들이 많은데, 그 바위들에 얽힌 사연들도 전해 내려오고 있다. 뒷장[후도(後島)]은 뒷섬 앞에 있는 큰 바위섬으로 영락대 조금 위쪽에 있는 바위이다. 조류 때문에 어떤 때는 신발을 벗지 않고 갈 때도 있고, 또 어떤 때는 배를 타야만 갈 수도 있다. 진리 축항 공사 때 이 바위를 깨뜨려 쓴 다음부터 마을에 재앙이 자주 일어났다고...
-
하평마을은 강릉시 북쪽 10km 지점인 강릉과 주문진의 중간 중북부에 있다. 경도 및 위도상으로 본 사극(四極)은 극동동경 128°53′ 극서동경 128°44′ 극남북위 37°51′ 극복북위 37°44′로서 동쪽으로는 연곡면에 접하고 있다. 주민의 생활권이 강릉시에 속하여 강릉시에서 각 마을로 통하는 시내버스 노선이 9개 노선이나 되며, 7번국도가 면소재지를 통과하고 있...
-
...
-
하평마을은 전래의 세시풍습이 현대의 생활 속에 남아 있다는 점이 특이하다. 해마다 치르는 각종 세시풍습들을 순서대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먼저 정월 대보름이면, 초저녁달이 뜨기 전에 횃불을 만들어 산에 올라가 달을 맞는다. 달이 떠오르면 환성을 지르며 횃불을 든다. 달에게 자기의 소원성취를 빌며 절을 하기도 하고 달빛을 보며 점을 치기도 한다. 달빛이 붉으면 가뭄이 들고,...
-
이런 세시풍습뿐 아니라 하평마을에서 지켜오고 있는 민속적인 전통들 역시 다양하다. 논, 밭의 김을 두세 벌 매고 나면 음력 6월말 7월초가 되는데 일 년 중 가장 무더운 삼복더위가 들어있는 때다. 이때쯤이면 농촌에서는 큰일이 대충 끝나는 때이므로 조금은 한가한 시기가 된다. 농가에서 김매기에 필요한 호미가 별로 필요하지 않게 되어 호미를 씻어둔다 하여 ‘호미 씻기’ 또는 ‘질먹기’...
-
하평마을의 마을신앙으로는 서낭당과 안택고사가 있다. 사천진리 다리를 건너 마을로 들어가는 길가에는 소나무 3그루가 있는데 이 나무들을 마을에서는 서낭당으로 모시고 있다. 소나무는 새끼줄에 문종이를 달아서 감아 놓았으며 그 주위에 벽돌로 담을 쌓았다. 모시는 신위는 성황지신, 토지지신, 여역지신이고, 정월 초정일에 마을 주민들 중 가장 연장자들이 주관하여 제례를...
-
하평마을의 민속놀이로 강릉사천하평답교놀이가 있다. 하평답교놀이는 강릉의 자연적 환경 속에서 생성된 대표적인 농경 민속놀이라 할 수 있다. 이 놀이는 조선시대 집촌화 시대 이후 자연촌의 독립이 이루어지면서 발생한 놀이라 하겠다. 이는 수도작 재배 중심의 노동집약적 마을 공동체를 중심으로 문화가 형성되어가는 것을 의미한다. 세시와 결합된 대동놀이의 출현을 의미하기도 한다....
-
...
-
...
-
하평마을이 배출한 역사적인 인물들을 정리해본다. 먼저 이설당(梨雪堂) 김광진(金光軫)[1495~?]이 있다. 그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자는 자임(子任)이며 본관은 강릉 사천이다. 아버지는 김세훈(金世勳)이고, 형은 동지중추사 김광철(金光轍)이다. 1526년(중종 21) 생원으로서 별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뒤, 1537년 시강관이 되어 궁중의 법률을 엄격하게 할 것을...
-
하평마을에 남아 있는 문화유적은, 역사적인 인물들의 일화가 남아 있는 것이 많다는 점에서 다른 지역과 조금 다른 면이 있다. 운양초교 아래에서 옛 철길까지의 넓은 들을 향교평(鄕校坪)[생계들]이라고 한다. 옛날 이 논이 강릉향교의 소유였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이 논 부근에 12가구가 살았으나 병자년 포락 이후 모두 이사하여 지금은 그 터가 다 논이 되었다....
-
...
-
...
-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를 일컫는 명칭으로서, 강원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학산오독떼기’를 전수하며 오랜 역사와 문화전통을 지키고 있는 마을. 학산은 예로부터 ‘학산8경’으로 잘 알려져 있고, 강릉 향언에 ‘살아서는 모산과 학산에 산다(生於茅鶴山)’는 말이 있을 정도로 살기 좋은 마을이다. 재궁마을을 중심으로 굴산사터가 있으며, 칠성산에서 시작된...
-
학산은 굴산사가 있어 옛날에는 굴산(崛山)이라 했는데, 그 후 마을 뒷산 우거진 노송에 학들이 서식해 부락의 자연경치가 절경을 이루었고 이를 가리켜 ‘학산(鶴山)’이라 하였다. 이 지역의 독특한 지명들의 유래를 살펴보면서 먼저 마을과 골의 이름부터 알아보자. 왕고개에서 마을로 오면서 오른쪽으로 옛길너머에 있는 골이 가랑골이다. 이곳에 옛날에 곶집이 있었다. 도...
-
학산마을에는 1560년경 광천동씨, 평해황씨 등이 세거하여 살게 되었고 그 뒤를 이어 영일정씨, 창녕조씨, 풍양조씨, 강릉김씨, 강릉최씨, 전주이씨, 안동권씨가 동족 마을을 이루고 살았다. 지금은 희미해졌지만, 마을 대동회에는 입촌 순서대로 좌석이 마련되기도 하였고 이를 마을의 전통으로 여겼던 시절도 있었다고 한다. 학산은 1916년 재궁말, 설내말[설천(泄川...
-
이 마을은 전체적으로 낮은 구릉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개척대’라 불리는 지역에는 비교적 넓은 들이 있으며 학산천이 마을을 지나 동해로 흘러든다. 남서쪽에 솟아있는 칠성산은 왕산면과 구정면의 경계를 이루고 있고, 북서쪽으로는 낮은 산이 병풍처럼 감싸며 군자봉을 이루어 동쪽으로 낮아진다. 학마을은 그 안쪽에 형성되어 있는데 동쪽이 1리 서쪽이 2리 남쪽이 3리로 되어 있다....
-
학마을은 영동지역 중심부인 강릉시 구정면에 위치하고 있는 마을로, 강릉시청에서 남쪽으로 6km, 구정면사무소에서 1km 지점에 있는 농촌 마을이다. 동쪽으로 장현동, 서쪽으로 구정리, 남쪽으로 금광리, 북쪽으로 여찬리와 이웃하고 있다....
-
...
-
1960년대에 당시 불모지로 버려져 있었던 금광평이 고구마, 옥수수 등의 잡곡 생산지역으로 변하였고 곳곳에 원예농업이 발달함에 따라 학마을의 인구는 크게 증가하였다. 주민의 생업은 농업이 주를 이루어 주민의 80%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공무원, 기술직, 전문직, 자영업 등 농업 외 직업 인구는 10% 정도이며 주민 대부분이 농업가구다. 생산물은 대부분 농산물로 쌀, 보리, 감자...
-
학산마을의 마을신앙으로 서낭당 고청제를 들 수 있다. 서낭당 고청제는 학산1리와 학산2리 서낭당 두 곳에서 각각 행해진다. 옛날에는 봄, 가을 1년에 두 번씩 제사를 지냈으나 지금은 연 1회 정월 초정일(初丁日)에 제사를 지낸다. 제관은 마을에서 부정하지 않은 남자를 뽑아 유사(제관)로 삼는다. 일단 유사로 지정되면 서낭제사가 있을 때까지 유사는 일체 부정한 일을 하지도...
-
대부분의 지역들과 마찬가지로 학마을에서도 대부분의 세시풍습은 사라지고 일부만 이어져 오고 있다. 우선 정월에는 초이틀에 마을 서낭당에서 올리는 고청제가 있고, 대보름 재궁마을과 장안마을을 중심으로 청장년·부녀자·노인층으로 나뉘어 각기 상품을 걸고 윷놀이 판을 벌인다. 청소년 아이들은 십여 년 전까지만 해도 또래들이 모여 마을에 찰밥추렴을 다녔으나 지금은 이런 풍습이 거의 사라졌다....
-
학산마을의 민속놀이는 어린이들의 놀이와 어른들의 놀이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어린이들의 민속놀이로는 ‘고비고사리꺾기놀이’가 있다. 고비고사리 꺾기는 학산리, 여찬리, 금광리 일대의 산간 지역에서 옛날 초동들이 불렀던 동요이며 놀이였다. 놀이가 수반된 동요로서 산간지역 아이들의 민속놀이를 살필 수 있는 귀중한 민속놀이다. 산간 지역에 사는 아이들에게 산이나 들에 있는 묘지...
-
...
-
학산마을에 어려 있는 설화는 역시 범일국사에 관련된 것이 대표적이다. 이미 유명한 이야기지만, 학바위와 석천(石泉) 우물에 서린 범일국사의 설화를 다시 한 번 알아보자. 옛날 굴산에 나이가 찼지만 마땅한 혼처가 없어 시집을 못가고 있던 처녀가 있었다. 하루는 이 처녀가 석천에 물을 길러 갔다가 햇빛이 비친 우물물을 표주박으로 떠 마셨다. 그 후 날이 갈수록 몸이 달라져...
-
학산마을은 민요 「학산오독떼기」로 유명하다. 1985년 강원도 무형 문화재 제5호로 지정된 ‘학산오독떼기’는 예로부터 전해지고 있는 농업 노동요로서 강릉의 토속민요를 대표하는 곡이다. 노래의 정확한 유래는 알 수 없으나 신라시대부터 즐겨 불렀다고 하며 『조선왕조실록』에는 세조가 동해안 일대를 둘러보면서 「오독떼기」를 잘하는 사람을 뽑아 노래하게 하고 상을 주었다는 기록이...
-
...
-
학마을은 신라말 불교의 9산 중 하나인 사굴산파를 열었던 범일국사의 탄생지이며, 동시에 범일이 창건한 사굴산파의 종찰이었던 굴산사터가 있는 곳이다. 또한 왕고개, 장안성 등 고려멸망의 전설·설화가 전해오고, 조선시대 석천서원의 옛터에 행단(杏壇)으로 있었던 수령 5백년이 넘은 은행나무가 있고, 글 읽는 전통이 이어져 근대 민족교육의 산실 학산서당과 학산보흥강습소가 있었던...
-
학산리 고분군은 장현저수지 남쪽의 구릉지대에 위치하며, 현재 도굴된 고분들이 방치되어 있다. 1963년 10월 삼국시대 대부호 1점, 장경호 1점, 대부배 1점, 이부고배 2점, 무개고배 1점, 병 1점, 고배개 3점이 출토되어 현재 국립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왕현산성지(王峴山城址)[강릉시 구정면 학산1리 왕고개]는 일명 장안성이라고도 하며 구정면사무소에서...
-
정의윤 가옥(강릉시 구정면 학산리 795,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93호, 지정 1985. 1. 17)은 1894년 현 소유주 정의윤의 조부가 세웠다. 집터는 좌우로 국을 형성하고 앞에 막힌 듯한 조그마한 안산이 있어 집터 고르는 데 상당한 안목을 가지고 있었음 직하다. 건물의 배치는 영동지방의 전형적인 口자형 주택으로서, 입구 맞은편에 사랑채가 있고 대문을 들어서면 안채가...
-
...
-
...
-
고단리는 강원도 강릉시 왕산면 소재의 산간마을로서 대규모 고랭지채소 재배 지역이다. 첩첩산중에 자리한 고단마을은 오랫동안 화전을 일구며 살아온 산간 오지였다. 근래 들어 고단마을의 주요 경제수단은 고랭지채소 재배다. 이 지역은 강수량이 풍부하고 일교차가 심한 기후·지리적 조건으로 인해 우리나라 최고의 고랭지작물 지역으로 꼽힌다. 고단마을은 산세가 험하고 겨울이...
-
고단은 ‘높은 곳에 있는 골짜기’라는 뜻이다. 고단마을의 가운데로는 삽당령에서 발원한 물이 거리고단에서 합류하여 정선군 임계면으로 흐르는 고단천이 지난다. 고단이라는 지명은 조선 시대에 이곳에 있던 고단역(高丹驛)에서 비롯되었는데, 『동국여지승람』에 ‘고단역은 부(府) 서쪽 60리에 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고단리의 유래에 대해서는 몇 가지 설이...
-
고단리는 본래 강릉군 구정면 지역인데, 1916년 한늪이, 샛골, 다릿골, 사반동을 합쳐 고단리라 하여 상구정면에 편입되었다. 현재는 행정구역상 강릉시 왕산면 고단리로 분류되며 고단1리, 고단2리, 고단3리의 3개 리로 구성된다. 1920년대의 고단 지역에는 다섯 개 마을 98호 가구에 주민 270여 명이 살았다. 그로부터 70여 년이 지난 2005년 현재 3개리 11개...
-
고단마을의 독특한 생활구조는 고랭지라는 자연환경에서 비롯된 부분이 많다. 고단마을은 봄부터 가을까지는 고랭지채소 재배로 고소득을 올리지만, 겨울이면 폭설로 인근 지역으로부터 고립된 채 생활할 수밖에 없다. 일부 지역주민들은 겨울 동안 정선군 임계 지역이나 강릉시 지역으로 이동해 생활하다 이듬해 봄이 되면 농사를 지으러 다시 돌아오곤 한다. 고단마을은 높고 험한...
-
고단마을은 동쪽과 남쪽으로 정선군 임계면을 끼고 있으며, 서쪽으로 왕산면 대기리와 정선군 북면에 접해 있고, 북쪽으로는 송현리, 대기리와 이웃하고 있다. 행정구역상 강릉시에 포함돼 있지만, 주민들의 생활권은 인접한 정선군 임계 지역에 속한다....
-
고단마을에는 여러 곳의 명승지가 있는데 그 중 한늪이(하닢이)의 수려한 경관은 유명하다. 고단3리에 있는 한늪이는 ‘큰 늪’을 뜻하며, 예전에 이곳에 큰 늪이 있었다 하여 붙은 이름이다. 고단3리의 옛 이름이 다리골이었는데, 아래 다리골에서 1km 정도 들어와서 오른쪽으로 있는 골이 한늪이다. 이곳은 계곡물의 흐름이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한늪이로 들어가는 길...
-
...
-
고단 지역에는 모두 7개의 서낭당이 있다. 그 중 한 개는 수해로 인해 터만 남은 상태지만 목조나 시멘트 벽돌로 된 나머지 서낭당들은 보존이 양호한 편이다. 고단마을 사람들은 오랫동안 민속신앙을 통해 공동체를 형성하고 공동체 구성원간의 우애와 결속을 다지며 자연환경을 극복하려는 다양한 노력을 해왔다. 이제는 많은 주민들이 기독교 신앙을 지니고 있어 민속신앙에 대한 관심은...
-
고단마을이 마을 특유의 문화를 형성하고 유지할 수 있었던 데에는 공동체 조직의 역할이 컸다. 현재까지 유지되는 공동체 조직으로는 대동계, 서낭계, 칠연정 보존회 등이 있으며, 그 밖에도 농한기에 문화생활이나 여가를 활용하기 위한 여행계와 동창계 등 다양한 형태의 조직들이 있다. 1963년에 처음 설립된 농협은 농업조직으로서 현재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지금은...
-
고단 지역은 밭농사 중심의 농업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척박한 자연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선택한 고랭지채소는 고단리 사람들의 주요한 경제적 수단이자 삶의 중심이 되었다. 고단리의 경지는 대부분 고랭지채소 재배를 위한 것으로 전체 면적이 172㎡에 달한다. 마을 전체를 뒤덮고 있는 무, 배추, 감자 밭의 규모는 전국 최고 수준이다. 농업경영 형태는 자영농과 임차농(현재는 임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