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칠연정노추대사시집』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303674
한자 七聯亭魯鄒臺祠詩集
영어의미역 Collected Verses on Chiryeonjeong Pavilion, Iseongdae Terrace and Nochusa Shrine
분야 문화·교육/언론·출판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강원도 강릉시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장정룡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한시집
간행자 박남현(朴南顯)
간행연도/일시 1966년 7월 7일연표보기
책수 1책
판종 필사본
가로 17.5㎝
세로 25㎝
장정법 선장
지질 한지
간행처 안양산방
소장처 장정룡
소장처 주소 강원도 강릉시 죽헌길 7[지변동 123] 강릉원주대학교 국문과

[정의]

강원도 강릉시 왕산면에 있는 칠연정과 이성대, 노추사 건립에 관련된 시를 모은 책.

[개설]

칠연정강릉시 왕산면 고단리 덕우산 아래 용소 언덕에 있는데, 생육신 김시습(金時習)이 은둔하였던 곳이다. 정자명은 칠연계에서 유래했으며, 1947년에 계원 49명이 건립하였다. 광복 후에 조국의 자주독립을 기념하는 취지에서 세웠다. 계원은 고단음사(高丹吟社)의 시우(詩友)들로, 매년 7월 7일 광복기념 시회를 열고 국운축문으로 고천제를 지낸다. 정내에는 이승만(李承晩), 박정희(朴正熙) 전 대통령의 시문판이 걸려 있다.

노추사는 강릉시 왕산면 구절리[현재 정선군 북면] 노추산에 있다. 1954년 갑오년에 지방유지 박남현과 빙설헌(氷雪軒) 설총(薛聰)의 후예 설국충 등이 사우 8칸을 짓고, 설총이이의 위패를 모시고 매년 음력 4월 중정일에 다례를 하다가 그 후 맹자의 성상을 봉안했다. 노추산설총이이가 공부하던 곳으로 이성대(二聖臺)에 사우를 건립하였다.

[편찬/발간경위]

정대사(칠연정, 이성대, 노추사를 줄인말) 시문편찬 취지서를 쓴 박남현(朴南顯)에 의하면, 강릉·정선 지역 유림 49명이 조국의 자주독립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칠연정에서 시회를 열었으며, 그 시를 수록하였다고 하였다. 발문은 신봉선이 1966년에 썼다.

[구성]

『칠연시집』과 『노추시집』을 엮었으며, 필사한 내용을 간행하였다. 책의 앞부분에는 이승만, 박정희 대통령의 친필 휘호와 칠연정 건립 축하 사진, 노추산 이성대 노추사의 사진이 실려 있다. 「정대사 시문편찬 취지서」[1966년], 「정대사 간요시집」, 「칠연정 상량문」, 「시문」, 「칠연계원 명록」, 「계원외시집 방명록」, 「찬조 방명록」, 부록 「이박사우남이국시」, 「축이대통령동순」, 「노추구곡」, 「이성대 신축상량문」, 「노추사기」, 「발문」[1966년] 등이 수록되어 있다.

[내용]

칠연정은 조국의 광복을 기념하여 세워진 정자로, 이승만박정희 대통령의 도움을 받아 건립한 것이다. 그러한 연고로 1952년에 쓴 우남 이승만의 시, 1966년 박정희 대통령의 시를 비롯하여 강원도지사 박경원, 이갑성의 축하시가 실려 있다. 「칠연정 상량문」은 1947년 정종화, 김진억이 썼다.

이외에 성농 박남현, 덕산 박영철, 석포 심민택, 송재 이성의, 송암 이의원, 죽포 김창묵, 명주군수 이상혁, 강릉교육장 김남구, 성사 최태규, 옥람 한일동, 계남 심지황 등의 시도 들어 있다.

「이성대 신축상량문」은 1954년 창성 조규대가 썼으며, 기문은 내산 정인휘, 오천 정종화, 성주 이광효, 성농 박남현이 썼다. 축시는 대통령 박정희, 독립운동가 이갑성, 강원도지사 박경원, 명주군수 이상혁, 강릉교육장 김남구, 계남 심지황, 단산 김기동, 만포 정상화 등의 시가 실려 있다.

[의의와 평가]

강릉시 왕산면 고단리에 있는 칠연정과 구절리에 있는 노추사에 대한 건립 및 추진상황을 알 수 있는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