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300427
한자 江陵鄕校釋奠大祭
영어의미역 Confucius Memorial Service of Gangneung County School
이칭/별칭 석전제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의례/제
지역 강원도 강릉시 명륜로 29[교동 233]지도보기
집필자 임호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의례시기/일시 매년 음력 2월 상정일(上丁日)|음력 8월 상정일(上丁日)
의례장소 강릉 향교 대성전
신당/신체 중국 선현 118위|한국 선현 18위
제관 강릉시장|강릉 향교 전교 등

[정의]

강릉 향교 대성전에서 매년 봄·가을에 지내는 제례

[개설]

석전제(釋奠祭)는 강릉 유도회 주관으로 2월 상정일[음력 2월 1일]과 8월 상정일[음력 8월 1일]에 강릉 향교 대성전과 동재·서재에 모신 중국 선현 118위와 한국 선현 18위에 지내는 유교 제례이다.

[연원]

매년 음력 2월과 8월 상정일에 제례를 시행하는 연유는 『예기』의 제례법에 천도(天道)를 합하여 봄에 체제(禘祭)를 가을에 상제(嘗祭)를 지낸다고 하였다. 즉 하은시대(夏殷時代)에는 춘사(春祠), 하화(夏龢), 동증(冬烝), 주나라 때 춘사(春祠), 하약(夏礿), 추상(秋嘗), 동증(冬烝)으로 종묘치제(宗廟致祭)했던 것에 유래되어 봄·가을로 나누어 두 번 제례를 지낸다.

[신당/신체의 형태]

대성전에 모셔진 중국 선현 118위의 위패, 설총, 안유, 김굉필, 조광조, 이황, 이이, 김장생, 송준길 등 동재에 모셔진 위패, 최치원, 정몽주, 정여창, 이언적, 김인후, 성혼, 조헌, 송시열, 박세채 등 서재에 모셔진 위패가 있다.

[제관의 선정 및 역할]

헌관 및 제집사의 인원은 대성전 3명, 동·서종(東·西從) 각 2명, 동·서무(東·西廡) 각 3명, 집례, 대축, 당시의 장의(掌議) 찬인(贊人) 각 1명, 대성전, 동·서종, 동·서무 묘사(廟司) 각 1명, 판진설(判陳設) 2명, 봉향(奉香), 봉로(奉爐), 헌폐전폐(獻幣奠幣), 봉작(奉爵), 전작(奠爵), 사존(司尊), 알자(謁者) 각 1명이다. 대성전 초헌관은 강릉시장과 강릉교육장이 윤번으로 행하고, 아헌관은 당임 전교가 담당하며, 종헌관은 향중에서 나이 많고 덕 있는 유생 중에서 추천하여 전한다. 동·서종(東西從)과 동·서무(東西廡) 헌관 및 집례는 유림회원 중에서 학덕이 있는 적임자를 선정한다. 기타 제 집사는 청년회원 중에서 적격한 자를 결정한다.

[절차]

홀기에 의하여 제례를 시행한다. 집례의 창홀(唱笏)로서 소정위치에 들어가 먼저 초헌관이 진설을 살핀다.

찬인(贊人)이 대축과 제집사를 인도하여 소정 위치에 들어간다.

대축과 제집사가 관세위(盥洗位)에 나아가 관수(盥手), 세수(帨手)하고 대성전 계단 사이에 순서대로 선다.

알자와 찬인이 초헌관, 아헌관, 종헌관, 분헌관, 및 유생을 인도하여 소정 위치에 들어간다.

알자(謁者)가 삼헌관에게 행사를 알린다.

헌관 이하 참례자는 일동 사배(四拜)를 한다.

전폐례(奠幣禮)를 행한다.

초헌례(初獻禮)를 행한다.

아헌례(亞獻禮)를 행한다.

종헌례(終獻禮)를 행한다.

분헌례(分獻禮)를 행한다.

음복례(飮福禮)를 행한다.

망료례(望燎禮)를 행한다.

[제물/용품/제구]

제물은 도미(稻米), 양미(梁米), 여미(黎米), 직미(稷米), 희생(犧牲), 양생(羊牲), 시생(豕生), 록포(鹿脯), 어포(魚脯), 건극(乾棘), 진자(榛子), 릉인(菱仁), 염인(芡仁), 황률(黃栗), 어해(魚醢), 혜해(醯醢), 토해(兎醢), 형염(刑塩), 근저(芹葅), 구저(韭葅), 순저(筍葅), 청저(菁葅), 제주(祭酒) 등이다.

용구는 황촉(黃燭), 향(香), 폐백(幣帛), 축문지(祝文紙), 필(筆), 묵(墨), 홍보(紅褓), 등법유(燈法油), 국자(麴子), 창호지(窓糊紙), 폐구지(蔽口紙), 자촉(刺燭), 목탄(木炭), 취반보(炊飯褓), 목뢰(木牢) 등이다.

제구는 방형 뚜껑이 있는 보(簠), 원형 뚜껑의 궤(簋), 향합(香盒), 향로(香爐), 대촉대(大燭台), 소촉대(小燭台), 변두(籩豆), 유작(鍮爵), 유잔(鍮盞), 작판(爵板), 향로상(香爐床), 폐비(蔽篚), 제주상(祭酒床) 등이다.

[옷차림]

옷차림에는 관복(官服), 제복(祭服), 재복(齋服), 유건(儒巾), 목화(木靴), 홀(笏)이 있다.

[축문]

유 단군기원○○○○년 세차간지모월간지 삭모일간지 강릉시장모(수칭) 감소고우

선성대성지성문선왕 복이유왕 도관백왕 만세종사 자치상정 정인시의

근이 생폐예제 자성서품 식진명천 이선사

연국복성공안씨 성국종성송증씨 기국술성공공씨

추국아성공맹씨 배상

(維 檀君紀元○○○○年 歲次干支某月干支 朔某日干支 江陵市長某(隨稱) 敢昭告于

先聖大成至聖文宣王 伏以惟王 道冠百王 萬世宗師 玆値上丁 精禋是宜

謹以 牲幣醴齊 粢盛庶品 式陳明薦 以先師

兗國復聖公顔氏 郕國宗聖公曾氏 沂國述聖公孔氏

鄒國亞聖公孟氏配尙

饗)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