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302849 |
---|---|
한자 | 栗谷遺品-土地讓與書- |
영어음역 | Yulgok Yupum (byeoru, toji yangyeoseo) |
영어의미역 | Relics of Yulgok (Inkstone and Land Document)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유물(일반) |
지역 | 강원도 강릉시 율곡로3139번길 24[죽헌동 201번지]![]()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최호 |
성격 | 유물 |
---|---|
제작시기/일시 | 미상[벼루]|1579년[토지양여서]![]() |
제작지역 | 해주[토지 양여서] |
작가/제작자 | 이이 |
양식 | 벼루[가로 9.1㎝, 세로 16.1㎝]|토지 양여서[가로 26㎝, 세로 46㎝] |
재질 | 토지 양여서[한지]|벼루[고산석(高山石)] |
두께 | 벼루 0.8㎝ |
소장처 | 강릉시오죽헌시립박물관 |
소장처 주소 | 강원도 강릉시 율곡로3139번길 24[죽헌동 201번지] |
소유자 | 강릉시 |
문화재 지정번호 | 강원도 유형 문화재 제10호 |
문화재 지정일 | 1971년 12월 16일![]() |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 율곡 이이가 사용하던 벼루와 토지양여문서.
[개설]
강원도 강릉시 죽헌동의 강릉시오죽헌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1971년 12월 16일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 10호로 지정되었다. 오죽헌 어제각(御製閣)은 율곡 이이의 벼루와 토지양여문서를 소장하라고 정조가 지어 준 것이다.
[제작경위]
벼루는 율곡 이이[1536~1584]가 쓰던 것으로, 1788년(정조 12)에 정조가 이이의 유품이 강릉에 있다는 말을 듣고 가져오게 하여 보고 어제어필(御製御筆)한 것을 새긴 것이다.
토지양여서는 1579년(선조 12) 이이가 해주 석담에 있을 때 친필로 작성한 문서로 그의 소유 토지를 이종(姨從)인 권처균(權處均)에게 양여한다는 내용이다.
[형태]
벼루는 재질이 고산석(高山石)이며 가로 9.1㎝, 세로 16.1㎝, 두께 0.8㎝로 모가 약간 둥글게 깍은 사각 모양으로 가운데가 타원형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윗부분과 아랫부분에는 나뭇가지와 잎사귀를, 그 바탕에는 물결무늬를 돋을새김하였다. 뒷면에는 ‘함무지상공석 보궐시용귀동 운발묵문재자(涵婺池象孔石 普厥施龍歸洞 雲潑墨文在玆)’ 라는 명(銘)이 새겨져 있다.
토지양여서는 크기가 가로 26㎝, 세로 46㎝의 한지로 되어 있다. 이이와 증인 2명의 수결(手決)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