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301996
한자 -神
영어음역 Seonangsin
영어의미역 Village Tutelary Deity
이칭/별칭 성황,서낭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강원도 강릉시
집필자 윤성재

[정의]

강원도 강릉 지역에서 마을을 지키는 수호신.

[개설]

서낭신은 마을신앙 중에서 가장 광범한 분포를 보이는데, 한자로 성황신(城隍神)이라고 쓰는 신격을 봉안하고 제를 지내는 것을 말한다. 강릉 지방에서 서낭신앙에 대한 명칭은 동해안에 접한 어촌과 평야 중심의 농촌, 그리고 대관령을 중심으로 하는 산간 지역에서 그 명칭이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어촌에서는 용왕제, 풍어제, 서낭제, 해신제 등으로, 농촌에서는 고청제, 고봉제, 성황제 등으로, 산간마을에서는 산신제, 성황제 등으로 부른다.

[명칭유래]

성황은 『주역(周易)』에서 처음 보이는 용어로 중국의 요임금이 성지신(城池神)을 제사한 것에서 비롯된 중국의 신격이다. 성지는 성벽과 그것을 보완하는 도랑을 지칭한 수용(水庸)을 가리킨 것인데 우리의 서낭과 음이 같은 관계로 혼용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일부의 견해로는 우리의 토착적인 산신신앙인 산왕(山王)에서 서낭이 나왔을 것으로도 보고, 신라 화랑도의 신선사상인 선왕(仙王)에서 서낭이 유래했을 것으로도 파악하고 있다.

[연원]

우리나라에서 처음 성황신에게 제사한 때는 1055년( 문종 9)으로 동해안에 인접해 있던 선덕진에 새 성을 쌓고 그 곳에서 봄가을로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에서 알 수 있다.

성황신에 대한 최초의 기록이 영흥 이북 정평 이남의 동해안 인근 선덕진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은 동해안 일대 지역의 서낭신앙이 다른 지역보다 연원이 오래되었음을 보여 준다.

[변천]

우리나라에 들어온 성황신앙은 차츰 고유한 우리 민간신앙과 혼효되어 나타났는데, 고려 때 김부식은 서경에서 묘청(妙淸)의 난을 평정함에 따라 사람을 보내 성황신에게 제사했으며, 1236년(고종 23)에는 몽고병을 격파한 것을 성황신인 밀우(密佑)의 공이라 하여 ‘군성황신’이라는 호를 붙였다.

1360년(공민왕 9)에 홍건적의 난을 토벌하자 도·주·군(道·州·郡)의 모든 성황신에게 감사하는 제를 올리기도 하였다.

조선 초의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의하면 전국에는 성황당이 336개소가 있다고 했는데 강원도에는 26개소로 나타났다. 이를 보면 고려 문종 이후 조선조에 들어와서도 성황당이 국령으로 설치되어 고유신앙과 융합되는 계기가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제당의 형태]

서낭을 모시는 서낭당은 서낭나무 신수(神樹)에 돌무더기가 복합되고 이 신수에 백지, 청색·홍색·백색·황색·녹색 등의 5색 비단 헝겊을 잡아맨 형태가 대체로 많고, 돌무더기만 쌓아올린 형태, 서낭나무에 백지, 청색·홍색·백색·황색·녹색 등 5색의 비단 헝겊을 잡아맨 형태, 서낭나무에 당집이 복합된 형태, 입석(立石)의 다섯 가지 형태가 있다. 대개 마을로 들어가는 어귀나 고갯마루 길 옆에 잡석을 쌓아놓은 돌무더기에 신수가 복합되어 있는 형태로 나타난다.

[특징]

서낭신앙은 천신신앙과 그 연장의 변이 형태인 국수(국시)신앙, 산신신앙을 기반으로 여기에 후대에 들어온 시베리아, 몽골 등지의 오보(Ovoo) 신앙과 중국으로부터 들어온 성지신앙(城池信仰)인 성황(城隍)이 복합된 신앙이라 생각된다.

오보신앙 요소는 신수에 5색의 헝겊을 걸어 잡아매고 여기에 돌무더기가 있는 형태가 몽골의 오보를 비롯해 시베리아 등지에도 같은 신앙 형태가 있어서, 이런 형태는 시베리아에서 몽골·만주·한반도에 이르기까지 연결 띠를 형성하고 있다.

중국의 성황신앙은 성벽과 해자(垓字)를 함께 방호신으로 신앙한 데서 성황신앙이 형성되었음으로 볼 때, 우리나라의 서낭신앙은 마을을 수호하려는 중국 성황의 방호 기능이 서로 같아 복합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서낭당을 서낭신이 있는 거처로 믿어, 여기에 마을 사람들이 제를 올리며 밖에서 마을로 들어오는 잡귀와 액을 막아 달라는 내용으로 마을의 평안을 빌고, 여행자가 행로의 안전을 기원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1.12.16 2011 한자 최종 검토 1055년(고려 문종 9)으로 ->1055년(문종 9)으로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