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경포대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300559
한자 鏡浦臺賦
영어의미역 Ode to Gyeongpodae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강원도 강릉시 저동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정호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부(賦)
작가 이이
창작연도 1545년연표보기 - 강릉:이이, 「경포대부」 지음

[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이이(李珥)가 열 살에 지은 부(賦)

[개설]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에 1748년 경포대가 기울자 부사 조하망(曺夏望)이 누각의 모습을 옛 모습 대로 단장하였다는 기록이 나온다. 이때 오죽헌에 보관 중이던 「경포대부」를 찾아 그 내용을 가래나무에 새겨 경포대 기둥과 기둥 사이인 문설주 윗부분에다 걸었다고 한다. 「경포대부」『율곡전서(栗谷全書)』에 실려 있다.

[창작경위]

「경포대부」의 창작경위가 밝혀진 기록은 없다. 다만 이이가 열 살 때 지었다고 알려져 있을 뿐이다. 이이강릉 오죽헌에서 태어나 유년을 강릉에서 보낸 바 있으며, 그 후에도 강릉에서 지내는 때가 많았다. 오죽헌과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는 경포대를 방문한 이이가 거기서 느낀 감흥을 부로써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특징]

경포대의 특징적인 풍경을 봄·여름·가을·겨울로 구분하여 표현함에 있어 중국의 고사를 비유적으로 인용하였다. 「경포대부」의 앞부분은 경포대의 경치를 시각적으로 묘사한 내용이, 뒷부분은 자연을 통해 성정을 다듬어 경세제민(經世濟民)의 뜻을 펼칠 것을 강조한 내용이 있다.

[의의와 평가]

「경포대부」는 단순히 경포대의 실경만을 표현한 시문이 아니다. 마음을 비워 사물에 응하고 일을 합당하게 하면 정신이 일그러지지 않아 안으로 뜻이 지켜질 것이며, 산을 좋아하고 물을 좋아하는 것은 곧 인지(仁智)를 사모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이는 이러한 자연을 매개로 성정을 다듬어 사직(社稷)의 신하가 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