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도 강릉 지역에서 부모를 공경하고 극진히 봉양한 사람. 효도를 중요시한 조선 시대의 문화적인 전통은 전국 각지에서 수많은 효자를 낳았다. 그들의 지극한 효심은 학자들의 문집에 담기거나 효자비(孝子碑)의 비문에 실려서 가문의 자랑거리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젊은이들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덕행(德行)의 표준이 되어 왔다. 효행의 본보기로 기록에 남아 있는 사례들 중에서 특히...
-
조선시대의 효자. 13세에 아버지를 잃고 홀로 어머니를 모시고 살았다. 사람들과 함께 들일을 하러 갈 때에는 어머니를 업고 가서 나무 밑에 앉혀 놓았다가 점심때가 되면 자기 밥을 받아서 어머니에게 주고 자기는 일손을 쉬지 않았다. 보다 못한 마을 사람이 점심을 나누어 먹자고 하면 사양하며 “내 점심은 어머니에게 드렸는데 또 남의 점심을 나누어 먹어서야 되겠느냐”라고 하였다. 어머니...
-
조선 말기의 효자. 통정공(通亭公) 강회백(姜淮伯)의 후손이며 호조좌랑 강인회(姜麟會)의 동생이다. 나이 열네 살 때에 어머니의 병환이 위독하자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입에 넣어드려 소생시켰다. 아버지가 나이 60세에 등창이 났는데 강봉회는 약을 구해 오고 형 강인회는 손수 약을 달여 드려 효과를 보았다. 상을 당하여 형은 묘 옆에 여막을 짓고 아침 저녁으로 곡(哭)하며...
-
조선 말기의 강릉 지역의 효자. 통정공(通亭公) 강회백(姜淮伯)의 후손이며 효행으로 동몽교관(童蒙敎官)에 추증된 강봉회가 동생이다. 아홉 살 때 아버지의 종기를 입으로 빨아 독기를 빼내어 효과를 보았으며,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3년 동안 시묘살이를 하였다. 강인회에 대한 효행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 臨瀛誌)』인물조에 기재되어 있다. 1893년에 호조좌랑에 추증...
-
조선 말기의 효자. 고봉익(高鳳翼)은 성품이 효성스러워 어머니가 병이 나자 배설물을 맛보며 치료하였다. 또 어머니의 병을 대신해서 앓게 해 달라고 하늘에 빌면서 약시중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상을 당했을 때에는 3년 동안 시묘살이를 하였고, 상이 끝난 다음에도 비바람을 무릅쓰고 성묘를 하였다. 시묘살이를 할 때에 호랑이가 와서 보호해 준 기이한 일이 있었다....
-
조선 중기의 효자. 어버이를 섬길 때에 효성을 다하였으며 어머니가 병들자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흘려 넣어 낫게 하였다. 고욱에 대한 효행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인물조에 기재되어 있다. 고욱의 효행을 조정에서 듣고 1555년(명종 10)에 정려(旌閭)를 내렸다....
-
조선 후기의 효자. 오죽헌 권처균(權處均)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권윤재(權允載)이다. 권득형(權得衡)은 천성이 효성스러웠으며 어버이를 사모하는 추모의 정이 늙어갈수록 더하였다. 어버이의 묘소가 집에서 멀리 떨어져 있었으나 매월 초하룻날이면 더울 때나 추울 때나 항상 찾아가 성묘를 하였다. 어느 해 겨울에 눈이 많이 내려 도저히 더 갈 수가 없어 근처 마을에서 하...
-
조선 말기의 효자. 본관은 안동. 비조(鼻祖)는 고려 태사(太師)인 권행(權幸)이다. 고조는 권만선(權萬選)이고 증조는 권세섭(權世燮)이며 할아버지는 권민교(權敏敎)이고 아버지는 권성도(權星度)이다. 어머니는 전주이씨이며, 이숭진(李崇鎭)의 딸이다. 1794년에 태어나서 1874년에 81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열여덟 살에 어머니인 이씨가 병으로 14개월 동안을 앓았다. 이 때...
-
조선 중기의 충노. 심원준(沈元濬)의 여자 종으로 지극정성으로 주인을 섬겼다. 심원준의 처인 김씨가 사경을 헤매자 손가락을 잘라 피를 입에 넣어 소생시켰다. 향리 사람들은 주인을 극진히 섬긴 그 충성에 감복하여 ‘충노 금복 비(忠奴 金福 碑)’라는 비석을 세우고 그 마음을 기렸다....
-
조선 후기의 충노. 상전인 최택(崔澤)이 세 살 때부터 정성껏 길러 성인으로 성장하게 하였고, 여러 대의 제사를 자기가 보살펴 지냈다. 가묘(家廟)가 허물어져 비바람을 가릴 수 없게 되자 따로 사당을 짓고 기와를 올려 정교하게 꾸미고 신주를 봉안하였으며, 향 피우는 것을 그치지 않았다. 상전을 잘 모신 충성스러운 행동으로 어사(御使) 오명준(吳命俊)이 장계(狀啓)를 올려 정려를 받...
-
조선 중기의 효자. 할아버지는 김광복(金光輻)이다. 아버지는 김담(金譚)이며 어머니는 전주최씨 첨지(僉知) 최순령(崔舜齡)의 딸이다. 호는 동화(東華). 삼세사효(三世四孝) 중의 한 사람이다. 김경시(金景時)는 김경황(金景滉)의 아우로 지극한 효성으로 이름이 높았다. 연이어 부모상을 당하자 김경황과 함께 삼년 동안 시묘살이를 하였다. 교수(敎授)를 지냈다. 강릉대도호부사...
-
조선 중기의 효자. 아버지 김담(金譚), 동생 김경시(金景時), 아들 김한(金垾) 등 3세에 걸쳐 4명의 효자를 배출한 삼세사효(三世四孝) 중의 한사람이다. 자는 자호(子鎬), 호는 둔암(遯菴). 할아버지는 김광복(金光輻)이다. 아버지는 김담(金譚)이며 어머니는 전주최씨(全州崔氏) 최순령(崔舜齡)의 딸이다. 부인은 정해(鄭瀣)의 딸 숙부인 연일정씨이다. 참봉(參奉), 첨추(僉樞)를...
-
조선 중기의 효자. 본관은 강릉. 자는 자용(子容). 강릉김씨 부정공파(副正公派) 효자공 금산파(金山派) 파조이다. 아버지는 김당(金譡)이고, 어머니는 강릉최씨 최대연(崔大連)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김광헌(金光軒)이다. 부인은 강릉최씨 참봉 최읍(崔浥)의 딸과 강릉함씨 함비용(咸備容)의 딸이다. 함비용의 딸은 오봉서원 건립을 주도했던 함헌(咸軒)의 증손녀이다. 숙부 김담(金譚),...
-
조선 중기의 효자. 본관은 강릉. 김주원의 후손으로 부친은 낭장(郞將) 김광복(金光輻)이고, 모친은 삼척심씨 군수(郡守) 심희전(沈希佺)의 딸이다. 1539년(중종 34) 초시(初試)에 뽑혔으나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고향에서 부모를 봉양하였다. 부모님이 모두 돌아가신 후 김담의 나이 70세에 동지중추부사의 벼슬을 받았다. 아버지가 병이 났을 때는 변을 맛보기도 하였고, 아침저녁으로...
-
조선 중기의 효자. 김덕장(金德璋)은 명주군왕 김주원의 후손으로 1550년(명종 5년)에 강릉에서 태어났다. 무공랑행평강훈도(務功郞行平康訓導)였던 김덕장은 천성이 효성스러워 부모님 뜻에 어긋나는 일이 없었다. 부모님이 병석에 들었을 때는 단 한 번도 옷을 벗고 잠자리에 든 적이 없었고, 아버지가 위독했을 때 손가락을 끊어 생피를 올리기도 했다. 부친상을 당했을 때는 3년...
-
조선 말기의 효자. 김진(金璡)의 아들이다. 큰아버지 김원경(金元璟)의 양자가 되었으며 정성을 다하여 섬겼다. 생부(生父)가 병이 나서 오랫동안 고생하자 다른 자제나 종이 있었는데도 대소변을 손수 받아 치웠고 때가 묻은 빨래도 손수 하였다. 의원에게 물어 정성껏 약을 지어 올렸으며, 맛난 음식을 거르지 않고 마련하여 봉양하였다. 상을 당하자 가례를 따라 상례와 제례를 행...
-
조선 말기의 효자. 조선 전기의 강릉 출신 문신인 김몽호(金夢虎)의 후손이다. 부모님이 살아 계셨을 때나 돌아가셨을 때에도 지극한 정성으로 부모님을 섬기며 살았다. 어버이가 돌아가시자 예를 다하여 상을 치렀다. 김매진에 대한 효행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인물조에 기재되어 있다. 효행이 뛰어나 조정에서 동몽교관(童蒙敎官)을 증직하였다....
-
조선 말기의 효자. 성품이 지극히 효성스러워 어버이를 섬김에 정성을 다하였다. 상을 당하여 3년 동안 죽만 먹었으며, 상을 마친 뒤에도 의복과 음식을 화려하게 하지 않았다. 아들 김석진(金錫晉)도 부친의 병에 배설물을 맛보아 가며 간호하였고, 어머니의 병에도 마찬가지로 정성을 다하여 간호하였다. 상을 당하여서는 각기 3년씩 죽을 먹으며 시묘살이를 하였다. 김석진의 후처인 최씨도 지...
-
조선시대의 효자. 효성이 지극하여 고을에서 모두 칭송하였다. 가묘(家廟)에 불이 나자 죽음을 무릅쓰고 신주를 구해냈다. 김병구에 대한 효행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인물조에 기재되어 있다. 신주를 구해낸 사실을 사림에서 알려 호역을 면제받았다....
-
조선시대의 효자. 아버지는 김수호(金壽浩), 형은 김병렴(金秉濂)이다. 아버지가 병환으로 위독하자 약을 구하려고 먼 곳까지 돌아다녔다. 그러던 중 길가에서 산삼을 얻었으며, 꿩이 품으로 날아들어 아버지께 잡아 드렸다. 김병락에 대한 효행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인물조에 기재되어 있다. 감찰(監察)에 증직되었다....
-
조선시대의 효자. 김수호(金壽浩)의 아들이다. 동생은 효행으로 감찰에 증직되었던 김병락(金秉洛)이다. 어버이가 돌아가시자 3년 동안 상을 치렀으며, 초하루와 보름에는 빠짐없이 성묘를 하였다. 김병렴에 대한 효행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인물조에 기재되어 있다. 호조좌랑에 증직되었다....
-
조선시대의 효자. 지극한 효성으로 어버이를 섬겼다. 아버지가 위독하자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입에 넣어 얼마 동안 더 살게 하였으며,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자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매일 냇물을 건너 성묘를 하였다. 그러자 집안사람들이 묘막을 지어 주어 3년 동안 시묘살이를 할 수 있었다. 그 동안 호랑이가 와서 김부경을 지켜 주었다고 한다. 김부경에 대한 효행 기사는 『증...
-
조선 말기의 효자. 생원인 김계(金啓)의 손자이다. 4살 때 아버지를 잃고 효성을 다하여 어머니를 모셨다. 아버지가 돌아가신 뒤에 회갑을 맞이하여 머리를 풀고 3년 동안 상을 입었다. 눈비를 가리지 않고 아침과 저녁으로 아버지의 묘소에 가서 참배하였다....
-
조선 말기의 효자. 부모가 병에 걸려 매우 위급해지자 자신의 손가락을 끊어 치료하였다. 문학으로 세상에 널리 이름을 떨쳤다. 김성일에 대한 효행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인물조에 기재되어 있다. 동몽교관(童蒙敎官)에 증직되었으며 정려를 받았다....
-
조선 말기의 효자. 타고난 성품이 효성스러워 부모에 대한 음식 공양과 아침·저녁 문안을 한결같이 하였다. 아버지가 조금이라도 편찮으시면 하늘에 축원하기를 자기가 대신 앓게 해 달라고 하여 여러 번 기이한 효과를 보았다고 한다. 어버이 상을 다하여 3년간 시묘살이를 하였다. 정려(旌閭)를 받았다....
-
조선 중기의 효자. 어머니가 염병을 앓다가 오랫동안 기절해 있자, 모든 사람들이 돌아가신 줄로만 알고 장례를 치르려고 하였다. 그때 김시민은 동생 김시맹(金時孟)과 어쩔 줄 몰라 하다가,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어머니의 입에 흘려 넣고는 머리를 풀어헤치고 통곡을 하였다. 그러자 갑자기 어머니의 입술에 생기가 돌더니 정신을 차렸다. 또 26세 때 아버지가 위독해지자 목욕재계하고 하늘...
-
조선시대의 효자. 김연범(金演範)은 효자 김의진(金義鎭)의 현손이고, 보진재(葆眞齋) 김담(金譚)의 후손이다. 증광초시(增廣初試)에 올랐다. 지극한 효성으로 어버이를 섬기자 이 사실이 나라에 알려져 동몽교관(童蒙敎官)에 증직되었다. 나면서부터 재주가 비상하였다. 여섯 살 때에 참새를 쫓는 소리를 듣고 시를 짓기를 “넓은 들 곳곳에 새 쫓는 소리, 천년을 한결같이 신농(神...
-
조선시대의 효자. 강릉 정동(丁洞), 지금의 강원도 강릉시 경포동 사람으로 성품이 지극히 효성스러워 이웃에서 칭송이 자자했으며, 행실이 바르고 절도가 있어 친척과도 화목하였다. 나이 60세에 어머니의 상을 당하자 예를 다하여 상을 치렀으며, 삼년상을 마칠 때까지 상복을 벗지 않았다. 사림에서 효행을 부영(府營)에 알려 표창을 하였다....
-
조선시대의 효자. 어머니의 상을 당해 시묘살이를 할 때, 집에 홀로 계신 아버지를 보살피기 위해 아침저녁으로 어머니의 묘소까지 왕래를 하였다. 그러던 중 어느 한겨울에 폭설이 내려 묘소로 가는 길이 막혔다. 이 때 갑자기 호랑이가 나타나 눈을 헤쳐 길을 내 주었다고 한다. 김의진에 대한 효행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인물조에 기재되어 있다. 효행이 조정에 알려져...
-
조선 중기의 효자. 임진왜란 때 늙은 어머니를 업고 산중으로 피하던 중에 왜적을 만났다. 왜적이 뒤쫓아 오자 김인호는 끝까지 어머니를 업고 달아나다 결국 붙잡혀 죽임을 당하였는데, 효행에 감동한 왜적은 김인호의 어머니를 그대로 살려 두고 갔다. 김인호에 대한 효행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인물조에 기재되어 있다....
-
조선 말기의 효자. 어머니가 병에 걸렸을 때 복숭아를 몹시 먹고 싶어했다. 때는 늦가을이라 복숭아를 구할 길이 없어, 안타까운 마음에 김재숙은 낙엽만 남은 복숭아나무를 껴안고 울기 시작했다. 그러다 낙엽 가운데서 몇 개의 복숭아 열매를 발견하였는데, 이를 즉시 따다가 어머니에게 먹이자 병세가 금세 호전되었다. 김재숙에 대한 효행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인물조에...
-
조선 후기의 효자·충신. 자는 학노(學老), 호는 경운(畊雲). 정재공(定齋公) 박계립(朴啓立)의 후손이다. 1788년(정조 12)에 태어났다. 어버이를 섬기는데 지극히 효성스러워 효자로 칭송받았다. 신체가 장대하여 용력(勇力)이 매우 뛰어나 1829년(순조 29) 입번시(入番時) 대궐에 불이 나자 사나운 불길을 진화하는 등 나라를 위해 충성을 다하였다. 강원도 강릉시...
-
조선시대의 효자. 본관은 강릉. 삼가당(三可堂) 박수량(朴遂良)의 후손이다. 정성을 다하여 어버이를 섬겼다. 아버지가 병이 났을 때 배설물을 맛보아가며 치료하였고,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아버지의 입에 흘려 넣어 7일을 더 살게 하였다. 그후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3년 동안 시묘살이를 하였다. 사림에서 부영(府營)과 예조에 글을 올려 동몽교관(童蒙敎官)에 증직되었다....
-
조선 후기의 효자. 아버지가 병을 앓을 때 대변을 맛보며 간호를 하였고, 생선과 꿩을 얻어 아버지를 봉양하였다. 아버지의 상을 당하였을 때는 죽으로 연명하며 여묘살이를 하였다. 1865년(고종 2)에 강릉부와 순찰사가 “생선과 꿩을 구한 것은 왕상(王祥)이 붕어를 구해 효도한 것에 부럽지 않으며, 죽을 먹으며 몸소 여묘살이 한 것은 맹순(孟筍)의 효행과 비교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
조선시대의 효자. 본관은 강릉. 박수량(朴遂良)의 후손이다. 일찍이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를 정성껏 모셨다. 어머니가 병이 났을 때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입에 흘려 넣어 소생시켰으며, 어머니가 고기를 먹고 싶어 하자 흙덩이를 던져 오리를 잡아 드렸다. 어머니의 상을 당하자 3년 동안 시묘살이를 하였는데, 우물까지 거리가 멀어 여름철 홍수 때나 겨울철 폭설 때에 불편이 많았다. 그...
-
조선 중기의 효자. 강릉 12향현(鄕賢) 중의 한 사람으로 본관은 강릉. 아버지는 박수량의 조카 선무랑(宣務郞) 박구량(朴久良)이고, 어머니는 강릉최씨 최신로(崔信老)의 딸이다. 1563년(명종 18)에 효렴과(孝廉科)에 천거되어 사옹원 참봉이 되었다. 1566년(명종 21)에 청하현감(淸河縣監)으로 있다가 영평군수(永平郡守)와 청풍부사(淸風府使)를 지냈다...
-
조선 후기의 효자. 조선 영조 때 강원도에 대 기근이 들었다. 박원봉(朴元奉)은 이 때 80세였는데 낮에는 산에 가서 나무껍질을 벗겼고 밤에는 화롯불 옆에서 짚신을 삼아 시장에 팔아 쌀과 고기를 사서 98세의 어머니를 봉양했다. 관의 구호 대상자 명부에 박원봉과 그의 아내도 올랐다. 당시 강원감사(江原監司) 김리소(金履素)는 효자로서 박원봉의 이름을 익히 듣고 있던 터라...
-
조선시대의 효자. 아버지가 80세에 종기를 얻어 온몸에 번졌다. 박재환(朴在煥)은 밤낮으로 아버지의 병이 낫게 해 달라고 하늘에 빌었다. 약을 구하러 다니다, 길에서 노인을 만나자 노인이 두꺼비와 뱀을 복용하라고 하였다. 마침 겨울철이라 구할 길이 없었다. 어두워질 무렵 집으로 돌아오는데 길옆 숲 속에서 두꺼비가 뛰어 나오기에 잡아서 드렸다. 또 다음날에는 까마귀가 날면서 어지럽게...
-
조선시대의 효자. 어머니가 병이 났을 때,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입에 넣어 드려 하루를 더 살게 하였다.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3년 동안 죽을 먹고 상복을 벗지 않았다. 고을에서 효성이 지극하다고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박증석에 대한 효행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인물조에 기재되어 있다....
-
조선시대의 효자. 본관은 영월. 홍문관 박사(弘文館博士) 신응명(辛應命)의 5세손이다. 어려서부터 성품이 매우 효성스러웠다. 7세 때 어머니의 머리에 종기가 나자 자신의 입으로 빨아내어 낫게 하였다. 또 아버지가 병에 걸렸을 때 산에 들어가 사흘 밤낮으로 기도를 드리자 아버지의 병이 나았다. 16세 때 아버지가 중병에 걸려 혈기가 막히는 등 위독하자 칼로 자신의 손가락을 끊으려 하...
-
조선시대의 효자. 본관은 평산(平山). 신신기(辛申耆)의 손자이다. 평소 품성이 곧고 행동에 위엄이 있었다. 아버지가 나이가 많고 식성이 까다로워 날마다 맛 좋은 탁주를 마시고 신선한 국만 찾았는데, 신건동은 하루 세끼를 거르지 않고 갖추어 올려 드렸다. 비록 집안 살림이 가난해서 여기저기에서 빌려 오더라도 조금도 싫어하는 빛을 보이지 않으면서 10여 년간을 계속하였다. 또 아버지...
-
조선시대의 효자. 평생 어버이 섬기기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 초상을 당했을 때 어머니가 차가운 방에서 주무시자 신붕은 거적을 깔고 밖에서 잤다. 임진왜란 때 신붕이 어머니를 업고 난을 피해 가다 왜적에게 잡혔다. 그 때 왜적들이 두 사람을 죽이려고 하자 신붕이 어머니를 안고 애걸하였다. 효성에 감동한 왜적이 이들을 내버려두고 그냥 가버렸다. 그 후 어머니께서 천수(天壽)를 다하고...
-
조선시대의 효자. 본관은 평산. 주부(主簿) 신성하(辛聖河)의 현손이다. 아버지가 병이 나자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입에 흘려 넣어 며칠을 더 살도록 하였다.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3년 동안 시묘살이를 하였는데, 장끼가 묘막에 날아들고 황작(黃雀)이 보금자리를 만드는 기이한 일이 있었다. 또 산불이 났을 때 묘소 주위를 돌며 울부짖으니 불길이 다른 곳으로 옮겨갔다고 한다....
-
조선시대 강릉의 효자. 80세 때 집안사람 모두가 염병에 걸렸다. 그때 그의 아버지 안운(安雲)이 거의 죽게 되었는데, 자신의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흘려 넣어 아버지의 병을 낫게 하였다....
-
조선시대의 효자. 효도가 극진하여 어버이가 살아계실 때나 돌아가셨을 때 예를 다하였다. 백발이 되도록 경학(經學)을 공부했으나 과거에는 한 번도 급제하지 못했다. 이 사실이 나라에 알려져 특별히 선원전참봉(璿源殿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
조선시대의 충노(忠奴). 박영수(朴英秀)의 종이었으며 타고난 성품이 충직하고 공손하였다. 상전인 박영수의 상사(喪事) 때에는 6년을 하루같이 죽만 먹고 지냈다. 유성에 대한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인물조에 기재되어 있다. 부사가 쌀과 미역으로 포상하고 요역을 면제해 주었다....
-
조선시대의 열녀. 남편 황시령(黃是齡)이 일찍 죽어 나이 20세에 혼자가 되었다. 남자에게 욕을 당할까 두려워하며 다른 사람에게 시집가지 않기를 맹세하였다. 조카 황운학(黃雲鶴)의 집에 거처하면서 밤에는 열부(烈夫) 송씨의 집에 가서 자니, 마을 사람들이 모두 감탄하며 칭찬하였다고 한다....
-
조선시대의 충노(忠奴). 최빈현(崔斌鉉)의 종으로 상전이 대를 이을 자손이 없이 죽자 3년 동안 상식(上食)을 하루도 거르지 않고 올렸다. 또 상전의 4대에 걸친 제사를 받들고 산소의 성묘를 죽을 때까지 게을리 하지 않았다. 을득에 대한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인물조에 기재되어 있다....
-
조선 후기의 효자. 본관은 영해(寧海), 조선 전기의 효자 이양무(李陽茂)의 후손이다.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였다. 어머니의 병이 위급해지자 칼로 살을 베려고 하였다. 집안사람들이 칼을 빼앗아 감추자 자신의 손가락을 깨물어 그 피를 어머니에게 흘려 넣어 어머니가 열흘을 더 살게 하였다. 어머니가 세상을 떠나자 따라 죽었다. 숙종 때 조정에서 정려를 내렸다....
-
조선시대의 효자. 이동규의 아버지 이선빈(李善彬)이 남의 묘터를 잡아준 일이 있었는데 이 묘터가 상가집 종인 개산(介山)의 아버지 묘와 가까워 개산(介山)이 이선빈에게 원한을 품고 독살하였다. 이동규는 급히 장사를 지내고 관가에 이 사실을 알려 살인 사건으로 재판을 하기에 이르렀다. 개산(介山)이 끝내 자기가 지은 죄를 부인하자 방백(方伯)과 수령(守令)들도 명확한 사실...
-
조선시대의 효자. 아버지가 7년 동안이나 병석에 있을 때 밤낮으로 약시중을 들었다. 아버지가 임종할 무렵에는 자신의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입에 흘려 넣어 두어 얼마동안 더 살게 하였다. 아버지가 돌아가신 뒤에는 3년 동안 시묘살이를 하였다. 이동수에 대한 효행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인물조에 기재되어 있다. 사림에서 천거하여 정려를 받았으며, 동몽교관(童蒙敎官...
-
조선시대의 효자. 어버이가 몇 달 동안 병석에 있을 때 배설물을 맛보고 치료하였으며,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입에 넣어 드렸다. 3년 동안의 시묘살이를 처음 시작할 때 땅을 파서 샘물을 길어 썼는데, 시묘살이를 마치고 묘막을 철거하던 날에 그 샘물이 말라 버렸다고 한다. 이동인에 대한 효행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인물조에 기재되어 있다. 사림에서 표창을 하고 호...
-
조선시대의 효자. 본관은 영해. 이연(李壖)과 형제 사이로 조선 전기의 효자 이양무(李良茂)의 후손이며, 이당(李堂)의 사촌 동생이다. 성품이 효성스러워 어머니가 병이 나자 자신의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흘려 넣어 어머니를 소생시켰다. 아버지가 중풍으로 오래 고생하자 의관을 풀지 않고 밤낮으로 간호하기를 조금도 게을리 하지 않았다....
-
조선 후기의 효자. 본관은 영해. 이당(李堂)과 형제로서 조선 전기의 효자 이양무(李良茂)의 후손이다. 아버지의 병환이 위독하자 한겨울에 꽁꽁 언 얼음을 깨고 목욕재계한 후 밤낮으로 7일 동안 울면서 하늘에 기도를 올렸다.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열흘 남짓 되어 따라 죽었다. 부모를 극진히 섬기는 효심에서 나온 이같은 행위에 대해 모두들 슬퍼하였다고 한다 . 숙종 때 조정...
-
조선 전기의 효자. 본관은 영해. 자는 성시(聖始), 호는 눌재(訥齋). 아버지는 이장밀(李長密)이고, 어머니는 강릉최씨 호장(戶長) 최하(崔河)의 딸이다. 강릉 호가리(虎街里)[지금의 강원도 강릉시 옥천동]에서 태어났다. 학문이 높고 효성이 지극하여 고을 사람들이 백원당(百原堂)이라 불렀다. 일찍이 경사(經史)를 널리 섭렵하여 학문이 깊었고 문장도 뛰어났으나 가훈(家訓...
-
조선시대의 효자. 본관은 미상이다. 아버지는 이응명(李應命)이며, 효자 이지헌(李之憲)의 아우이다. 아버지가 호랑이에게 물려 죽자 사흘간 성복(成服)을 마친 후에 형과 함께 창칼을 들고 호랑이를 찾아 나서서 결국 호랑이를 죽여 아버지의 원수를 갚았다. 효행이 관부에 알려져 호역(戶役)을 면제받았다....
-
조선시대의 효자. 아버지는 이응명(李應命)이고, 아우는 이지면(李之冕)이다. 아버지 이응명(李應命)이 호랑이에 물려 죽자 아버지 상을 치르고 동생 이지면(李之冕)과 함께 호랑이를 찾아 나섰다. 멀지 않은 곳에서 호랑이를 발견한 두 형제가 재빨리 호랑이 앞으로 돌진하자 호랑이는 땅에 엎드렸다. 이 때 이지헌과 동생 이지면은 가지고 있던 창과 칼로 호랑이를 죽여 아버지의 원수를 갚았다...
-
조선시대의 효자. 15세 때 두 살 아래인 아우 이취번(李就藩)과 함께 어머니를 따라 산에서 밭을 매고 있을 때, 갑자기 큰 호랑이가 나타나 어머니를 잡아먹으려고 하였다. 이태번이 호미로 호랑이를 내려치고 이취번은 어머니를 껴안고 하늘을 부르며 통곡을 하였다. 그러자 호랑이가 끌고 가던 어머니를 버리고 머리를 수그리고 가 버렸다. 두 형제는 어머니를 업고 재빨리 집으로 돌아와 죽음...
-
조선시대의 효자. 어머니의 병환이 위중하자 밤낮으로 자기를 대신 앓게 해 달라고 하늘에 빌었고, 변을 맛보며 치료하였다.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약에 섞어 드려 여러 번 회생시켰다. 동몽교관(童蒙敎官)에 증직(贈職)되었고, 호역(戶役)을 면제받았다....
-
조선시대의 효자. 영일(迎日)정씨(鄭氏)로,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의 후손이다. 어버이의 병이 심해지자 명산대천을 찾아다니며 다섯 달 동안 기도를 올렸다. 기도가 효험이 있어 천수를 누리다가 돌아가셨다. 어버이가 돌아가신 후에는 죽만 먹었으며, 상복을 벗지 않고 하루도 거르지 않고 성묘를 하였다. 집에 있을 때에는 새벽마다 사당에 배알하였으며, 늙어서도 조금도 게을...
-
조선시대의 효자. 본관은 영일(迎日).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의 후손이다. 부모님이 병이 들자 변을 맛보며 치료하는 등 지극 정성을 다하였다. 어느 날 새벽에 물을 긷다가 물고기가 함께 올라와 잡아다 드렸더니 부모님의 병이 나았다고 한다. 사람들이 그의 효성에 하늘이 감동한 것이라고 하였다. 예조에서 표창을 내렸고, 호역(戶役)을 면제받았다....
-
조선시대의 효자. 본관은 영일(迎日).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의 후손이다. 부모님의 병환이 위독할 때에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입에 넣어드리기도 하는 등 정성을 다해 봉양하였다. 상(喪)을 당하여서는 3년간 시묘살이를 하고, 예를 다하여 참배하였다. 고을 사람들이 그의 아름다운 행실을 찬양하였으며, 부영(府營)에서 표창하였다....
-
조선시대의 효자. 본관은 영일(迎日).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의 후손이다. 성품이 효성스러워 어려서부터 맛있는 음식이 있으면 반드시 가져다 부모에게 드렸고, 병환이 있을 때에는 밤낮으로 간호하였다. 부모님이 돌아가시자 죽을 먹으며 시묘살이를 하는 등 효성이 지극하였다. 관에서 효행을 표창하여 동몽교관(童蒙敎官)으로 증직(贈職)하였다....
-
조선시대의 효자. 본관은 미상. 효자로 이름 높았던 정종현(鄭宗玹)이 형이다. 어려서부터 효행이 뛰어났다. 아버지가 돌아가셨을 때 9살의 어린 나이였지만, 상막(喪幕)을 잠시도 떠나지 않고 지켰으며 따뜻한 방에 거처하지 않았다.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형과 함께 3년 동안 시묘살이를 하였다. 묘소 옆에 평소 어머니가 즐겨 드셨던 고사리가 나자 이를 캐어 아침과 저녁으로 올렸다. 부영(...
-
조선시대의 효자. 아우인 정종수(鄭宗琇)와 함께 두 형제가 모두 효성이 뛰어나 어려서부터 어버이의 뜻에 어긋남이 없었다. 아버지가 돌아가셨을 때에는 14살의 어린 나이였음에도 불구하고 동생과 함께 상막(喪幕)을 지켰으며 따뜻한 방에 거처하지 않았다. 어머니 상을 당했을 때에는 형제가 함께 3년 동안 시묘살이를 하였다. 형제의 효행이 알려져 부영(府營)에서 호역(戶役)을 면제해 주었...
-
조선시대의 효자. 본관은 창녕. 충정공 조계상(曺繼商)의 후손이다. 지극한 효성으로 부모를 섬겨 고을에 소문이 자자했다. 상을 당하여 3년간 시묘살이를 할 때에도 조금도 게을리 하지 않았다. 조순진에 대한 효행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 臨瀛誌)』인물조에 기재되어 있다. 조순진의 효행이 나라에 알려져 동몽교관(童蒙敎官)에 증직되었다....
-
조선시대의 효자. 어버이를 섬길 때 정성을 다했다. 아버지가 목에 종기가 나서 고생하자 흑질백장(黑質白章)이라는 뱀이 효과가 있다는 말을 듣고 백방으로 구했으나 도저히 구할 수가 없었다. 그러자 손수 숲속 바위틈을 찾아다니며 큰 뱀이나 구렁이가 흑질백장과 비슷하면 무조건 잡아다 아버지에게 드렸다. 이와 같은 일을 4~5년 동안 계속하였다. 조영기에 대한 효행 기사는 『증...
-
조선시대의 효자. 어느 해 겨울 아버지가 병에 걸렸을 때 잉어가 먹고 싶다고 하였으나, 추운 날씨 때문에 도저히 잉어를 구할 길이 없었다. 그러자 잉어를 직접 잡기로 하고 동생 조정주(趙鼎周)와 함께 강가에서 단단한 얼음을 깨기 시작했다. 결국 매서운 추위에도 불구하고 잉어를 잡을 수 있었다. 집에 돌아와서 잉어를 아버지에게 먹이니, 아버지의 병이 씻은 듯이 나았다. 조...
-
조선시대의 효자. 부모를 봉양하는 데 지극정성으로 하였다. 어머니가 9개월 동안 중병에 시달리자 칠성단(七星壇)을 쌓고 100일 동안 치성을 드려 어머니를 낫게 하였다. 조진묵(趙晉黙)에 대한 효행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인물조에 기재되어 있다. 사림에서 효자라 칭송하며 부영(府營)에 보고하였다. 부영(府營)에서 표창하고 요역(徭役)을 면제해 주었다....
-
조선시대의 효자. 본관은 창녕(昌寧). 진사 조영진(曺英振)의 후손이다. 어려서부터 효행이 뛰어나 부모에게 아침 저녁 문안 인사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 산골에 살고 있었는데, 하루는 부모가 병이 나자 약을 구하러 100리 밖에까지 나갔다. 어느덧 날이 어두워져서 집으로 돌아오던 중에 길을 잃고 헤매기 시작했다. 그 때 갑자기 호랑이 한 마리가 나타나 꼬리를 흔들며 앞길을 인도하여...
-
조선시대 강릉 출신의 효자. 본관은 강릉. 아버지는 최승원(崔承源)이고 동생은 최두령(崔斗齡)이다. 강릉 지역의 향리였다. 효성이 지극해 생부(生父)와 양부(養父)를 위하여 3번이나 손가락을 끊었다. 성산(城山) 백양동(白楊洞)에 있다고 전해지나 현재의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다. 1706년(숙종 32) 어사(御使) 오명준(吳命峻)의 별단서계(別單書啓)로 정려...
-
조선시대의 효자. 본관은 강릉(江陵). 이조참판을 지낸 조은(釣隱) 최치운(崔致雲)의 후손이다. 평소에 효성이 지극하여 아버지가 병이 나자 변을 맛보며 치료를 하였다.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3년 동안 죽만 먹으며 3년상을 지냈다. 최수정(崔受禎)에 대한 효행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인물조에 기재되어 있다....
-
조선 후기의 효자. 본관은 강릉(江陵). 자(字)는 정여(正汝). 최문한(崔文漢)의 후손으로 강성군(江成君) 최세건(崔世楗)의 12세손이다. 정성을 다해 어버이를 섬겼으며,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넣어드리는 등 효성이 지극하였다. 최심하(崔心河)에 대한 효행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인물조에 기재되어 있다. 지극한 효성으로 중학교관(中學敎官)에 증직되었다....
-
조선 중기의 효자. 본관은 강릉. 자는 성중(盛中), 호는 사가당(四佳堂)·지곡(芝谷). 강릉최씨 문한계(文漢系)의 후손으로, 조부는 이조판서를 지낸 강성군(江城君) 최세건(崔世楗)이고, 부는 사재감 부정(副正) 최옥(崔沃)[1511~1572]이다. 형으로 최운흘과 최운준이 있고, 아우는 최운집이다. 아버지가 병환이 있을 때에는 변을 맛보며 보살폈고, 상(喪)을 당하여서는 예를 다...
-
조선시대의 효자. 3살의 어린 나이에 어머니가 병환으로 거의 죽게 되자 손가락을 씹어 그 피를 넣어드리니 하룻밤을 지나 소생하였다. 그 후 아버지의 병간호에도 밤낮을 가리지 않았으며, 약을 구하러 다니다 하루는 어두운 밤길에 호랑이 꼬리를 밟고 지나갔으나 호랑이에게 물리지 않았다고 한다. 또한 아버지가 꿩고기를 먹고 싶어 하자 꿩이 저절로 날아들어 오기도 하였다. 조정에서 정려(旌...
-
조선 중기의 효자. 아버지가 병이 들자 손가락을 잘라 그 피를 약에다 섞어 올리자 병이 나았다. 1508년(중종 3)에 정려(旌閭)를 받았다....
-
조선 후기의 효자. 부모가 병이 났을 때 병의 차도를 알아보기 위해 변을 맛보아 가며 간호하였고,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입에 흘려 넣는 등 효행이 뛰어났다. 82세까지 살았으며 그의 아들 최방빈(崔邦彬) 또한 효행으로 이름이 알려졌다. 1841년(헌종 7)에 음사(蔭仕)로 오위장(五衛將)을 역임하였다. 조정에서 최점록의 효행을 듣고 정려를 내렸다. 한림(翰林) 조휘림(趙徽林)이...
-
조선시대의 효자. 본관은 강릉(江陵). 첨추(僉樞) 최익록(崔益祿)의 아들이다. 3년 동안 시묘살이를 하며 죽을 먹었고, 국상(國喪)과 인산(因山)에는 3년간 고기를 먹지 않았다. 최정검에 대한 효행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인물조에 기재되어 있다. 부사 조흥진(趙興鎭)은 최정검의 효행을 듣고 요역(徭役)을 면제해 주었다. 또한 사림에서 여러 번 관에 호소하여 “...
-
조선시대의 효자. 최치운의 후손이다. 부모가 살아계실 때는 부모를 정성껏 봉양하였다. 아버지의 상을 당해서는 집에서 5리쯤 떨어져 있는 사천(沙川) 용연동(龍淵洞)에다 장사를 지냈으며, 3년 동안 하루도 거르지 않고 성묘를 하였다. 하루는 새벽에 성묘를 갈 때 호랑이가 나타나 묘 앞까지 길을 인도하였다. 성묘를 마치고 돌아올 때도 매번 호랑이가 앞서서 집 근처까지 인도하...
-
조선시대의 효자. 열한 살 때 어머니가 미친개에게 물려 죽을 지경에 이르렀다. 고을의 의원이 살펴보더니 “사람의 이가 가장 좋은 약이다.”라고 말하였다. 옆에서 듣고 있던 최창효는 곧바로 자신의 이 세 대를 뽑았다. 그리고 불에 태워 가루로 만들어 어머니의 상처에 발라 어머니를 살렸다. 최창효에 대한 효행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 臨瀛誌)』인물조에 기재되어 있다. 사림에...
-
조선 중기의 효자. 아버지 최운상(崔雲祥)의 병이 위급할 때 자신의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아버지의 입에 흘려 넣어 병을 낫게 하였다. 최충남(崔忠男)에 대한 효행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인물조에 기재되어 있다. 최충남의 효행을 조정에서 듣고 1559년(명종 14)에 정려를 내렸다....
-
조선시대의 효자. 22세 때 아버지가 중병에 걸렸다. 그러자 자신의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아버지의 입에 흘려 넣었더니, 아버지의 병이 완쾌되었다. 최태민에 대한 효행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인물조에 기재되어 있다. 최태민(崔泰旻)의 효행을 조정에서 듣고 정려를 내렸다....
-
조선시대의 효자. 어린 나이에 어머니를 잃었는데 점차 자라면서 어머니의 얼굴을 알지 못함을 통탄하였다. 그러다 어머니의 무덤을 다른 곳으로 이장할 때 관을 보고 통곡하였다. 그 후 처음 상을 당하였을 때와 마찬가지로 3년 상을 치렀다. 최택항에 대한 효행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인물조에 기재되어 있다....
-
조선시대의 효자. 본관은 강릉. 향리 출신으로 효자 최두상(崔斗相)의 현손이다. 성품은 굼뜨고 우직스러웠으나 효성만은 지극하였다. 아버지가 갑자기 중병에 걸려 죽게 되었을 때 의원이 뱀의 기름을 쓰면 효험이 있을 것이라고 하자, 정화수를 떠 놓고 하늘에 빌고는 백방으로 뱀을 구하려고 다녔다. 마침 추운 겨울이라 뱀을 구할 길이 없어 밤낮으로 통곡하였다. 하루는 까마귀 한 마리가 지...
-
조선시대의 효자. 어머니가 위독하자 자신의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입에 흘려 넣어 어머니를 회생시켰다. 아버지가 뱀에 물렸을 때에는 뱀을 잡아 그 허리를 씹어 피를 뽑아 아버지의 입에 넣어 드리자 즉시 나았다고 한다. 사림에서 지극한 효성에 시를 지어 칭송하였다....
-
조선시대의 효자. 본관은 강릉(江陵). 교리(校理) 최자점(崔自霑)의 후손이다. 아홉 살 때 아버지의 상을 당하자 옷깃을 부여잡고 슬퍼하였으며, 비바람을 가리지 않고 날마다 성묘를 하였다. 또한 집안 살림이 가난해도 몸소 맛있는 음식을 마련하여 어머니를 극진히 공양하였다. 어머니의 병이 위독하자 자신이 대신 아프기를 하늘에 빌었으며, 어머니의 상을 당하자 시묘살이를 하면서 채식만...
-
조선 후기의 효자. 1763년(영조 39) 생원에 올랐다. 56세 때 아버지가 돌아가지자 예를 갖추어 상을 치렀다. 장례를 마치고 바로 아버지의 묘 옆에다 묘막을 짓고 3년 동안 죽만 먹었다. 또한 아침저녁으로 묘소에 나아가 절을 하고는 꿇어앉아 슬피 울었다. 이웃 사람들이 이를 듣고 모두 감복하였으며, 강릉부사 유의양(柳義養)이 자주 찾아 위로하였다. 강원감사 이형규(李亨逵)가...
-
조선시대의 효자. 효성이 뛰어나 하늘이 낸 사람이라 하였다. 어머니의 병환에 변을 맛보아 가면서 병세를 살폈고, 위중해지자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입에 넣어드려 소생시켰다. 어머니가 산꿩을 먹고 싶다고 하자 이튿날 새벽 뜰 안에 있는 살구나무에 꿩이 날아들어 활로 쏘아 잡았다. 사람들이 효성이 지극한 탓에 꿩을 잡을 수 있었다고 하였다. 숙종 때 조정에서 정려(旌閭)를...
-
조선시대의 효자. 본관은 강릉. 함윤근(咸允根)의 아들이다. 아버지의 병이 위급하자 제단을 쌓고 자기가 대신 앓겠다고 빌었다. 의원이 뱀탕이 효험이 있다고 하자 수천 마리를 잡아다 약을 지어 드렸다. 아버지가 붕어회를 먹고 싶어 하여 웅덩이를 파니 본래 붕어가 없는 곳임에도 불구하고 몇 마리의 붕어를 얻을 수 있어 이것을 잡아다 드렸다. 아버지의 상(喪)을 당해서는 3년간 시묘살이...
-
조선시대의 효자. 본관은 미상. 아들은 홍순대(洪順大)로서 역시 효행이 뛰어났다. 어머니가 고령(高齡)으로 행동이 자유롭지 못하자 항상 옆에서 부축하며 보살폈다. 어머니가 고기를 먹다 뼈가 목에 걸려 나오지 않자 울면서 빨아냈다. 또한 어머니의 병환에 변을 맛보며 치료하였으며, 위독할 때는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입에 넣어드려 소생시켰다. 어머니가 천수를 다하고 죽으니 70세의 나...
-
조선시대의 효자. 본관은 미상이며, 아버지는 업유(業儒) 홍봉산(洪奉山)이다. 효행이 뛰어났으며,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자 3년 동안 죽을 먹으며 상을 치렀다. 홍순대(洪順大)에 관한 효행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인물조에 기재되어 있다. 관청에서 홍순대의 지극한 효행을 듣고 호역(戶役)을 면제해 주었다....
-
조선시대의 효자. 성품이 지극히 효성스러웠다. 어머니가 중병에 걸려 위독하자 자신의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입에 흘려 넣어 어머니를 다시 살게 하였다. 그 후 어머니는 14년을 더 살았다. 황손길(黃遜吉)에 대한 효행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인물조에 기재되어 있다....
-
조선시대의 열녀. 나이 22세에 남편이 병이 들어 급기야 숨이 끊어지려고 하자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입에 넣어 며칠을 더 살게 하였다. 남편이 죽자 세수도 하지 않고 정절을 지켰다. 고익지(高益智) 처 신씨에 대한 효열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인물조에 기재되어 있다. 마을 사람들이 부영(府營) 및 어사(御使)에게 호소하여 포상을 받았다....
-
조선시대의 열부. 나이 19세에 남편의 상을 당하여 상장(喪葬)의 예를 다하고 삼우제(三虞祭)가 끝나는 날에 남편을 따라 죽었다. 고제인(高濟寅) 처 전씨에 대한 효열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인물조에 기재되어 있다. 여러 번 관부에 알려져 아름다운 행실을 기리는 글이 내려졌다....
-
조선시대의 효부. 권수근은 효자 권은상(權殷常)의 후처 김씨의 아들이다. 권은상의 며느리는 정씨이다. 시어머니인 김씨가 제사를 보러 친정에 갔다 돌아오는 길에 눈보라를 만나 살을 에는 듯한 추위와 굶주림에 지쳐 겨우 집 앞에 있는 산에까지 와서는 더 이상 갈 수가 없었다. 아들을 부르자 홀로 있던 정씨가 그 소리를 듣고 급히 달려가 자기 치마를 찢어 시어머니의 발을 감싸...
-
조선시대의 열녀. 열아홉의 나이에 남편이 세상을 떠나자 3년 동안 시묘살이를 하면서 머리를 빗지 않고 세수도 하지 않았다. 남편의 죽음을 애통해 하며 남은 생을 보냈다. 권수영(權秀永) 처 김씨에 대한 효열 기사는 『동호승람(東湖勝覽)』 열부조에 기재되어 있다....
-
조선 말기의 열녀. 시부모를 효성을 다해 모셨다. 시어머니가 병이 나자 변을 맛보며 치료하였고, 또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입에 넣어드렸다. 시어머니의 상을 당했을 때, 베를 짜서 받은 품삯으로 제수를 마련해 상을 잘 치렀다. 남편인 권억영은 스승을 따라 유학하고 있다가 불행하게 일찍 죽었다. 남편이 죽었다는 소식을 들은 날로부터 식음을 전폐하고 따라 죽을 것을 결심했으나 늙으신...
-
조선 말기의 열녀. 김규현(金奎鉉)의 딸이다. 35년의 짧은 생애를 병든 남편을 위해 희생하였다. 남편인 권은상(權殷常)이 중병에 걸려 위독해지자 자신이 대신하여 죽겠으니 남편을 살려 달라고 빌며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마시게 하는 등 정성을 다하여 간호하였다. 그 결과 남편은 회복되었으나 김씨는 마침내 죽고 말았다. 강릉부사로부터 호역을 면제한다는 포상문(褒賞文)을 받...
-
조선시대 말기의 효부(孝婦). 지극한 효성으로 시어머니를 모셨으며 처음부터 끝까지 조금도 게으르지 않았다. 권종열(權鍾烈)의 처 김씨에 대한 효행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인물조에 기재되어 있다. 시부모에 대한 지극한 효성으로 정려를 받았다....
-
조선시대의 열녀. 22세 때 남편이 병이 나자, 목욕재계하고 정성을 다해 남편을 낫게 해 달라고 하늘에 빌었다. 남편의 병이 위독하자 자신의 손가락을 깨물어 그 피를 입에 넣어 주었으나, 남편은 끝내 죽고 말았다. 남편의 상을 마친 뒤 최씨는 시부모께 영결을 고하고 조용히 남편을 따라 죽었다. 권진수(權震洙)의 처 최씨에 대한 효열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
-
조선 중기의 열녀. 임진왜란 때에 적을 피해 산골짜기로 들어가다가 적을 만났다. 적이 김씨를 욕보이려고 하자 김씨는 칼을 빼앗아 자살하려고 하였다. 김씨는 있는 힘을 다해 대항하며 끝내 굴하지 않았다. 적은 화를 내며 김씨를 베고 가버렸다. 윗동서인 권처평의 처 최씨 또한 정조를 지켰다....
-
강원도 강릉 지역에 살았던 조선 중기의 열녀. 조은(釣隱) 최치운(崔致雲)의 후손으로 진사 최문해(崔文海)의 딸이다. 권처평(權處平)의 처 최씨는 임진왜란 때 왜적을 만나 욕을 보일 위기에 처하자 벼랑에 스스로 몸을 날려 죽음으로써 정절을 지켰다. 아들 권덕유(權德裕)는 왜적의 손에 죽은 어머니 시체를 안고 장례를 치른 후 3년 동안...
-
조선 말기의 효·열부. 지극한 정성으로 시부모를 섬겼다. 남편이 죽자 늘 칼을 품고 자결하려고 하였으나, 집안사람들이 이 사실을 알고 겨우 만류하여 보호하였다. 스스로 죄인이라 하면서 문밖을 나가지 않았으며 해를 보지 않았으며, 흰 옷과 변변찮은 음식을 입고 먹으며 일생을 보냈다. 남편의 기일에는 종들에게 시키지 않고 제물을 손수 정성껏 마련하였으며, 제사를 마치고는 초상 때처럼...
-
조선시대의 열녀. 시집간 지 사흘 만에 남편이 병이 나자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입에 넣어 회생시켰으나 남편은 사흘을 더 살다 죽었다. 동생들에게 말하기를 “내가 남편을 따라 죽고 싶으나 시부모가 계시고 또 뱃속에 아이가 들었으니 한때의 슬픔을 참고 견디어 뒤에 바른 길로 가겠노라”고 하였다. 그 뒤 아들을 낳아 “할아버지 할머니를 정성껏 봉양하라”고 가르쳤다. 묘막에서 삼년상을...
-
조선시대의 효부·열녀. 남편의 병이 위독하자 손가락을 끊고 그 피를 입에 넣어 사흘을 회생시켰다. 남편이 마침내 죽자 자살을 하려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다. 장사지내는 날 남편의 시신과 함께 구덩이에 뛰어들어 죽으려 하자 “시부모가 아직 살아 계시는데 죽으면 누가 봉양하겠느냐”며 집안사람들이 온갖 말로 타일러 끝내 뜻을 이루지 못했다. 김낙범(金洛範)...
-
조선 전기의 효부. 95세를 살면서 시부모에게 효성을 다하였다. 김담(金譚)의 어머니 심씨(沈氏)에게는 눌질정(訥叱丁)이라는 여종이 있었는데 이 여종은 84세를 살면서 심씨를 정성껏 봉양했고 죽은 뒤에도 3년 동안 상복을 입었다. 사람들이 “소리(所里)의 딸은 오래 살면서 효성을 다했고 심씨의 종은 90세가 가깝도록 충성을 다하였다.”고 하면서 칭송하였다....
-
조선 말기의 효부. 한평생을 남편과 시아버지를 위해 헌신적인 삶을 살았다. 남편이 병이 난 지 오래되어 위급한 지경에 이르자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남편의 입에 넣어 소생시켰다. 또 시아버지가 병이 나자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입에 넣어드렸다. 사림에서 그의 효열에 감동하여 부영(府營)에다 여러 번 글을 올렸다....
-
조선 말기의 열녀. 어버이를 지극한 효성으로 섬겼다. 남편이 병이 들어 병세가 점차 위급해지자 김씨는 매일 밤 목욕하고 하늘에 빌었으며, 운명할 무렵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입에 넣어주었으나 남편은 결국 죽고 말았다. 밤낮으로 울며 예를 다하여 상을 마치고는 스스로가 죄인이라 자처하면서 빗질과 세수도 하지 않고 문밖에 나가지도 않았다. 병이 나 위급한데도 약 먹기를 거부하여 끝내...
-
조선시대의 열녀. 평소 효성을 다해 시부모를 섬겼다. 하루는 시어머니와 함께 자다가 시어머니가 변소에 간다기에 부축하여 문을 나섰는데, 그때 갑자기 호랑이가 시어머니를 잡아가려 하였다. 최씨는 한 손으로 시어머니를 껴안고 다른 한 손으로 호랑이를 내리쳤다. 호랑이는 몇 발자국을 끌고 가다 버리고 달아났다. 최씨는 시어머니를 업고 돌아와 정성껏 치료하였으나 이튿날 아침 세상을 떠났다...
-
조선 후기 강릉 지역의 장수 인물. 1764(영조 40년) 12월 그믐날 오시(午時)에 99세의 나이로 죽었는데 다섯 시간이 모자라는 100세를 살아 자손들이 100세 할머니라고 불렀다....
-
조선시대의 열녀. 남편 김습(金習)이 죽자 3년 동안 죽만 먹었고, 머리 빗질과 세수도 하지 않고 옷도 갈아입지 않았다. 3년상을 무사히 끝내고 제사를 마친 최씨는 다음날 앓지도 않고 갑자기 세상을 떠났다. 김습 처 최씨에 대한 효열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인물조에 기재되어 있다....
-
조선시대의 열녀. 시아버지가 세상을 떠났을 때 남편 김시린(金始麟)이 애통한 나머지 거의 죽을 지경에 이르렀다. 그러자 자신의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남편의 입에 흘려 넣어 사흘을 더 살게 하였다. 남편이 세상을 떠나자 남편을 따라 죽으려고 했다. 집안사람들이 말려 뜻을 이루지 못했으나, 상을 마친 뒤 남편을 따라서 세상을 떠났다. 김시린 처 최씨에 대한...
-
조선시대의 열녀. 어려서부터 가정의 엄한 가르침을 받고 자랐으며, 시집을 가서는 남편 김시중(金始重)과 시부모를 정성껏 모셨다. 남편인 김시중이 기랑(騎郞)의 벼슬을 사직하고 고향으로 오는 중 양근현(楊根縣)에서 갑자기 병이 나 위독하게 되었다. 마침 김시중의 종이 밤새 달려와 병세를 알리자 팔순인 부모는 어찌할 바를 몰랐다. 그때 시어머니를 위로한 후, 목욕재계하고 하늘에 기도를...
-
조선시대의 열녀. 남편 김언진(金彦鎭)이 중병에 걸려 매우 위독하였다. 그러자 어린 자식들과 영원히 이별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은 후 김언진과 같은 무덤에 묻혔다. 김언진 처 신씨에 대한 효열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인물조에 기재되어 있다....
-
조선시대의 열녀. 시어머니가 위독하자 낮에는 의원에게 약을 구하였고 밤에는 신에게 제사를 지냈다. 시어머니가 목숨을 거두자 죽은 시어머니의 입에다 자신의 입을 대고 밤새도록 목구멍에 침을 흘려 넣으니, 다음 날 아침 시어머니의 방에서 두드리는 소리가 들렸다. 다시 살아난 시어머니가 “목숨에는 한정이 있으니 피할 수 없다.”라고 말하고는 곧 숨을 거두었다고 한다. 남편 김연생(金演生...
-
조선시대의 열녀. 20세에 남편 김연조(金演祚)가 세상을 떠났다. 남편을 따라 죽으려 하였으나, 집안 사람들이 제지하여 그 뜻을 이루지 못했다. 얼마 후 시어머니가 세상을 떠나자 음식을 먹지 않고 슬퍼하다가 결국 죽었다. 효행이 관에 알려져 정려(旌閭)를 받았다....
-
조선시대의 열녀. 남편 김운성(金雲成)은 보따리 장사를 하느라 영남 지방에 갔다가 죽었다. 당시 부음을 듣고 시신을 거두려 곧 달려가려 했으나 늙으신 어머니와 어린애들이 있어 틈을 낼 수가 없었다. 그 후 마침 어머니도 돌아가시고 아이들도 어느 정도 성장하자 마음을 굳게 먹고 남편이 죽은 곳으로 떠났다. 그런 다음 남편의 유골을 거두어 짊어지고 돌아와 장례를 치렀다....
-
조선시대의 열녀. 남편이 중병에 걸리자 지극정성으로 남편을 간호하였고, 남편의 변을 맛보며 병을 관찰하였다. 남편이 잉어를 먹고 싶다고 하자 호숫가로 달려갔는데, 그때 마침 커다란 잉어가 뛰어올라 물 밖으로 나왔다. 그 잉어를 잡아 남편에게 먹였지만, 남편의 병이 더 위급해졌다. 그러자 손가락을 잘라 수혈(輸血)하였다. 김원의 처 최씨에 대한 효열 기사는...
-
조선시대의 열녀. 나이 20세 때 남편 김윤수(金潤洙)가 중병을 얻어 위독해지자 자신의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남편의 입에 흘려 넣었으나 남편은 살아나지 못했다. 그러자 남편을 따라 죽으려고 문을 닫아걸고 빗장에다 목을 매었으나, 집안사람들에게 발각되어 죽지 못했다. 남편의 무덤에 가서 슬피울다 근처 나무에 목을 매었으나 나무꾼이 발견하고 구해 주었다. 두 차례에 걸쳐 자결을 시도...
-
조선시대의 열녀. 나이 24세 때 남편 김작(金焯)이 중병에 걸리자 온갖 정성을 다해 치료하였지만 남편은 세상을 떠났다. 남편을 따라 죽으려고 하였으나 생각한 바가 있어 슬픔을 참고 예를 다해 장례를 치렀다. 그러다 남편이 죽은 지 석 달이 지나 졸곡(卒哭)하는 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김작 처 최씨에 대한 효열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인물조에...
-
조선시대의 열녀. 중병에 걸린 남편 김재경(金在卿)을 8년 동안 지극정성으로 보살폈고, 늙은 시어머니를 정성을 다해 모셨다. 낮에는 방아를 찧고 밤에는 바느질을 하여 남편과 시어머니를 봉양했다. 비록 집안이 가난해 목숨만 겨우 이어갈 형편이었지만 조금도 싫어하거나 괴로워하는 내색을 하지 않았다. 김재경 처 이씨에 대한 효열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
-
조선 말기의 열녀. 1894년(고종 31) 남편 김재숙(金在淑)이 중병에 걸려 위독하자 자신의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남편의 입에 흘려 넣었다. 남편은 다시 살아나는 듯하였으나 끝내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김재숙 처 전씨에 대한 효열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인물조에 기재되어 있다. 이야기가 조정에 알려져 숙부인(淑夫人)에 추증되었고 남편과 함께 정...
-
조선시대의 효부. 어려서부터 지극한 효성으로 어버이를 섬겼으며, 시집을 가서는 시부모를 더욱 공경하며 모셨다. 관찰사가 표창을 하고 호역을 면제해 주었으며, 관가에서 효열 완문을 발급하였다. 박구호 처 장씨에 대한 효열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인물조에 기재되어 있다....
-
조선시대의 열녀. 아픈 시부모를 위해 새와 물고기를 구해 시부모를 정성껏 보살폈다. 또한 남편 박문오(朴文五)가 위독하자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입에 흘려 넣어 1년을 더 살게 하였다. 남편이 죽자 세수와 빗질을 하지 않았으며, 어린 자식들을 훌륭히 길렀다. 박문오 처 어씨에 대한 효열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인물조에 기재되어 있다. 부영(府營)에...
-
조선시대 열녀. 나이 18세 때 남편 박병은(朴炳殷)이 위독하자 손가락 세 개를 끊어 그 피를 입에 흘려 넣었다. 남편은 7일을 더 살다 죽었다. 남편의 상을 당하였을 때는 남편을 따라 죽으려 하였으나 늙으신 시부모님을 두고 차마 죽을 수가 없었다. 시부모님을 끝까지 정성껏 봉양하여 마을에서 효열이라고 칭송하였다. 박병은 처 김씨에 대한 효열 기사는 『증수...
-
조선시대의 열녀. 어느 날 밤 화적(火賊) 떼 수십 명이 집 안에 들어와 남편을 죽이자, 어찌할 바를 모르다가 한 가지 꾀를 내었다. 남자 옷으로 갈아입고서는 화적들이 버린 큰 종이로 얼굴을 덮어쓰고 화적들 틈에 섞여 함께 시끄럽게 소리를 지르며 돌아다녔다. 그러면서 가위로 화적들의 옷깃을 몰래 잘라 놓았다. 화적들이 흩어진 후 관가에 가서 전후의 실상을 낱낱이 알려 화적들의 만행...
-
조선시대의 효부. 어려서 부터 효성을 다하여 어버이를 섬겼으며, 시집가서는 시부모님을 더욱 정성껏 공경하였다. 박시언 처 김씨의 효행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인물조에 기재되어 있다. 효행이 알려져 암행어사와 관찰사가 포상을 하였으며, 호역(戶役)을 면제받았다....
-
조선시대의 열녀. 남편이 병이 나서 산 꿩을 먹고 싶어 하였다. 하늘에 꿩을 구할 수 있기를 빌었더니 다음날 아침 꿩이 닭장에 들어와서 이를 잡아 주었다. 남편의 병이 위중해지자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입에 넣어주고 다시 또 한 손가락을 찢어 연달아 그 피를 입에 넣어 소생시켜 3일을 더 살게 하였다. 열행이 알려져 강릉부사와 어사로부터 포상을 받았다....
-
조선시대의 효부·열녀. 시아버지가 병에 걸려 노루고기를 먹고 싶어 하였다. 그러나 추운 겨울이라 구할 길이 없었다. 이에 목욕재계하고 하늘에 기원하자 어디선가 노루가 나타나 마구간으로 들어왔다. 얼른 노루를 잡아 시아버지에게 먹였다. 얼마 후 시아버지의 병이 다시 위독해지자 자신의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입에 흘려 넣어 시아버지가 3일을 더 살게 하였다. 최씨는 시집간 지 3개월...
-
조선 중기의 열녀. 본관은 평산이다. 아버지는 이사온(李思溫)이고 어머니는 최응현(崔應賢)의 딸이다. 이씨의 성품에 대해 이이(李珥)는 「이씨감천기(李氏感天記)」에서 “訥於言而敏於行 愼於事而果於善(눌어언이민어행 신어사이과어선: 말에는 서툴어도 행동에는 민활했으며 모든 것에 신중히 하되 착한 일에는 과단성 있었다)”라고 하였다. 이씨는 기묘명현(己卯名賢) 중의 한 사람인...
-
조선시대의 열녀. 지극한 효성으로 시부모님을 섬겼으며, 남편 신세린(辛世麟)이 죽자 다락에서 떨어져 같이 죽으려고 하였다. 그러나 집안사람들이 구해 주어 뜻을 이루지 못했다. 소상(小祥)을 맞아 또 죽으려고 했지만 구조되어 죽지 못했다. 평생 동안 세수를 하지 않고 머리를 빗지 않았으며, 날마다 피죽을 조금씩 먹을 뿐이었다. 봄가을로 남편의 새 옷을 지어 놓고 불살랐다고 한다....
-
조선 후기의 열녀. 예를 다해 부모를 섬겼으며, 시부모를 봉양하는데도 예를 다하였다. 또한 남편 어사충(魚史忠)에게는 순종하고 정숙하였다. 남편이 병이 나자 하늘에 기원하였으나 끝내 남편은 세상을 떠났다. 남편의 장례를 치르고 나서, 큰 아이에게는 밥을 먹이고 젖먹이를 재운 후 남편을 따라 죽었다. 어사충 처 김씨에 대한 효열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
-
조선시대의 열녀. 집이 가난하여 광릉(廣陵)에서 강릉도호부 봉평(蓬坪)으로 이사를 왔다. 이씨는 지극한 정성으로 시부모님을 섬겼고, 남편 어주현(魚周顯)이 죽자 시집 올 때 가지고 온 옷을 팔아 장례를 치렀다. 또 시아버지의 상을 당하자 얼마 안 되는 토지를 팔아서 시아버지를 광릉에 있는 선영(先塋)에다 모셨다. 그 후부터 빗질과 세수도 하지 않았으며 26년 동안 고기를 먹지 않고...
-
조선시대의 효부. 시집 온 지 3년 만에 남편 유진구(兪鎭九)가 병이 났다. 백방으로 약을 썼으나 남편이 끝내 세상을 떠나자 상제(喪祭)와 거상(居喪)에 예를 다하였다. 거상 기간에는 머리를 빗거나 세수를 하지 않아 얼굴에 검정을 칠한 것 같았으며, 아침저녁으로 성묘하며 피눈물을 흘릴 정도로 슬퍼하였다. 하루는 산불이 남편의 묘에까지 번지려 하였는데, 하늘에 기도하니 잠시 후 비가...
-
조선시대의 열녀. 어느 날 밤, 남편 이돌만(李乭萬)이 집에 없는 틈을 타 이웃 남자가 침입해 욕보이려 하였다. 죽기를 무릅쓰고 반항하다가 칼에 찔려 죽었다. 이돌만의 처 이조이에 대한 효열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인물조에 기재되어 있다. 이조이(李召史)의 효열이 알려져 정려를 받았다....
-
조선시대의 열녀. 시어머니 상을 당해서는 3년 동안 죽만 먹었으며, 남편 이면기(李冕箕)의 병이 심했을 때 지극정성으로 하늘과 땅에 기도를 올렸다. 끝내 남편이 죽자 물 한 모금 마시지 않고 자신도 따라 죽을 것을 맹세하였다. 늙은 시아버지와 자식을 위해 겉으로는 슬픔을 참으며 남몰래 홀로 울다가 잠자리로 돌아와 태연히 목숨을 끊었다. 이면기의 처 심씨에 대한 효열 기사는 『증수임...
-
조선시대의 열녀. 남편 이업(李嶪)을 일찍 잃고 홀몸이 되자 피눈물을 흘리며 제사를 받들었으며, 이가 드러나게 웃지 않았다. 3년 후에 삭망제(朔望祭)를 지냈으며, 이 때 손수 제수(祭需)를 마련하였다. 박씨는 나이 90에 이르도록 매번 슬퍼하기를 처음과 같이 하였다. 이업의 처 박씨에 대한 효열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인물조에 기재되어 있다....
-
조선시대의 열녀. 본관은 미상이며 성은 김씨(金氏)이다. 남편은 이은진(李殷震)이다. 일찍 남편을 여의고 홀몸이 되었으나 시부모를 효성을 다해 모셨다. 어느 날 저녁 사나운 도적이 침입하자 시부모가 놀라 어찌할 바를 몰라 했다. 김씨는 도적을 향해 큰소리로 꾸짖고 시부모를 감싸 보호하며 안정시킨 뒤 조용히 숨을 거뒀다. 이은진(李殷震) 처 김씨에 대한 효열...
-
조선 중기의 열녀. 남편은 장진문(張振文)이며, 장철견(張哲堅)의 아들이다. 나이 겨우 20세에 남편을 잃고 홀몸이 되었다. 과부가 된 후에는 문을 닫고 바깥출입을 하지 않았으며 치아를 드러내고 웃지 않았다. 아침과 저녁으로 남편의 신주(神主)에 음식을 올렸다. 정려(旌閭)를 받았다....
-
조선시대의 열녀. 남편의 병이 위독하자 밤낮으로 약을 달이는 것을 조금도 게을리 하지 않았다. 남편이 죽자 3년 동안 머리에 빗질도 하지 않았다. 시부모 섬기기를 한결같이 하여 아침과 저녁으로 문안인사를 거르지 않았고 끝까지 효성을 다하였다. 정려(旌閭)를 받았다....
-
조선시대의 열녀. 나이 39세에 남편이 죽자 3년 동안 죽만 먹고 지냈다. 겨울과 여름이면 남편의 옷을 손수지어 무덤 앞에서 태웠으며, 평생을 상중(喪中)에 있는 것 같이 지냈다. 남편 생전에 많은 돈을 남에게 빌려 주었는데, 그 채권을 모두 거두어 불살라 버렸다. 그 뒤에는 살림이 가난하였으나 성품과 행실은 전과 다름이 없었다. 지체는 낮았으나 정절(貞節)이 뛰어났으므로 사람들이...
-
조선시대의 열녀. 하루는 남편 김종석(金宗碩)이 산에서 나무를 하다가 나무와 돌에 치여 크게 다쳤다. 남편이 들것에 실려 집으로 돌아왔는데, 그 때 피가 남편의 양쪽 폐에 들어가 대소변이 막혀 있었다. 그러자 밤에 자기를 대신 앓게 해 달라고 하늘에 빌고 남편의 생식기를 입으로 빨아 소변을 통하게 하였다. 또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남편의 입에 흘려 넣어 남편을 소생시켰다....
-
조선시대의 효부. 본관은 강릉. 남편은 정곤(鄭鵾)이다. 집에 불이나 시어머니가 불길 속에서 미처 나오지 못하자 불길을 무릅쓰고 뛰어 들어가 시어머니를 껴안고 나오다 함께 죽었다. 관에서 정려(旌閭)를 내렸다. 정려각(旌閭閣)은 강릉시 옥계면 성촌(城村)에 있다....
-
조선시대의 열녀. 강릉의 향토지인 『임영지(臨瀛志)』에는 주문진 나루에 살았던 여성 옥도가 절개를 지킨 이야기가 실려 있다. 옥도는 용모가 아름다웠으나 나이 20세에 일찍이 남편을 잃었다. 부모가 그를 불쌍히 여겨 다른 곳으로 재혼을 시키려 하였으나 죽기를 무릅쓰고 이를 거절하였다. 머리를 삭발하고 얼굴에는 먹칠을 하는 등 스스로 추하게 보이도록 하였다. 머리가 자라면...
-
조선시대의 열녀. 이완이(李完伊)의 처인 주문진 해녀 섬이는 나이 겨우 열일곱 살에 남편을 여의고 과부가 되었다. 그 부모가 다른 곳으로 시집을 보내려 했으나 몰래 혼자서 머리를 깎고 7일간을 먹지 않아 거의 죽게 되었다. 부모가 불쌍하게 여겨 개가를 강요하지 않았다. 그리고 나서야 비로소 음식을 먹고 겨우 살아났다. 유복녀가 한 명이 있었는데 이 딸이 시집을 간 뒤까지...
-
조선시대의 열녀. 향리(鄕吏)인 최광봉(崔光鳳)의 딸이다. 남편은 향리 이양면(李樑面)이다. 어려서부터 효성이 깊었다. 정선(旌善)의 향리 이양면에게 시집을 갔으나 혼례를 올린 지 닷새 만에 남편이 병으로 죽었다. 염습할 옷을 손수 짓고 남편을 따라 죽으려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반 년 동안 시부모님을 정성을 다하여 모시다가, 어느 날 남편 무덤에 가서 종일 울다가 돌아와...
-
조선시대의 열녀. 목릉(穆陵)[선조의 능] 참봉을 지낸 남편 최맹인(崔孟仁)이 죽자 40여 년 동안 머리를 빗지 않고 세수도 하지 않았다. 매일같이 슬피 울기를 초상 때처럼 하였다. 최맹인 처 심씨에 대한 효열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인물조에 기재되어 있다....
-
조선 전기의 열녀. 본관은 강릉. 아버지는 주부(主簿) 김곤(金坤)이다. 남편은 최세창(崔世昌)이다. 남편이 죽자 따라 죽을 결심을 하여 머리카락을 잘라 남편의 관에다 넣고 손가락의 피를 내어 관에다 물들이고 같이 묻히겠다는 뜻을 표시하였다. 상중에는 세수도 빗질도 하지 않았고 치아가 보이도록 웃지도 않았다. 아침과 저녁으로 음식을 마련하여 묘에 가서 10여 년을 울었다고 한다....
-
조선시대의 효부(孝婦). 본관은 미상이고, 성(姓)은 김씨(金氏)이며 남편의 이름은 최시부(崔始溥)이다. 병이 들어 전혀 움직이지 못하는 80세의 할머니를 위해 9년 동안 지극정성으로 병수발을 하였다. 또한 이가 빠져 음식을 먹지 못하는 할머니를 위해 젖을 짜서 미음에 섞어서 먹이기도 하였다. 할머니가 돌아가실 무렵에는 자신의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입에 흘려 넣어 7개월을 더 살...
-
조선시대의 열녀. 본관은 미상이며 성(姓)은 박씨(朴氏)이다. 남편의 이름은 최신규(崔信珪)이다. 지극한 효성으로 시부모를 섬겼으며, 남편 최신규가 죽자 12년 동안 변변치 못한 음식을 먹으면서도 추우나 더우나 매일 한결같이 성묘를 하였다. 최신규 처 박씨에 대한 효열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인물조에 기재되어 있다....
-
조선시대의 열녀. 본관은 미상. 남편은 최우일(崔宇一)이다. 남편이 병으로 죽자 슬퍼하는 기색을 하지 않고 오히려 주위 사람들을 위로하였다. 장례를 치른 후 시부모의 묘소에 가서 절을 올려 하직인사를 하고, 친정에 돌아가서도 평소와 다름없는 말로 부모님을 위로하였다. 그런 뒤 유서를 써서 서랍 속에 넣어두고 음독자살을 하였다. 어사(御使) 조홍진(趙弘鎭)의 장계(狀啓)로 호역(戶役...
-
조선시대의 열녀. 본관은 미상. 남편은 최운광(崔雲廣)이다. 나이 30이 채 못 되어 남편이 죽자 매우 슬퍼하였으나 시부모를 지극 정성으로 모셨다. 또한 남편의 제삿날이 되면 가난한 살림에도 제물(祭物)을 깨끗하고 풍성하게 마련하였다....
-
조선 중기의 효부. 본관은 안동. 권화(權和)의 딸이다. 남편은 최운부(崔雲溥)[1548~1575]이다. 남편을 따라 서울에 가 있을 때 아버지의 병이 위독하다는 소식을 접하였다. 기도를 올린 뒤 손가락을 끊어 종에게 주어 급히 강릉으로 가도록 하였으나 미처 도착하기도 전에 아버지가 세상을 떠났다. 상(喪)을 당하여서는 머리를 빗지 않고 소금을 먹지 않았다. 밤낮으로 울며 직접 음...
-
조선시대의 열녀. 본관은 삼척. 남편은 최의규(崔義圭)이다. 남편이 이질에 걸려 한 달이 넘도록 앓다가 죽었다. 시신을 끌어안고 같이 누워서 먹지도 않고 웃지도 않았다. 시신을 염(殮)하여 관(棺)에 넣고 벽에다가 혈서로 “남편이 굶주려가며 지은 농사를 내 어찌 혼자 먹으며, 남편이 수고롭게 지은 집에서 내 어찌 혼자 살겠는가” 라고 쓰고는 남편을 따라 죽었다....
-
조선시대의 열녀. 시집간 지 두 달 만에 남편 최종집(崔宗集)이 괴질에 걸려 죽고 연달아 시부모마저 세상을 떠났다. 슬픔이 지나쳐 몸이 수척해졌으며, 빗질을 하지 않고 옷과 이부자리에 때가 끼어도 빨지를 않았다. 첫 번째 부인이 낳은 아이를 잘 길러 남편의 뒤를 잇고자 하였으나 그 아이마저 세상을 떠났다. 남편의 장삿날에 목욕을 하고 머리를 빗은 다음 상막에 들어가 제상 앞에서 독...
-
조선시대의 열녀. 예도가 밝았으며 홀로 계신 시어머니를 정성껏 모셨다. 남편 최종학(崔鍾鶴)의 병이 위급하자 자신의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입에 흘려 넣어 반나절을 더 살게 하였다. 최종학 처 김씨에 대한 효열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인물조에 기재되어 있다. 마을에서 단자를 부영(府營)에 올려 포상을 받았고 요역을 면제받았다....
-
조선시대의 열녀. 28세 때 남편 최찬구(崔燦九)가 죽자 슬픔이 지나쳐 여러 번 기절을 하였다. 심씨는 대상(大祥)과 그 다음 달에 지내는 담제(禫祭)를 마치고는 음식을 먹지 않고 굶어 죽었다. 최찬구 처 심씨에 대한 효열 기사는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인물조에 기재되어 있다. 사림에서 아름다운 행실을 찬양하였으며, 『속수삼강록(續修三綱錄)』에 최찬구 처...
-
조선시대의 열녀. 남편 최택후(崔宅垕)의 병이 위급하자 이씨는 자신의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남편의 입에 흘려 넣었다. 남편은 다시 소생했지만 오래지 않아 죽었다. 이씨는 남편의 시신을 어루만지며 대성통곡을 하다 기절하였다. 주위 사람들이 약을 써서 겨우 정신을 차렸지만 3년 동안 눈물로 지내면서 상을 마쳤다. 그 후 옷단장을 하지 않고 나물밥을 먹으며 14년 동안 문밖출입을 삼가...
-
조선시대의 열녀. 시어머니와 남편을 정성껏 섬겼으며, 시어머니 상을 당해서는 매일같이 슬퍼하며 예를 다해 장례를 치렀다. 남편의 병이 위독하자 손수 약을 지었으며, 밤에는 촛불을 켠 채 부채를 부치며 간호를 하였다. 남편이 죽자 초종(初終)을 치른 후 남편을 따라 죽으려고 했지만 자손들의 만류로 뜻을 이루지 못했다. 그 후로 평생 머리에 빗질과 세수를 하지 않았으며, 90세가 가까...
-
조선시대의 열녀. 본관은 미상. 남편은 함상현(咸商鉉)이다. 시부모에게 효도를 다하고 남편에게 아내의 도리를 다하여 섬겼다. 시집간 지 10년이 채 못 되어 남편이 병이 나자 정성껏 치료하였으며, 매일 밤 목욕재계하고 정화수를 떠 놓고 자신이 대신 앓게 해 달라고 기도하였다. 남편이 죽자 시신을 거두어 놓고 밖으로 나가 약을 먹고 죽었다. 군(郡)에서 그릇에 표를 새겨 포상을 하였...
-
조선시대의 효부. 본관은 미상. 남편은 함윤근(咸潤根)이다. 남편이 과거를 보러가다 중도에서 병을 얻어 위급한 지경에 이르렀다.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입에 넣어 주니 깨어나 며칠을 더 살았다. 남편이 죽자 같이 죽기를 결심하였으나 시아버지가 간곡히 만류하여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남편의 상을 마친 후 지성으로 시아버지를 봉양하였다. 『삼강록(三綱錄)』에 그 효행이 실려...
-
조선시대의 열녀. 본관은 미상. 남편은 홍재무(洪在武)이다. 남편이 병이 나자 밤낮으로 자신을 대신해서 앓게 해 달라고 하늘에 빌었다. 남편이 끝내 숨지자 몰래 뒤뜰에 나가 따라 죽었다. 유림에서 예조(禮曹)에 상소를 올려 정려(旌閭)를 받았다....
-
조선시대의 열녀. 본관은 미상. 남편은 홍재수(洪在壽)이다. 시집간 지 얼마 되지 않아 남편이 9년간이나 문둥병을 앓았는데, 밤낮으로 자신을 대신 앓게 해 달라고 하늘에 빌었으며, 맛있는 음식이 있으면 백방으로 구하여 올렸다. 시집올 때에 가지고 온 패물과 소를 팔아 남편의 약값에 썼으며, 남편이 죽을 무렵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입에 넣어 주었다. 유림에서 부영(府營)과 어사에게...
-
조선시대의 열녀. 시부모를 극진히 섬겼으며 아내로서의 행실도 매우 뛰어났다. 시어머니가 죽자 몹시 슬퍼하였으며, 이 때 남편 황기윤(黃基倫)도 어머니의 상을 치르다 병을 얻어 위독해졌다. 매일 남편 대신 아프게 해달라고 하늘에 빌었으나 남편의 병세는 나아지지 않았다. 그러자 “며느리가 되어 시아버지에게 효도를 다하지 못했으니, 엎드려 바라옵건대 시아버지께서는 저를 생각하지 말아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