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자를 파종할 때나 곡식을 담아 나를 때 사용하는 용구. 짚이나 싸리 등으로 엮은, 주둥이가 좁고 밑이 넓으며 바닥은 네모꼴인 바구니인데, 다래끼보다는 작다. 주둥이 양쪽에 끈을 달아 허리에 둘러 감아서 이것을 배나 옆구리에 달리게 한다. 콩이나 팥 또는 감자 따위를 심을 때 여기에 씨를 담아 뿌린다. 또 들이나 산에서 캔 나물이나 고추를 따서 담으며, 농가의 어린이들은 이것으로...
-
염근수(廉根壽)의 시집. 『다래아가씨』는 1989년 오상출판사에서 발간되었다. 구영주(丘英珠) 시인이 쓴 서문에 의하면 염근수는 강릉시 송정동 팔송정 부근에 살았으며, 80 평생 써 놓았던 시편들을 자녀들이 함께 읽기 위해 출간했다고 한다. 이 시집에는 147편의 시가 5부로 나누어 수록되어 있다. 제1부 ‘이름 두 자 문패’에 「물새 발자국」 외 32편, 제...
-
음력 매월 초하룻날과 보름날·명절날·조상의 생일 등에 지내는 제사. 절사(節祀) 또는 차사(茶祀)라고도 하며 아침에 올리는 제사이다. 현재는 설과 추석에 가장 많이 지내고 지역이나 가문에 따라 대보름·한식·단오·칠석·중양절·동지 등에 지내기도 한다. 조상에게 달·계절·해가 바뀌고 새로 찾아옴을 고하고 절식(節食)과 절찬(節饌)을 올리는 의례이다. 강릉 지역에서는 성씨별로 유지되어...
-
강원도 강릉시 옥계면 낙풍리에 있는 지명. 다리목[橋項]은 강원도 강릉시 옥계면 낙풍1리 7번국도 변에 있는 지역으로 낙풍리로 들어가는 다리 길목이어서 생긴 이름이다. 다리목에는 7번국도 외에 새 고속도로가 생겼고, 낙풍천이 정비되었다. 다리목 북서쪽에는 산줄기가 있고, 앞에는 현내리와 낙풍리의 넓은 들이 펼쳐지고 있다. 다리목...
-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읍 교항리에 있는 마을. 다리목[橋項] 때문에 교항리(橋項里)라는 명칭의 행정리가 생겼으며, 예전에 이곳에는 큰 나무들이 숲을 이루어 비가 와도 비를 맞지 않고 다녔다고 한다. 다리목은 신리천 하류에 있는 큰 다리를 건너는 길목에 있는 마을이란 뜻으로 생긴 이름이다. 다리목에서 7번 국도를 따라 북쪽으로 가면 신리천을...
-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읍 교항리에 있는 마을. 다리목[橋項] 때문에 교항리(橋項里)라는 명칭의 행정리가 생겼으며, 예전에 이곳에는 큰 나무들이 숲을 이루어 비가 와도 비를 맞지 않고 다녔다고 한다. 다리목은 신리천 하류에 있는 큰 다리를 건너는 길목에 있는 마을이란 뜻으로 생긴 이름이다. 다리목에서 7번 국도를 따라 북쪽으로 가면 신리천을...
-
의복의 구김살을 펴고 주름을 잡는 데 쓰이는 용구. 바닥이 평평한 대접 모양의 쇠붙이에 나무로 된 손잡이를 박아서 쓰도록 되어 있다. 나무 손잡이 끝에 작은 고리가 달려 있다. 다리미질을 하려면 숯이 필요한데, 숯을 빨갛게 달구어 대접 모양의 다리미 안에 넣고, 다리미감을 두 사람이 마주 잡아 당기며 다리미로 그 위를 문질러서 다린다. 의복의 구김살을 펴고 주름을 잡는 데 사용한다...
-
강원도 강릉 지역에서 서로 다른 국적과 문화의 남녀가 국제결혼을 통하여 형성한 가정 또는 이민족 구성원이 포함된 가정. 한민족과 타민족 또는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결합하여 형성되는 우리나라의 다문화가정은 2000년대 들어 국제결혼의 빈도가 높아지면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원주민인 지역 주민의 다문화 가정 수용 의식은 강릉 지역의 경우 절반 정도가 찬성을 하...
-
강릉 지역에서 활동한 시인 구영주(丘英珠)의 수필집. 1988년 오상출판사를 통해 간행한 수필집이다. 구영주 시인은 1944년 서울 정릉에서 태어났다. 중앙대학교 신문방송학과(1965년)를 졸업하였으며, 1971년까지 KBS 대전방송국·강릉문화방송사 등 언론사에 재직하였고, 1980년 무렵 강릉의 명륜고등학교 국어교사로 근무했다. 1979년 『월간문학』제27회 신인작품상...
-
다시마를 기름에 튀겨 설탕을 뿌려놓은 음식. 강릉 지역은 바다와 접하고 있어서 육류를 먹기 어려웠던 시절 영양과 열량 보완식품으로 다시마를 애용하여 왔다. 『고사십이집(攷事十二集)』에는 “해대(海帶: 다시마)는 동북해(東北海) 수중(水中)의 석상(石上)에서 나고 이것을 국거리로 쓰기도 하고 유전(油煎: 당시 튀김을 유전이라 한 것 같다.)하여 투각(鬪藿: 튀각...
-
다식(茶食)을 박아내는 틀. 아래 위 2층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아래층에는 철(凸)로 판 둥근 모양이 여러 개 있고, 그 표면에는 꽃무늬, 물고기 등의 문양이 새겨져 있다. 위층의 것은 아래 것에 꼭 맞게 원형의 구멍이 뚫려 있고 아래 위층 사이에 끼는 받침대가 있다. 다식(茶食)을 박아낼 때 사용한다. 관동대학교 박물관에 조선시대 유물 3점이 소장되어 있다....
-
일제 강점기 강릉군수를 지낸 일본인 행정가. 1926년과 1928년에도 강릉에는 두 명의 일본인 군수가 있었다. 그러나 1931년에 강릉군수를 역임한 다키자와 마코토[瀧澤誠]의 행적은 남달랐는데 성현의 발자취를 보존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오죽헌 보호활동과 율곡, 신사임당 선양사업을 추진하였다. 특히 강릉고적보존회를 결성하여 향교 및 지역문화를 보호하였고, 향토지 발간활동에도 노력하였...
-
강원도 원주시 문막 출신으로 강릉에서 활동한 시인. 시인 원영동(元永東)[1930~2003]은 강릉 사범 병설 중학교와 강릉 고등학교 교사로 재직하며 폭넓은 문단 활동을 펼쳤고, 많은 후배 문인들을 길러냈다. 이산(耳山), 다호(茶戶), 흰돌 등의 호를 썼다. 1960년 『자유 문학』에 김용호, 김광섭, 신석정의 추천으로 「눈의 작업」을 발표하면서 등단한 원영동은 황금찬...
-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언별리에 있는 마을. 1910년 일제가 우리나라를 강제로 병탄(倂呑)한 후, 우리의 독립 의지를 약화시키고 조선왕조의 부흥을 꾀하는 것을 막기 위해 고려 유신들의 우국충정이 스민 단경(壇京)을 단경(丹京)이라 고쳤다고 한다. 단경(壇京)은 고려가 망한 후 유신들이 이곳에 와서 고려 사직의 단을 쌓고 위패를 모시며, 고려왕조에 대한 충정을 나타내며 숨...
-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언별리에 있는 마을. 1910년 일제가 우리나라를 강제로 병탄(倂呑)한 후, 우리의 독립 의지를 약화시키고 조선왕조의 부흥을 꾀하는 것을 막기 위해 고려 유신들의 우국충정이 스민 단경(壇京)을 단경(丹京)이라 고쳤다고 한다. 단경(壇京)은 고려가 망한 후 유신들이 이곳에 와서 고려 사직의 단을 쌓고 위패를 모시며, 고려왕조에 대한 충정을 나타내며 숨...
-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모전리에서 언별리에 이르는 도로. 단경로는 강동면 소재지인 상시동리에서 단경골로 이어지는 도로여서 붙여진 이름이다. ‘단경(壇京)’[혹은 단경(檀京)]이란 고려가 이성계(李成桂) 일파에 의해 망하자 고려의 옛 유신들이 망국의 한을 품고 골이 깊고 험한 이곳에 와 고려 종묘의 단을 짓고 사패(祠牌)를 모셔 옛 왕조에 대한 충성심을 나타내며...
-
개고기에 들깻잎, 들깨, 후추 등의 향신료를 넣고 끓인 음식. 개를 사람이 사육하였다는 가장 오래된 기록은 페르시아 베르트 동굴에 있으며 9,500년 전으로 추산된다. 역사적인 자료에서 최초로 개의 식용을 언급한 것은 중국 사마천의 『사기(史記)』로 「진기(秦紀)」 제 5장에 ‘진덕공 2년(기원전 679년)에 삼복날에 제사를 지냈는데 성내 사대문에서 개를 잡아 충재를 막았다.’라는...
-
강원도 강릉시 옥계 지역에서 재배되는, 단맛이 나는 고추의 일종. 파프리카의 원산지는 남아메리카와 중앙아메리카 열대 지역으로 관목 상태로 생육한다. 고추는 가지과의 고추속, 고추종에 속하고 크게 나누어 매운고추와 단고추로 구별하며 파프리카는 단고추에 속한다. 파프리카는 피망과 비슷한 모양의 유럽산 고추로서 무게가 180~200g으로 피망보다 크고 과육도 6~10㎜로 두터...
-
조선 중기의 학자이자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단보(端甫), 호는 교산(蛟山)·성소(惺所)·학산(鶴山)·백월거사(白月居士). 아버지는 삼척부사를 지낸 허엽(許曄)이며, 어머니는 강릉김씨로서 예조판서 김광철(金光轍)의 딸이다. 이복형으로 허성(許筬)이 있고, 동복형제로 허봉(許篈)과 허난설헌(許蘭雪軒)이 있다. 21세인 1589년(선조 22)에 생원시에 입격하고, 1594년...
-
성균관 생원 김집(金鏶)을 기리기 위한 재실. 김집은 김성철(金聲撤)의 아들로 자는 기지(器之)이고 본관은 안동이다. 1614년(광해군 6)에 태어났으며, 1648년(인조 26)에 생원에 합격하였다. 품성은 중후하고 언어는 신중하였으며 학업이 독실하여 어질다고 칭송을 받았다. 부인은 삼척김씨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김준남(金俊男)의 딸이다. 1664년(현종 5)에 죽었다...
-
강릉 단오제는 지역민들이 신에게 안녕과 풍요 다산을 기원하는 공동체 의례이자 우리나라 단오의 특성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민속 축제이다. 음력 4월 5일, 신주 담기를 시작으로 4월 15일, 대관령 산신제 및 국사 성황제를 갖고 단풍나무를 신목으로 모시고 강릉으로 내려와 국사 여성황사에 합사한다. 음력 5월 3일, 제장을 남대천(南大川) 단오장 가설 제단으...
-
강릉 단오제는 지역민들이 신에게 안녕과 풍요 다산을 기원하는 공동체 의례이자 우리나라 단오의 특성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민속 축제이다. 음력 4월 5일, 신주 담기를 시작으로 4월 15일, 대관령 산신제 및 국사 성황제를 갖고 단풍나무를 신목으로 모시고 강릉으로 내려와 국사 여성황사에 합사한다. 음력 5월 3일, 제장을 남대천(南大川) 단오장 가설 제단으...
-
강릉 단오제는 지역민들이 신에게 안녕과 풍요 다산을 기원하는 공동체 의례이자 우리나라 단오의 특성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민속 축제이다. 음력 4월 5일, 신주 담기를 시작으로 4월 15일, 대관령 산신제 및 국사 성황제를 갖고 단풍나무를 신목으로 모시고 강릉으로 내려와 국사 여성황사에 합사한다. 음력 5월 3일, 제장을 남대천(南大川) 단오장 가설 제단으...
-
음력 5월 5일. 단오(端午)는 양기(陽氣)가 가장 번성하다는 의미로서, 태양이 극점이 도달하는 때이므로 천중절(天中節)이라고도 한다. 이것을 신라 때부터 우리말로 수릿날이라고 불렸으며 ‘수리’는 상(上), 고(高), 신(神), 태양의 뜻을 가진 용어다. 특히 강릉에서는 단오행사를 크게 개최하여 왔으며 단오날의 행사가 강릉단오제라는 명칭으로 1967년에 국가지정무형문화재...
-
강원도 강릉시 노암동에 있는 세계 무형 유산 걸작 강릉단오제의 상징 공간으로 조성한 시민 공원. 2005년 강릉단오제가 유네스코 세계 무형 유산 걸작으로 선정되면서 국내 뿐 아니라 세계적인 무형 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게 되었다. 이에 강릉시는 강릉단오제의 세계 무형 유산 걸작의 상징성을 담아내고 평소에는 시민들의 여가와 휴식을 위한 녹지 공원으로, 강릉단오제 기간 중...
-
강릉 단오제는 지역민들이 신에게 안녕과 풍요 다산을 기원하는 공동체 의례이자 우리나라 단오의 특성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민속 축제이다. 음력 4월 5일, 신주 담기를 시작으로 4월 15일, 대관령 산신제 및 국사 성황제를 갖고 단풍나무를 신목으로 모시고 강릉으로 내려와 국사 여성황사에 합사한다. 음력 5월 3일, 제장을 남대천(南大川) 단오장 가설 제단으...
-
강릉 제일 고등학교와 강릉 중앙 고등학교의 정기 축구 대항전. 일농정기전이라는 명칭은 강릉제일고등학교와 강릉농공고등학교[현 강릉중앙고등학교]의 정기 대항전이라는 의미에서 나온 것이다. 본래 강릉제일고등학교는 강릉상업고등학교였으나 2001년 10월에 교명을 개칭하면서 일농정기전이 되었다. 일농정기전의 또 다른 명칭은 단오정기전이다. 강릉시의 대표적 축구 명문고등...
-
강릉 단오제는 지역민들이 신에게 안녕과 풍요 다산을 기원하는 공동체 의례이자 우리나라 단오의 특성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민속 축제이다. 음력 4월 5일, 신주 담기를 시작으로 4월 15일, 대관령 산신제 및 국사 성황제를 갖고 단풍나무를 신목으로 모시고 강릉으로 내려와 국사 여성황사에 합사한다. 음력 5월 3일, 제장을 남대천(南大川) 단오장 가설 제단으...
-
강릉시우회 주관으로 개최되는 시조경창대회. 강릉시우회에서 1969년 단오제를 축하하기 위해 시조경창대회를 개최한 데에서 비롯되었다. 1957년에 전통국악인과 시조 애호인 20여 명이 시조 인구의 저변확대와 후진양성을 위해 관동시우회를 조직하였으며, 이후 강릉 지역에서는 순수 시조동호인 단체인 강릉시우회가 설립되었으며, 1969년부터 강릉시우회를 중심으로 강릉단...
-
단호박을 찜통에 쪄서 꿀이나 소스를 얹은 음식. 단호박은 맛이 밤처럼 달아 밤호박이라고도 한다. 단호박은 식민지 시대에 일본인이 주로 이용했으므로 저항의식에서 왜호박으로 호칭하여 배척하였다. 그로 인하여 우리나라에서는 단호박의 이용이 많지 않았으나 최근에는 건강식품으로 소비량이 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대부터 도입해 널리 재배하고 있다. 품종 개량도 활발하게 이루어져 여...
-
음력 정월 대보름날 달을 보며 복(福)을 비는 풍속. 달을 바라본다고 하여 망월(望月)이라 한다. 동쪽에서 뜬다고 하여 영월(迎月)이라고도 하며, 우리말로 달보기, 달맞이, 망우리라고 부르기도 한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초저녁에 횃불을 들고 높은 곳에 올라 달맞이하는 것을 영월(迎月)이라 한다. 먼저 달을 보는 사람이 길하다. 그리고 달빛으로 점을 친다. 달...
-
1994년 강릉 지역에 창립되었던 문학단체. 1994년 8월 1일 참신한 문인들이 모여 발족한 문학 단체로 30여 명의 회원이 활동하였다. 창립 당시 고문은 유규만(柳奎萬)[당시 KBS 강원총국장], 명예회장에 전용찬(全龍燦) 시인이 추대되었으며, 회장은 심은상(沈殷相)이 맡아 활동하였다. 강릉을 상징하는 경포대의 다섯 개의 달을 상기시켜 현대 문명사회에서 서정성을 구현...
-
음력 정월 대보름날 달을 보며 복(福)을 비는 풍속. 달을 바라본다고 하여 망월(望月)이라 한다. 동쪽에서 뜬다고 하여 영월(迎月)이라고도 하며, 우리말로 달보기, 달맞이, 망우리라고 부르기도 한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초저녁에 횃불을 들고 높은 곳에 올라 달맞이하는 것을 영월(迎月)이라 한다. 먼저 달을 보는 사람이 길하다. 그리고 달빛으로 점을 친다. 달...
-
최갑규의 수필집. 『달빛 뿌려진 강물』은 1987년 한도문화사에서 발간되었다. 최갑규는 아호가 심영(深影)이며, 1924년 강원도 강릉시 학동에서 태어나 강릉농업학교를 졸업한 후 초등학교 교원으로 재임하였다. 한국문인협회·한국전쟁문학회·강릉오죽문학회 동인으로 활동하였으며, 제2회 전쟁문학상을 수상하였다. 이 책에는 저자의 머리말에 이어 수필 66편이 6부로 나...
-
강원도 강릉시 왕산면 대기2리에 있는 마을. 닭목이[鷄項洞]는 닭이 알을 품는 형상인 금계포란형(金鷄抱卵形)으로 되어 있고, 마을이 닭의 목에 해당되어 생긴 이름이다. 닭목이는 화전민들이 화전을 일구면서 마을로 형성되었다. 닭목이 북쪽에 있는 맹떼기재는 백두대간 가운데서 고루포기산과 화랑봉 사이에 있는 줄기로, 대기2리와 왕산리의 경계가...
-
강원도 강릉시 왕산면 대기2리 닭목이에 있는 고개. 닭목재[鷄項峙]는 고개의 생김새가 닭의 목처럼 길게 생겨서 붙여진 이름이다. 닭목재는 닭목이와 왕산골 사이에 위치한다. 닭목재 북쪽은 왕산골이 되고, 남쪽은 대기리 닭목이 된다. 닭목재는 백두대간이 지나가는 줄기로 닭목이와 왕산골 사이를 잇기 위해 닦은 길이다. 북쪽에는 고루포기산, 능정...
-
김완성(金完成)의 시집. 『담배 같은 여자』는 1994년 도서출판 아티스트에서 발간되었다. 김완성은 강원도 원주군 문막면 동화리에서 출생하여, 춘천교육대학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을 졸업했다. 『월간문학』 신인상(동시부문) 당선, 중앙아동문학상 동시 당선, 『한국일보』 신춘문예 시조 당선, 『문학세계』 시 당선 등으로 문단에 데뷔하였으며, 한국아동문학상(1983...
-
강원도 강릉시 강남동에 속한 법정동. 구정면 북부의 장현 저수지 남쪽에 있으며, 행정동인 강남동의 관할이다. 담산동은 지금의 칠성산의 과거 이름인 ‘담산’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본래 강릉군 남이면(南二面) 지역이었고, 1914년 성남면(城南面) 담산리가 되었으며, 1920년 성남면과 덕방면(德方面)을 합친 성덕면(城德面)에 속하게 되었다. 1...
-
강원도 강릉시 담산동에 있는 구석기시대의 유적. 강릉 담산동 일대로서 여러 갈래의 구릉에 지점을 달리하여 위치하는 구석기시대 유적이다. 2000년경 모산로 321 일대의 주변 구릉에 대한 지표 조사를 통해 몸돌과 격지가 발견되면서 ‘담산동 구석기시대 유적’으로 학계에 보고되어 알려지게 되었다. 이후 2006년 담산동 구석기 유물산포지 내에 있는 강릉시 담산동...
-
강릉 지역에서 홍합을 찌거나 삶아서 고추냉이간장 등에 찍어 먹는 음식. 홍합은 홍합과에 속하는 조개 무리로 수심 20m의 암초에 착생하여 서식한다. 산란기는 3~6월 사이이고, 8개월이면 3㎝, 2~3년이면 10㎝ 정도 자란다. 홍합을 담채라고도 하는데 그 이유는 담(淡)이란 말은 담백하다는 뜻도 있겠지만, 『규합총서(閨閤叢書)』에 나오는 말처럼 홍합이 바닷물 속에서 서...
-
강릉 지역에서 자연산 홍합, 쌀, 풋고추, 감자, 양파, 고추장, 부추를 넣어 얼큰하게 쑨 죽. 홍합은 홍합과에 속하는 조개무리로, 우리나라의 동해 연안·남해 연안·일본 연안·태평양 연안에 분포한다. 수심 20m의 암초에서 서식하며 산란기는 3~9월경이다. 『규합총서(閨閤叢書)』에서 ‘바다의 것이 모두 짜지만 홍합만 홀로 싱겁기 때문에 담채(淡菜)라 하고 또...
-
강릉 지역에서 자연산 홍합, 쌀, 풋고추, 감자, 양파, 고추장, 부추를 넣어 얼큰하게 쑨 죽. 홍합은 홍합과에 속하는 조개무리로, 우리나라의 동해 연안·남해 연안·일본 연안·태평양 연안에 분포한다. 수심 20m의 암초에서 서식하며 산란기는 3~9월경이다. 『규합총서(閨閤叢書)』에서 ‘바다의 것이 모두 짜지만 홍합만 홀로 싱겁기 때문에 담채(淡菜)라 하고 또...
-
강릉 지역에서 홍합을 찌거나 삶아서 고추냉이간장 등에 찍어 먹는 음식. 홍합은 홍합과에 속하는 조개 무리로 수심 20m의 암초에 착생하여 서식한다. 산란기는 3~6월 사이이고, 8개월이면 3㎝, 2~3년이면 10㎝ 정도 자란다. 홍합을 담채라고도 하는데 그 이유는 담(淡)이란 말은 담백하다는 뜻도 있겠지만, 『규합총서(閨閤叢書)』에 나오는 말처럼 홍합이 바닷물 속에서 서...
-
낮은 곳의 물을 보다 높은 지대의 논밭으로 퍼 올리는 농기구. 지방에 따라 자새, 무자새, 답차(踏車), 수차(水車) 등으로 부른다. 물을 퍼올리는 데 사용한다. 물이 있는 곳에 무자위의 바퀴 아래 부분이 물에 잠기게 세워 놓고 사람이 바퀴 위에 올라서서 기둥에 의지하여 바퀴 날개를 밟아 돌리면 물이 퍼 올려져 도랑으로 흘러들어간다. 한 시간에 50~60톤의 물을 댈 수 있다. 전...
-
음력 3월 3일. 답청절(踏靑節), 상사일(上巳日)이라 하며 봄이 되어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오는 때라고 한다. 강릉 지역에서 삼짇날은 춘삼월 호시절, 삼월삼질이라 하여 3자가 겹쳐 좋은 날로 여긴다. 고구려에서는 삼짇날 병사들이 사냥 경기와 무술겨루기를 하였고 신라에서도 해마다 남쪽 개울가에 모여 잔치를 베풀고 화전놀이를 하였다. 강릉 지역에서 삼짇날은 들판으로 나가...
-
음력 3월 3일 삼짇날, 자연을 완상하며 즐기는 민속놀이. 「화전가 노래」를 부르며 음식도 해먹는 야외놀이로, 봄에 핀 진달래꽃으로 유전병(油煎餠)을 만들어 먹게 되므로 화전놀이라 한다. 화전놀이는 꽃놀이라고도 하고 화류(花遊)라고도 하는데 비슷한 의미이다. 이외에 꽃다림, 꽃놀이, 답청절 등으로 부른다. 답청(踏靑)은 그 해 처음 돋은 풀을 밝는다는 뜻이 있고, 화류(...
-
강원도 강릉 지역에서 강릉 단오굿이나 서낭굿, 별신굿, 개인 재수굿 등에서 하는 세존굿 때 부르는 무가. 생산신으로 신앙되는 세존(世尊)과 삼신(三神)으로 좌정한 당금애기의 일대기를 창한다. 여자주인공 당금애기의 이름을 따서 「당금애기노래」라고 부른다. 무녀는 창과 말을 교체하면서 무가를 부른다. 당금애기는 양가집 규수로서 부모님과 일곱 오라버니와 함께 살고 있다. 어느...
-
강원도 강릉시 학동에 있는 마을. 당골(棠골)은 해당화 꽃이 땅 위에 떠 있는 형상인 당화부지형(棠花浮地形)이어서 생긴 이름이다. 또한 당골 앞의 섬석천 하류에 해당화 꽃이 많이 피어서 생긴 이름이라고도 한다. 당골은 월대산이 섬석천 하류로 뻗어 내리는 줄기 사이에 있다. 당골 앞으로는 섬석천이 흐르고, 북쪽으로는 남대천이 흐른다. 당골에...
-
집안으로 내려오는 무당으로 신들림의 현상 없이 학습을 통해 굿을 하는 무당. 우리나라의 무당은 신이 들려 내림굿을 통해 무당이 된 강신무와 집안으로 내려오는 세습무로 구분된다. 대개 한강 이북 태백산맥 이서지역이 강신무권이고 한강 이남 태백산맥 이동지역은 세습무권으로 나뉜다. 세습무들은 무가끼리만 결혼하는 특수혼을 통해 혈통을 지켜왔다. 강릉 지역은 전통적으로 세습무권에 속한다....
-
동해안 일대에서 생산 신이자 복을 관장하는 세존을 모시는 굿. 동해안 일대의 세습무들이 행하는 굿의 제차(祭次) 중 하나이다. 세존은 불교적 명칭이지만 굿의 성격은 불교 신에 대한 제향이 아니고 생산 신에 대한 제향으로 다른 지방의 제석굿에 해당된다. 세존굿은 무속신화 당금애기 풀이의 구연, 세존의 세속화된 모습을 보여주는 중춤, 세존의 생산신적 성격이 잘 드...
-
강원도 강릉 지역에서 강릉 단오굿이나 서낭굿, 별신굿, 개인 재수굿 등에서 하는 세존굿 때 부르는 무가. 생산신으로 신앙되는 세존(世尊)과 삼신(三神)으로 좌정한 당금애기의 일대기를 창한다. 여자주인공 당금애기의 이름을 따서 「당금애기노래」라고 부른다. 무녀는 창과 말을 교체하면서 무가를 부른다. 당금애기는 양가집 규수로서 부모님과 일곱 오라버니와 함께 살고 있다. 어느...
-
강원도 강릉시 교2동에 있는 마을. ‘당두(堂斗)’나 ‘당북(堂北)’은 모두 ‘당뒤’를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당두는 강릉향교의 명륜당 뒤에 있는 마을이어서 생긴 이름인데, ‘당’은 명륜당을 가리키고, ‘두’는 ‘뒤’라는 말이다. 당두는 화부산 동쪽 밑에 강릉향교가 생긴 다음 사람들이 모여 살면서 마을이 형성되었다. 당두 앞에는 강릉의 주...
-
강원도 강릉시 교2동에 있는 마을. ‘당두(堂斗)’나 ‘당북(堂北)’은 모두 ‘당뒤’를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당두는 강릉향교의 명륜당 뒤에 있는 마을이어서 생긴 이름인데, ‘당’은 명륜당을 가리키고, ‘두’는 ‘뒤’라는 말이다. 당두는 화부산 동쪽 밑에 강릉향교가 생긴 다음 사람들이 모여 살면서 마을이 형성되었다. 당두 앞에는 강릉의 주...
-
강원도 강릉시 교2동에 있는 마을. ‘당두(堂斗)’나 ‘당북(堂北)’은 모두 ‘당뒤’를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당두는 강릉향교의 명륜당 뒤에 있는 마을이어서 생긴 이름인데, ‘당’은 명륜당을 가리키고, ‘두’는 ‘뒤’라는 말이다. 당두는 화부산 동쪽 밑에 강릉향교가 생긴 다음 사람들이 모여 살면서 마을이 형성되었다. 당두 앞에는 강릉의 주...
-
강원도 강릉 지역에서 서낭신에게 제사하기 위한 제단 또는 제당. 서낭당은 마을신에게 액, 재해, 호환, 무병을 막아 주는 마을 수호와 풍년을 빌기 위하여 제사를 올리는 공간이다. 서낭당의 명칭은 지역에 따라 도당, 당산, 본향당, 성황당, 국사당 등 다양하게 불린다. 마을의 수호신으로 모셔지는 동신(洞神)을 계통상으로 분류하면 천신(天神), 지신(地神), 수신(水神),...
-
강원도 강릉 지역에서 마을 서낭신이 좌정하게 되는 내력과 설화. 당신화(堂神話)는 마을에서 서낭신을 섬기게 된 유래나 설화 등 신성성과 종교적인 경험에 기인한 신에 관한 이야기이다. 그래서 마을에 최초로 입향한 조상신이거나 원혼(冤魂)에서 해원(解寃)된 인물에 대한 설화가 많다. 강릉은 산악부터 농촌 그리고 해안 지역에 이르기까지 곳곳에 마을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자...
-
마을 공동으로 수호신에게 올리는 제사. 민간신앙의 여러 형태 가운데 마을의 수호신을 신당(神堂)에 모셔 놓고 제액초복(除厄招福)을 위해 동민(洞民)들이 합동으로 제의(祭儀)를 올리는 형태이다. 이와 같은 마을의 공동제의를 동신제(洞神祭)·동제(洞祭)라고 부른다. 강릉 지방은 민간신앙의 보고(寶庫)라 지칭될 정도로 민간신앙이 활발한 곳으로 각 마을별로 동제도 활발하고 산악지대와 해안...
-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당지(當之), 호는 근재(謹齋), 시호는 문정(文貞). 할아버지는 안희서(安希償), 아버지는 안석(安碩)이며, 어머니는 검교 군기감 안성기(安成器)의 딸이다. 고향인 순흥의 죽계(竹溪)[지금의 풍기]에서 세력기반을 가지고 중앙에 진출한 신흥유학자층의 한 사람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전주사록(全州司錄)·사헌규정(司憲糾正)·단양부주부(丹陽府...
-
동해안 일대 어촌에서 행하는 별신굿의 맨 마지막에 행하는 굿. 각 굿거리에서 청배(請拜)한 신들을 따라 온 수비(하급위 신)들을 먹여 보내는 굿이다. 양중이 장고잡이와 대화를 통해 일인극 형식으로 진행하는 대표적 무당굿놀이로, 굿을 하는 동안 일일이 모시지 못했던 잡귀, 잡신들을 일제히 위로하여 돌려보내는 거리라는 제의적 의미를 지닌다. 거리굿은 양중(악사,...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보광리와 사천면 사기막리에 걸쳐 있는 고대 산성. 백제의 시조 온조왕(溫祚王)이 도읍지로 정하고 군사를 훈련시키기 위하여 축조하였다는 전설과 발해의 대씨(大氏)가 쌓았다 하여 대공산성(大公山城)이라 불리운다는 전설이 있다. 또한 가까운 곳에 보현사가 있어 보현산성(普賢山城)으로도 불린다. 전설로 전해 오는 백제의 온조왕이나 발해의 대씨가...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강릉. 자는 대관(大觀), 호는 강호(江湖)·사지(四止). 부친은 박시행(朴始行)이고, 모친은 영양남씨(英陽南氏)로 진사 남과(南薖)의 딸이다. 26세 때인 1495년(연산군 1)에 생원이 되었으나, 수신(修身)과 독서에만 힘쓸 뿐 벼슬에는 뜻이 없었다. 1516년(중종 11) 가을 금강산에 유람 왔던 충암(冲庵) 김정(金淨)이 박공달(朴公達)을 만나보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