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301540 |
---|---|
한자 | 紡車 |
영어의미역 | spinning wheels |
이칭/별칭 | 방차(紡車),선륜차(旋輪車) |
분야 | 생활·민속/생활 |
유형 | 물품·도구/물품·도구 |
지역 | 강원도 강릉시 내곡동 |
집필자 | 유춘근 |
솜이나 털 따위의 섬유를 자아서 실을 만드는 간단한 수공업 도구.
용도에 따라서 방차, 선륜차 등으로 불리는데 방구통 물레와 육각 물레가 있다. 방구통 물레는 여러 개의 살을 붙여서 만든 두 개의 바퀴를 나란히 놓고 바퀴테 사이사이를 대나무 쪽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몸을 이루도록 한 것이고, 육각 물레는 나무를 깎아 만든 여러 개의 살을 끈으로 얽어매어 보통 6각의 둘레를 만들고, 가운데 굴대를 박아 손잡이를 붙인 것이다.
중국에서 목화씨를 전래한 문익점(文益漸)의 손자 문래(文萊)가 목화씨에서 실을 자아내는 틀을 발명하였다고 하여 ‘문래’라 부른 것이 변이되어 ‘물레’가 되었다고 전한다.
길쌈을 하는 가정이 줄어들면서 물레도 보기 어렵게 되었다. 강릉시에는 관동대학교 박물관에는 조선시대의 물레 2점이 소장되어 있는데, 방구통 물레 1점과 육각 물레 1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