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심곡계석」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701645
한자 深谷溪石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권희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한시
작가 채지홍(蔡之洪)[1683~1741]
창작연도/발표연도 조선 후기

[정의]

조선 후기 채지홍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에 있는 어은동의 풍광을 읊은 칠언율시의 한시.

[개설]

「심곡계석(深谷溪石)」채지홍(蔡之洪)[1683~1741]이 어은동의 경치를 노래한 어은팔경시(魚隱八景詩)의 하나이다.

[내용]

깊고 신령스러운 이 땅에서 은둔할 사람 기다리는데[地閟靈區待逸氓]

그윽하고 고요해 반곡과 명성을 다툴 만하구나[窔深盤谷可爭名]

삼청의 아름다운 고장은 신선의 세계인 듯도 한데[三靑勝界疑仙窟]

열 길의 홍진(紅塵)이 황제의 성 떨어져 있네[十丈紅塵隔帝城]

구름이 걷히니 바위는 얼음과 눈의 색깔 같고[雲去岩開氷雪色]

비가 그치니 냇물은 거문고 타는 소리로다[雨餘溪作管弦聲]

산옹(山翁)은 이런 곳에서 세월 가는 줄도 모르는구나[山翁這裏忘時序]

꽃잎이 봄가을로 저절로 피고 지누나[花葉春秋自悴榮]

[특징]

「심곡계석」은 자연 속의 삶과 그 속에서 즐기는 삶, 곧 ‘풍류’를 보여주고 있다. 풍류란 자연 속의 삶을 즐기는 자세를 말한다. ‘심곡계석’이란 글자 그대로 ’깊은 골짜기 시내가의 돌‘을 뜻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