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901361
한자 平生儀禮
영어의미역 Rites of Passage
이칭/별칭 통과의례,일생의례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고령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창언

[정의]

경상북도 고령 지역에서 일생을 거치면서 인생의 중요한 단계마다 지내는 의례.

[개설]

사람이 태어나서 죽기까지를 ‘일생’ 또는 ‘일평생’이라고 한다. 이것은 곧 세상에 태어나기 전 부모의 기자(祈子)로부터 출생, 성년, 혼인, 회갑, 죽음과 제사까지 모든 것을 통칭한다. 평생의례는 누구나 일생동안 살면서 거쳐야 하는 여러 가지 의례를 말한다. 이를 ‘일생의례’라고도 하는데, 서양에서는 ‘통과의례’라는 말로 표현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평생의례는 많은 부분이 유교와 연결되어 있어서, 그 용어 또한 유교적인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관혼상제(冠婚喪祭), 사례(四禮), 가례(家禮) 등은 모두 평생의례의 유교적 표현들이다. 여기에 기자(祈子), 백일, 돌 같은 출산의례와 회갑례를 더하면 좀 더 포괄적인 개인의 평생의례가 구성될 수 있다.

[내용]

경상북도 고령군에도 일생동안 거쳐야 할 평생의례들이 문화적으로 범주화 되어 있다. 먼저 예전부터 한국 사회에서 아들을 갖고자 하는 바람은 한국 사회의 전 지역에서 동일하게 나타난다. 고령 지역 역시 산속(産俗)으로서 기자치성(祈子致誠), 거석치성(巨石致誠), 기자굿, 기불, 용신기도, 산신치성 등이 이루어졌으며, 삼신 할매를 안방에 모시는 의례가 있다. 출생과 더불어 ‘백일’ 의례가 있고, 남자의 연령이 15세에서 20세에 이르면 상투를 올리고 갓을 쓰는 관례(冠禮)가 있다.

관례 이후에는 혼례를 치르는데, 이때 다양한 형식의 의례를 거치게 된다. 나이가 들어 부모님이 돌아가시면 상례를 치르고, 이후부터 후손들의 행복과 안녕을 위하여 제례를 본격적으로 올리게 된다. 또한 태어난 지 61세가 되면 태어난 해의 간지가 되돌아온다. 태어난 갑자가 되돌아왔다는 의미에서 이를 회갑(回甲) 혹은 환갑(還甲)이라고 한다. 1950년대까지만 해도 60세는 장수(長壽)의 상징이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