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303709
한자 土壤
영어음역 toyang
영어의미역 soil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강원도 강릉시
집필자 유흥식

[정의]

지표면에 퇴적되어 있는 물질.

[개설]

토양은 토양 물질 일부가 위로 또는 아래로 이동함으로써 토양층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말한다. 강릉의 경우, 토양층이 형성되어 있는 토양은 산록 완사면 또는 구릉지 완사면 등 매우 한정된 지대에만 분포해 있다. 따라서 강릉 지역에서는 토양의 의미를 넓게 확대하여서 ‘땅의 가장 윗부분을 이루면서 식물이 자랄 수 있는 부드러운 물질’로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형성]

신생대 제3기에 중위도 지방의 기후는 현재보다 고온성 기후였다는 점이 이제는 거의 확실해졌다. 강릉 지역은 신생대 제3기에 열대 또는 아열대 기후하에 있었다고 보아야 한다. 한편 강릉 지역의 지면은 지반 융기 이전에 낮은 고도에서 대체로 평탄했다는 점이 인정된다. 따라서 지반 융기 이전의 강릉 지역은 화강암의 화학적 풍화가 매우 깊이 진행되어 있었을 것이고, 지표에는 적색의 토양이 발달해 있었을 것이다. 당시 강릉 지역의 땅은 지표면에서 지하로 감에 따라 적색 토양(편의상 제Ⅰ층으로 칭하기로 함), 화강암 그루스 풍화층(편의상 제Ⅱ층으로 칭하기로 함), 핵석을 포함하는 화강암 풍화층(편의상 제Ⅲ층으로 칭하기로 함), 단단한 암반(편의상 제Ⅳ층으로 칭하기로 함)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었다.

[변천]

태백산지의 지반 융기가 진행되면서 융기된 지대, 융기되지 못한 지대, 두 지대 사이의 급경사 사면은 각각 서로 다른 토양 발달을 보였다.

첫째, 융기된 지대에서는, 적색의 토양이 화학적으로 용탈되고 물리적으로 토양 침식을 받았다. 즉, 적색 토양의 지하부에서는, 적색 토양의 철분 등이 지하수에 의해 용탈되어 결국에는 융기되지 못한 지대까지 운반되었다. 적색 토양의 지표면에서는, 적색 토양 자체가 지표 세류에 의해 벗겨져서 융기되지 못한 지대 또는 하천으로 운반되었다.

그런데 지표면에서의 토양 침식에 의해 적색 토양의 두께가 달라지는 정도는 지반 융기의 속도에 관련되어 있다. 지반이 느린 속도로 융기하는 경우, 토양 침식으로 지표면에서 적색 토양이 벗겨지는 정도와 지하에서 적색 토양이 생성되는 정도가 균형을 이루어, 적색 토양의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지반이 빠른 속도로 융기하는 경우, 토양 침식으로 지표면에서 적색 토양이 벗겨지는 정도가 지하에서 적색 토양이 생성되는 정도를 넘게 되어, 적색 토양의 두께가 점차 얇아진다. 더욱이 지면이 높은 고도에 위치하게 되면, 그만큼 지중 기온이 낮기 때문에 적색 토양이 생성되는 속도가 느려진다. 따라서 지면이 높은 고도에 위치하게 되면, 적색 토양이 완전히 벗겨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둘째, 융기된 지대와 융기되지 못한 지대 사이에는, 사면이 점차 급경사화 하면서 그만큼 토양 침식도 더 빨리 진행된다. 토양 침식의 진행으로, 적색 토양(제Ⅰ층)은 물론 그 하부의 화강암 풍화층(제Ⅱ층 및 제Ⅲ층)’도 점차 제거되었다.

셋째, 융기된 지대의 아래에 위치하는 ‘융기되지 못한 지대’에서는, 융기된 지대 및 급경사 사면으로부터 운반되어온 물질이 일부 퇴적되었다. 즉, 융기된 지대로부터 지하수를 통해 운반되어온 철분 등이 일부 집적되었다. 또한 융기된 지대 및 급경사 사면으로부터 적색 토양 및 화강암 풍화물이 운반되어 와서 일부 퇴적되었다. 그런데 융기되지 못한 지대가 이후 다시 융기되면, 융기된 지대의 토양 변형 과정을 밟게 되었다.

신생대 제4기로 들어오면서 강릉 지역의 기후는 이전에 비해 저온화 되었고, 특히 신생대 제4기의 후반부에는 빙하기와 간빙기가 반복되었다. 따라서 신생대 제4기에는 강릉 지역의 낮고 평탄한 지대에서도, 화강암의 화학적 풍화가 이전에 비해 미약하게 진행되었다. 강릉 지역의 적황색토는 제4기의 후반부 중에서 상대적 고온기인 간빙기 동안에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태백산지의 지반 융기가 계속 진행된 결과, 강릉 지역의 토양은 현재 다음과 같은 상태에 이르게 되었다.

지반 융기를 장기간 받으면서 이 기간 동안 급경사 사면이 지속된 지대 즉, 해발 고도가 높으면서 급경사 사면인 지대에서는 적색 토양(제Ⅰ층), 화강암 그루스 풍화층(제Ⅱ층), 핵석을 포함하는 화강암 풍화층(제Ⅲ층)이 대부분 제거되고, 현재는 단단한 암반(제Ⅳ층)이 지표에 노출되어 있다.

지반 융기를 장기간 받았으나 이 기간 동안 비교적 평탄한 지형이 지속된 지대 즉, 고원 지대에서는 적색 토양(제Ⅰ층)이 제거되고 화강암 그루스 풍화층(제Ⅱ층)도 상당 부분 제거되어, 현재는 화강암 그루스 풍화층(제Ⅱ층) 또는 핵석을 포함하는 화강암 풍화층(제Ⅲ층)이 지표에 노출되어 있다.

지반 융기를 일정 기간 받았으나 이 기간 동안 급경사 사면이 지속된 지대 즉, 해발 고도가 중간 정도이면서 급경사 사면인 지대에서는 적색 토양(제Ⅰ층), 화강암 그루스 풍화층(제Ⅱ층)이 대부분 제거되어, 현재는 핵석을 포함하는 화강암 풍화층(제Ⅲ층)이 지표에 노출되어 있다.

지반 융기를 단기간 받았고 이 기간 동안 비교적 평탄한 지형이 지속된 지대 즉, 산록 완사면 또는 구릉지 완사면에서는, 신생대 제4기의 기후 및 식생 하에서 적황색토가 발달하여 현재 지표에 노출되어 있다.

[구성]

강릉 지역의 토양은 암쇄토, 적황색토, 충적토, 해성토, 풍적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암쇄토는 다시 화강암 기원 암쇄토, 고생대 퇴적암류 기원 암쇄토, 편마암 기원 암쇄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암쇄토는 암석이 부서진 토양이라는 뜻이다. 그런데 강릉 지방의 암쇄토는 암석이 물리적인 힘에 의해 부서진 토양이 아니고, 암석이 화학적 풍화작용을 받은 상태의 토양이다. ‘암석이 화학적 풍화작용을 받은 상태’라 함은 다음과 같은 상태를 말한다. 암석을 구성하는 광물들 중에서 특정 광물은 화학적 풍화작용을 잘 받아서, 그 광물 크기가 본래보다 작아지고 그 광물 바로 옆에 있던 모든 광물과의 결합이 풀리게 된다. 각종 광물들이 점점이 존재하는 상태로 결합되어 있는 암석에서, 특정 광물이 화학적 풍화작용을 받으면 광물들의 결합이 풀려서 암석으로서의 견고함을 잃게 된다.

암쇄토는 암석의 구성 광물 중 일부 광물이 화학적으로 변하고 다른 광물들이 남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암석의 구성 광물이 다르면 암쇄토가 차이 난다. 강릉 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암석은 화강암, 고생대 퇴적암류(석회암, 사암, 셰일), 편마암 등이다. 따라서 강릉 지역의 암쇄토는 화강암 기원 암쇄토, 고생대 퇴적암류(석회암, 사암, 셰일) 기원 암쇄토, 편마암 기원 암쇄토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강릉 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암석 중에서 화학적 풍화작용을 잘 받는 암석은 화강암과 석회암이다. 이에 비해 사암과 편마암은 화학적 풍화작용을 덜 받는 암석이다.

화강암은 강릉 지역에 가장 널리 분포하는 암석이다. 화강암은 마그마로부터 광물 결정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고온 정출 광물에서 저온 정출 광물에 이르기까지 여러 종류의 광물로 구성되어 있다. 지표 부근의 온도 조건에서 고온 정출 광물은 저온 정출 광물에 비해 불안정하다. 지표 유수가 표토층 아래 있는 화강암으로 침투하게 되면, 화강암을 구성하는 고온 정출 광물부터 화학적으로 변화된다. 이와 같이 화강암은 화학적 풍화작용을 잘 받는 암석이다.

석회암은 주로 옥계면의 서부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석회암을 이루는 광물은 방해석 등 탄산칼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광물이다. 지표 유수가 표토층 아래 있는 석회암에 침투하게 되면, 탄산칼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광물은 물에 의해 점차 용해된다. 이렇게 물에 용해된 화학 성분은 더 아래쪽으로 이동되어 가고, 그 자리에는 물에 용해되지 않은 광물들만 남게 된다. 이와 같이 석회암은 화학적 풍화작용을 잘 받는 암석이다.

적황색토는 토양 색상이 적황색인 토양이다. 토양이 적황색을 띠는 이유는 산화된 철분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철분이 산화된 상태로 토양 입자들을 아주 얇게 둘러싸고 있는 것이다. 적황색토는 암쇄토와 달리 점토 함량을 상당히 많이 포함하고 있다. 적황색토에 포함된 점토는 암석을 구성하는 광물이 화학적 풍화작용을 받아서 새로이 형성된 광물들 즉, 2차광물들이다. 산화된 철분도 2차광물의 한 종류인데, 철분을 함유한 광물들이 화학적 풍화작용을 받아서 새로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적황색토가 점토 함량을 상당히 많이 포함하고 있다는 점은, 대부분의 광물이 화학적 풍화작용을 받았음을 의미한다. 그 외에도 강릉 지역의 적황색토에서는 점토가 토양의 상층부에서 하층부로 이동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양의 공극 벽에 점토가 얇은 막을 이루고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토양 물질이 상층부로부터 하층부로 이동하여 하층부에 그 물질이 남아 있다는 점은, 토양이 층 구조를 가지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충적토는 육지에서 유수에 의해 퇴적된 토양이다. 강릉 지역에서 유수에 의해 퇴적된 토양은 주로 하곡에 퇴적되어 있는 토양이다.

해성토는 해수의 작용에 의해 퇴적된 토양이다. 강릉 지역에서는 파랑 또는 연안류에 의해 퇴적된 토양이 있다. 사빈(모래사장)을 이루는 토양이 이에 해당한다.

풍적토는 바람에 의해 퇴적된 토양이다. 강릉 지역에서 바람에 의해 퇴적된 토양은 주로 해안 사구를 이루는 토양이다.

[분포]

강릉 지역에서 토양의 분포를 고찰할 때, 토양이 거의 덮여 있지 않은 경우(암석 노출지)도 함께 언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암석 노출지는 토양이 거의 덮여 있지 않고 암석이 지면에 노출되어 있는 땅을 말한다. 암석 노출지는 지면 경사가 매우 급한 사면에 나타난다.

강릉 지역에서 암석 노출지가 넓게 나타나는 지대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곡면, 사천면, 주문진읍의 서쪽 경계를 이루는 산지 일대이다. 두로봉[해발 1,422m] - 동대산[해발 1,434m] - 노인봉[해발 1,338m]으로 이어지는 백두대간 능선(태백산지 분수계 능선) 동쪽의 급경사 사면이 이에 해당한다. 둘째, 강동면의 서쪽 경계를 이루는 산지 일대이다. 만덕봉[해발 1,035m] - 칠성대[해발 954m]로 이어지는 능선 동쪽의 급경사 사면이 이에 해당한다.

강릉 지역에서 암쇄토는 낮은 산지 또는 고원지대에 주로 분포한다. 강릉 지역에서 암쇄토가 넓게 나타나는 지대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곡면사천면의 중산간 지대이다. 이 지대는 기반암이 화강암이면서 낮은 산지가 넓게 펼쳐져 있는 곳이다. 둘째, 왕산면 대기리고단리 일대이다. 이 지대는 기반암이 화강암이면서 고원 지형이 넓게 펼쳐져 있는 곳이다. 셋째, 옥계면의 중산간 지대이다. 이 지대는 기반암이 석회암이면서 낮은 산지가 넓게 펼쳐져 있는 곳이다. 토양의 분포 면적으로 볼 때, 암쇄토는 강릉 지역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토양이다.

강릉 지역에서 적황색토가 주로 분포하는 지대는 주로 산록 완사면과 구릉지 완사면이다. 산록 완사면과 구릉지 완사면은 암석의 구성 광물이 분해되고 토양의 층 구조가 발달하기에 유리한 장소이다. 그 이유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산록 완사면과 구릉지 완사면은 지표 유수가 토양으로 잘 침투하는 장소이다. 지면 경사가 완만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산록 완사면과 구릉지 완사면은 토양으로 침투한 물이 잘 배수되는 장소이다. 주위의 저지대보다 지면 고도가 조금 높기 때문이다. 물이 토양으로 잘 침투하고 배수도 잘 되므로, 암석 구성 광물이 토양수 및 토양 공기에 자주 접촉하게 되어 광물의 화학적 변화가 촉진된다. 한편 토양에 침투하고 배수되는 물에 의해, 물질이 토양 상층부로부터 하층부로 이동되는 기회도 많아진다.

강릉 지역에서 적황색토가 가장 널리 분포하는 지대는 강릉 지역의 북동부이다. 행정구역상으로는 강릉시, 구정면, 성산면 동부, 사천면 동단, 연곡면 동단, 주문진읍 동단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 지대는 기반암이 화강암이면서 산록 완사면 및 구릉지 완사면이 넓게 펼쳐져 있는 곳이다.

강릉 지역에서 충적토는 주로 하곡과 해안 저평지에 분포한다. 하곡과 해안 저평지의 지표면은 하천이 범람할 때 퇴적된 미립 물질로 덮여 있다. 하천 하류부 하곡과 해안 저평지의 토양은 일반적으로 배수가 불량한 상태이다. 주위 사면에서 저지대로 지하수가 모여드는데 비해, 저지대 지면과 하천 수면의 높이 차이가 얼마 되기 않기 때문이다. 하천 부근 저지대의 배수 불량한 토양은 철분이 환원 상태로 존재하게 되어 토양 색상이 청회색을 띠게 된다.

강릉 지역에서 해성토는 주로 해안에 분포한다. 강릉 지역의 해성토는 사빈을 이루는 토양이다. 강릉 지역의 사빈은 육지에서 하천을 통해 바다까지 운반된 모래가 파랑과 연안류에 의해 해안가에 퇴적된 것이다. 강릉 지역에서 사빈이 비교적 연속적으로 분포하는 지대는 강릉 지역의 북동단이다. 행정구역상으로는 강동면 안인 이북 해안, 구정면 해안, 강릉시 해안, 사천면 해안, 연곡면 해안, 주문진읍 해안이 이에 해당한다. 이 지대에서는 구릉지가 해안에 인접해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사빈이 해안을 따라 연속적으로 펼쳐져 있다.

강릉 지역에서 풍적토는 주로 해안에 분포한다. 강릉 지역의 풍적토는 해안 사구를 이루는 토양이다. 해안 사구는 사빈에 있던 모래가 바람에 의해 육지 쪽으로 다시 이동되어 퇴적된 것이다. 사구의 모래는 사빈의 모래보다 그 입자가 작다. 사빈의 모래 중에서 가벼운 모래가 사구로 이동되어 왔기 때문이다. 강릉 지역에서 해안 사구가 비교적 연속적으로 분포하는 지대는 강릉 지역의 북동단으로서, 해안 사구의 분포지는 사빈의 분포지와 일치한다.

[현황]

강릉 지역의 산록 완사면 및 구릉지 완사면에 분포하는 적황색토 위에는 갈색 삼림토가 엷게 덮여 있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사실은 갈색 삼림토가 가장 최근에 형성된 토양이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갈색토는 후빙기의 기후 및 식생 조건 하에서 형성되는 토양으로 알려져 있다. 후빙기는 신생대 제4기 중에서 최후 시기인데, 최후 빙하기 이후의 시기를 말한다.

강릉 지역에서 갈색 삼림토는 그 두께가 매우 얇고, 산록 완사면과 구릉지 완사면에 갈색 삼림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산록 완사면과 구릉지 완사면에서, 갈색 삼림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적황색토가 지표에 노출되어 있다.

적황색토가 갈색토 밑에 위치하는 점으로 보아, 적황색토는 후빙기 이전에 형성되었으며, 후빙기와는 다른 기후 및 식생 조건 하에서 형성된 토양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강릉 지역에서 적황색토가 지표상에 노출되어 있는 곳에서는, 엷은 갈색토가 지표 유수에 의해 침식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뿐 아니라 적황색토의 경우도 적황색토 상부층(A층)은 지표 유수에 의해 침식되었고, 현재는 주로 적황색토 하부층(B층)이 지표상에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된다. 현재 지표상에 노출되어 있는 적황색토에, 점토가 상층부로부터 이동해 온 점이 확인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토양의 공극 벽에 점토가 얇은 막을 이루고 있는데, 이 점토 피막은 토양의 상층부로부터 점토가 이동해 온 것이다.

[의의 및 평가]

강릉 지역에서 특정 장소의 토양은 1차적으로 그 장소의 지형 조건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그 이유는 강릉 지역이 높고 낮은 산지, 고원, 평야, 하곡, 해안 등 다른 지역에 비해 다양한 지형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강릉 지역의 토양 중에서 기후 및 식생 조건을 반영하여 토양층이 형성되어 있는 토양으로는 적황색토를 들 수 있다. 강릉 지역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토양은 암쇄토인데, 암쇄토는 토양층이 형성되어 있는 토양이 아니다. 암쇄토는 기반암 풍화층이 그대로 지표면에 드러난 상태인 것이다.

강릉 지역에서 농경은 적황색토와 충적토에서 주로 이루어진다. 산록 완사면 또는 구릉지 완사면에서는 주로 적황색토에서 농경이 이루어지고, 해안 저지대 및 하곡에서는 주로 충적토에서 농경이 이루어진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