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303091 |
---|---|
한자 | 全忠祠 |
영어음역 | Jeonchungsa Shrine |
분야 | 종교/유교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강원도 강릉시 저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임호민 |
고려말 충신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의 영정(影幀)을 봉안한 사당.
사당에 봉안된 영정은 1969년 용인군 모현면 능원리 종가 인근에 있던 충렬서원(忠烈書院)에 봉향 중인 진영을 서울대학교 서세옥(徐細鈺) 교수가 모사한 것이다. 개성 숭양서원에서 모사한 영정은 퇴색되어 환봉(還封)하였다.
1934년 후손 정기용(鄭起鎔)이 개성 숭양서원(崧陽書院)에서 진영(眞影)을 모사(模寫)하여 강릉시 왕산면 왕산리 큰골에 사우를 건립하고 30여 년 간 사림과 함께 봉향 다례를 행했다. 그러나 이 지역이 산간오지로 교통이 불편하여 사림의 왕래가 곤란하고, 또 병화(兵禍) 우려 지역이기에 이건이 불가피한 실정에 있었다. 1967년 강릉유도회장이던 후손 정주교(鄭冑敎)의 주선으로 사림 및 후손들과 협의 하에 1968년 강릉시장 김남형(金南亨)을 영당이건추진위원회(影堂移建推進委員會) 위원장으로 선정하고 사림과 후손들이 성금을 모아 지금의 자리로 이건하였다. 1969년 4월 16일 박정희 대통령이 비서관 손석원(孫錫源)을 파견하여 봉안고축문(奉安告祝文)을 고하고 사당을 전충사(全忠祠)라 하였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형태인 전충사가 정면에 있다. 입구는 맞배지붕 형태의 삼문이며 담장이 둘러져 있다.
전충사 솟을대문에 ‘상도문(尙道門)’이란 현판과 전충사 전면 4개 기둥에 주련(柱聯)이 걸려 있다.
강릉 지역 유림과 후손들의 협의에 의하여 사우가 운영되고, 재정은 영일정씨강릉지구종친회에서 담당하고 있다. 제향일(祭享日)은 매년 음력 4월 상정일(上丁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