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301084 |
---|---|
한자 | 南大川 |
영어음역 | Namdaecheon River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강원도 강릉시![]() |
집필자 | 김기설 |
강원도 강릉시 중심지로 흐르는 내.
강원도 강릉시 왕산면 대화실산(大花實山)[1,010m]에서 발원하여 북류하다가 왕산·성산·구정 등 3면의 경계부에서, 역시 왕산면에서 발원하는 지류를 합친 뒤, 성산면과 구정면의 경계를 북동류하고, 강릉 시역(市域)에 들어와서 동북동으로 유로를 바꿔 강릉 시가지 남쪽을 거쳐 하구부에서 섬석천(剡石川)을 남안(南岸)으로 받아들이면서 동해로 흘러들어간다. 길이 32.86㎞, 유역면적 258.65㎢이다.
남대천은 강릉대도호부의 관아 앞(남쪽)으로 흐르는 큰 내여서 생긴 이름이다.
예전에는 경포호 하구로 흘렀으나 지금은 하평에서 동해 바다로 흐르는데 강을 직선화하여 물의 흐름이 빠르다.
상류의 산지에서는 좁은 곡저평지(谷底平地)를 대상(帶狀)으로 형성하고, 하류의 해안에서는 영동(嶺東) 해안평야 중 가장 넓은 평야의 하나로 꼽히는 유역평야를 형성하여 영동 제일의 도시 강릉시를 발달시키고 있다.
남대천은 강릉의 서쪽지역에서 발원하여 동쪽으로 흘러 강릉의 중심부를 지나기 때문에 남쪽지역과 북쪽지역의 교통이 원활하지 못했다. 그래서 남대천을 중심으로 남북을 잇는 도로가 생겼는데, 영동고속도로, 동해대로, 7번 국도, 영동선 등이 있다.
남대천 상류에는 오봉저수지가 있고, 하류에는 죽도봉이 있고, 죽도봉이 있는 앞목과 남쪽 남항진을 잇는 솔바람 다리가 있다. 예전에는 영동선 외 4개의 교량이 있었으나 교통량이 늘어나면서 다리가 많이 늘어났다.
남대천 주위에는 금선정, 연어대, 방구정, 영귀암, 삼포암, 이구산, 상임경당, 하임경당, 월화정, 와룡암, 서출지, 연화담 등의 정자와 명소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