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권계학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300763
한자 權啓學
영어음역 Gwon Gyehak
이칭/별칭 성집(聖集),죽암(竹岩)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강원도 강릉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최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신
아버지 권득형(權得衡)
권계징(權啓徵)
출신지 강릉
성별
생년 1716년연표보기
몰년 미상
본관 안동(安東)
대표관직 부사직 겸 춘추시강원문학(副司職 兼 春秋侍講院文學)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가계]

본관은 안동. 자는 성집(聖集), 호는 죽암(竹岩). 참판인 오죽헌 권처균(權處均)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권윤재(權允載)이고 아버지는 효자인 권득형(權得衡)이다.

[생애]

1747년(영조 23)에 식년문과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여 부사직 겸 춘추시강원문학(副司職 兼 春秋侍講院文學)을 지냈다. 1781년에 기후가 고르지 못하여 재앙이 생겼을 때에 정조(正祖)가 구언(求言)의 교지를 내리자 권계학은 일곱 가지 조목의 상소를 올렸다. 그 후 정조는 특별히 관동 지방의 삼(蔘)에 대한 폐단을 덜어 주라는 조서를 내렸다.

[학문과 사상]

일찍이 지암(止菴) 김양행(金亮行), 역천(櫟川) 송명흠(宋明欽)과 더불어 도리(道理)로써 교류하였고 심성이기제설(心性理氣諸說)을 지어 심오한 이치를 밝혔으며 호해(湖海)로 물러나 ‘환호(喚皓)’라고 하는 당(堂)의 이름을 지었는데 여러 재상들이 읊은 시문이 유고(遺稿)에 실려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1.12.12 2011 한자 최종 검토 부사직 겸 춘추시강원문학(副司職 兼 春秋侍講院文學) ->부사직 겸 춘추시강원문학(副司職 兼 春秋侍講院文學)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