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땅을 다스리는 신령을 모시는 굿. 지금 굿청에서 굿을 하니까 지신은 노하지 말고, 모든 사람들의 살을 막아 달라는 뜻에서 한다. 지신은 ‘터주'라고 하는데, 집터와 마을 또는 나...福)을 주는 신이다. 지신굿 장단은 청보 1장~6장까지이다. 지신굿 은 ‘오방토주지신(五方土主地神)굿'이라고도 한다. 지신굿 은 토주지신을 청해 부른 연후...
-
음력 정월 대보름 부터 3~4일간 행해지는 농악대의 민속놀이. 음력 정초에 지신을 진압함으로써 악귀와 잡신을 물리치고 마을의 안강과 풍작 및 가정의 다복을 축원하는 신앙적 의... 사설을 상쇠가 말하고 그에 맞는 가락을 울린다. 그리고 15일 밤부터 집집마다 들려서 지신을 밟아준다. 굿패들이 서낭기를 들고 풍물을 치고 지신밟기 를 원하는 집으로 간다. ...
-
오방토주지신(五方土主地神)에 대하여 축원하는 지신굿 에서 부르는 무가. 지신님네를 모시자 지신님네를 모실 적에 동방에는 청제지신아 남방에는 적제지신님네 서방에는 벽제지신이 북에는가 흑제지신이 한 가운데 황제지신님네 오방지신님네를 위로 합니다 이 명당 이 터전에 낡을 다려도 지신님의 전에다 다리시고 땅을 다려도 지신님 앞에서 다리고 물을 먹어...
-
고려 후기의 문신이자 강릉최씨 입지계의 시조인 최입지 의 신도비. 최입지(崔立之) 는 강릉최씨 입지계의 시조이다. 최입지 는 고려 때 평장사(平章事)를 지냈고, 강릉군(江陵君) 에 봉해졌다. 1844년(헌종 10)에 후손 최종태(崔鍾泰) · 최양호(崔養浩) 등이 종인들과 함께 재원을 마련하여 건립하였다. ...
-
... 송암리 시막동 이 된다. 고봉 산 정상에는 천제단이 있는데, 마을 사람들은 매년 음력 10월 초정일 새벽에 제물을 준비하여 산정에 올라가 천제를 지낸다. 천제단에는 성황지신·여역지신·토지지신을 모시고 있고, 천제를 지낼 때 부정한 사람은 참여하지 않으며, 제물은 소머리를 쓴다. 또한 마을에 가뭄이 계속 들면 하지가 지난 후에 고봉 에서 기우제를 지내기...
-
... 고삼, 자삼 장단 등이 있다. 1. 청보장단 부정굿 , 청좌굿 , 하회굿, 축원굿, 조상굿 , 산신굿 , 칠성굿 , 성주굿 , 원님굿, 지신굿 , 군웅굿 , 장군굿 등 가장 다양한 굿에서 사용되는 장단이다. 청보장단은 초장에서 5장까지 구성되는데 차츰 빨라진다. 청보장단의 선율 구조는 ‘라솔미레도라미'인데 이...
-
강원도 강릉 지역에서 집터를 지켜주는 가신(家神). 터주신은 지신, 토지신, 터주대감 등으로 불리며, 한 가정의 땅을 관장하는 신이다. 터주신에게는 명절 때나 안택 등을 할 때 따로 상을 차려 위한다. 함부로 땅을 파헤치거나 하면 “동티가 난다.”고 하는데 이는 동토(動土)로서 터주가 노하는 것으로 믿는다. 강릉시 홍제동 ...
-
... 불린다. 마을의 수호신으로 모셔지는 동신(洞神)을 계통상으로 분류하면 천신(天神), 지신(地神), 수신(水神), 사귀(邪鬼), 인신(人神) 등의 계통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우는 3위의 서낭신을 모시는가 하면 1위의 신 즉, 성황지신, 토지지신, 해랑지신, 동해지신 등의 1위만 모시고 치제하는 양상도 있다. 한편으로는 3위의 신위에 영산지신, 목신지신...
-
...로 향토색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 다양한 가락으로 유명하다. 김용현 은 12채 가락으로 논갈이에서 모를 내고 김을 맬 때까지 연주하고, 정월 대보름날 에는 지신밟기 를 하였으며, 2월 6일 좀생이날 에는 답교놀이를 이끌었다. 단오제 때에는 농악경연에 상쇠로 출연하여 힘 있고 빠른 가락으로 독특하고 탁월한 기능을 선보였다. ...
-
...을 짓지 않고 둥글게 돌담을 쌓은 형태가 일반적이다. 고청제 를 지내는 당주변에는 대개 큰 나무가 있다. 고청제 는 자정에서 새벽 1시 사이에 모신다. 성황지신, 토지지신, 여역지신 신위를 차례로 모신 뒤 제물을 진설한다. 제물은 조육, 생물, 삼탕, 삼실과, 포, 메, 편 등이다. 제사는 전형적인 유교식으로 홀기에 따라 진행한다. 초헌, 아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