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 향토색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 다양한 가락으로 유명하다. 김용현 은 12채 가락으로 논갈이에서 모를 내고 김을 맬 때까지 연주하고, 정월 대보름날 에는 지신밟기 를 하였으며, 2월 6일 좀생이날 에는 답교놀이를 이끌었다. 단오제 때에는 농악경연에 상쇠로 출연하여 힘 있고 빠른 가락으로 독특하고 탁월한 기능을 선보였다. ...
-
...소 밑에 있는 방축다리 에서 상운산 과 하운산 이 정월 대보름날 횃불싸움을 하였다고 한다. 운산동 50통 4반 에는 마을 수호신을 모신 서낭이 있다. 신위는 산신지신, 토지지신, 여역지신을 모시고 있다. 서낭목 밑에 제단을 설치하고 제사를 지낸다. 음력 정월 대보름 에 제의를 지내며, 제물은 유사제로 도가를 지정하여 제물을 준비하고 생음식을 각위마...
-
...등 도처에서 민속 행사가 진행된다. 망월제 는 달맞이로 유명한 강릉 지역에서 전래하는 대보름 행사를 시민 축제화한 것으로 달맞이 제사를 비롯하여 농악대의 지신밟기 , 어부식, 달집태우기, 망우리돌리기, 달집에 소원 글씨 붙이기, 용물달기 , 연날리기, 윷놀이, 「강릉 관노 가면극」 공연 등 다양한 행사가 진행된다. 정월 대...
-
...산리 내에 녹색 농촌 체험 마을과 농촌 민박을 하는 농가들이 있어 도시민들이 자주 찾는다. 왕산리 3반 에는 성황당이 있다. 당집은 1994년에 세웠다. 성황지신(城隍之神)·토지지신(土地之神)의 위패를 모시고매년 음력 정월 초정일과 음력 동짓달 초정일에 성황제(城隍祭)를 지낸다. 왕산계곡 에는 참참이소 , 찍소폭포 , 잿물소 ,...
-
...다. 음짓말 과 양짓말 입구에 서낭당이 있고, 그 옆에 갓바위 가 있었는데 현재는 없어졌다. 서낭당은 당집은 없고, 서낭목 주위에 돌담을 쌓아 제단을 마련하였다. 성황지신·토지지신·여역지신을 모시고 있으며, 매년 음력 정월 초정일에 고청제(告請祭) 를 지낸다. 음짓말 에서 안으로 들어가면 좌망두 가 있고, 좌망두 를 지나 골로 들어가면 약...
-
...에 따르면 부정굿 노래 , 축원굿 노래 , 조상굿 노래 , 당고마기 노래 , 성주굿 노래 , 군웅 장수굿 노래 , 심청굿 노래 , 칠성굿 노래 , 지신굿 노래 , 손님굿 노래 , 제면굿 노래 , 꽃굿 노래 , 등굿 노래 등이 있다. 채록본에는 세존굿 , 성주굿 , 심청굿 , 손님굿 등 서사 무가를...
-
... 피살돼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산성우리 1리와 2리에 각각 서낭당이 있다. 1리의 서낭당은 오리골 에 있으며, 당집은 벽돌 건물로 함석지붕을 올렸다. 산신지신을 모시고, 매년 음력 8월 15일에 성황제를 지낸다. 2리의 서낭당은 3반 마을회관 인근에 있으며, 목조 건물로 함석지붕을 올렸다. 성황지신·토지지신·여역지신을 모시고 매년 음력 1월 성황제를 지낸다. 석탄 산업 합리화 정책 이전까지만 해도 마을에 군소 탄광이 많이 있어 농사짓는 주민들보다 탄광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
...중에는 양중(兩中)[남자 무당. 무격]과 관노 가면극 악사들이 굿거리와 삼채가락을 치고 여기에 맞춰 무녀와 관노패들이 춤을 추며 행진한다. 칠사당 에 도착하면 마당 가운데서 지신을 밟고 마당에 피워둔 장작불에 술단지를 소독한 후 미리 준비한 고두밥과 누룩, 솔잎, 맑은 물을 잘 섞어 단지에 넣고 한지로 봉하여 술을 빚는다. 술을 빚을 때는 침이 들어가지...
-
... 것이다. 서낭당은 학산2리 재궁마을 소나무 숲에 있으며 신당은 없고 서낭당 주변에 돌담을 쌓아 당을 표시하였다. 신위도 상시 설치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마을제사 때에 성황지신, 토지지신, 여역지신의 세 신위를 모시는 형태이다. 정월의 마을 제사에서 제관은 삼헌관과 축관이 있으며 대개 마을의 연장자가 선정된다. 단오제를 지내기 위한 4월 보름의 경우에는 따로 ...
-
...단은 옷감이다. 나비사는 영혼을 상징하고, 물결사는 용왕신을 의미한다. 그리고 달사는 천지신명(天地神明)을, 산사는 산신을 의미한다. 2. 단오굿의 제차 굿이 펼쳐지는 순서이다... 조상굿 · 세존굿 · 심청굿 · 성주굿 ·군웅 장수굿· 칠성굿 · 지신굿 · 산신굿 · 손님굿 ·천왕굿·용왕굿·제면굿으로 신과 인간이 함께 즐기는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