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도 강릉시 초당동유적에서 출토된 타날문토기. 김해식토기는 중국의 전국시대(戰國時代)에서 전한대(前漢代)에 걸진 타날문의 회도(灰陶)의 영향을 받아 발생하였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한강 유역, 낙동강 유역, 충청도, 전라도, 강원도 등 초기 철기시대 유적에서 많이 발견되고 있어 남한 전역에서 널리 퍼져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주로 한강 이남에 분포되어 있는 철기시대의...
-
목화송이에서 씨를 제거할 때 사용하는 기구. 『북학의』에는 '교거(攪車)'로 적혀 있다. 강릉에서는 ‘쌔’라고 하는데 다른 지역에서는 '쐐·쐐기·씨앗이·쒸야·타리개'라고도 한다. 씨앗에 목화송이를 넣어 앗으면 씨는 뒤에 떨어지고 앞으로 목화솜이 빠진다. 씨아의 구조는 씨아손(꼭지마리)을 돌리면 이에 따라 수카락이 회전하고 이와 연결된 톱니바퀴, 가락귀, 토리개가 회전하고...
-
강원도 강릉시 노암동의 댕댕이굼에 있는 우물. 타압정(打鴨井)은 효자로 소문이 자자했던 농헌(聾軒) 박억추(朴億秋)[1523~1590]가 집 앞에 있는 우물에 놀러온 오리를 돌을 던져 잡았다고 하여 생긴 이름이다. 타압정은 모산봉에서 북쪽에 있는 남대천 쪽으로 내려온 산 능선 끝에 있고, 그 옆에는 거북바위가 있다. 거북바위 앞에는 큰 차돌이 박혀...
-
강릉 지방의 농가에서 도리깨질을 할 때 부르는 민요. 도리깨질을 하며 부르는 전형적인 노동요로, 앞소리꾼이 메기면 뒷소리꾼들이 받는다.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의 「타작소리」가 널리 알려져 있으며, 강원도무형문화재 제5호인 「강릉학산오독떼기」에 포함되었다. 타작소리는 「마댕이소리」라고도 하는데, 이는 후렴 구절에서 반복되는 “에 에이 마댕이야”라는 말에서 따온 것이다. 타작...
-
강원도 강릉 지역에서 석탄을 채굴하는 광산. 석탄광이란 석탄을 경제적으로 채굴, 선별한 후 상품으로 시장에 공급하는 것을 말한다. 역사적으로 보면 석탄 이전의 에너지원은 산림이었다. 석탄이 에너지원으로서의 가치가 인정되면서 노천탄광으로부터 지하탄광으로 채탄 작업이 확대되었다. 공급이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였기에 점점 더 깊이 들어갈 수밖에 없었다. 이는 많은 위험과 시설...
-
강원도 강릉 지역에서 무당들이 탈을 쓰고 노는 굿. 탈굿은 탈놀음, 탈놀이, 말놀음굿이라고도 하며, 강릉을 비롯한 동해안 일원의 큰 별신굿에서 행해지고 있다. 대표적인 탈굿은 호탈굿이 있는데 일명 호탈놀이, 호랑이굿, 범탈놀이, 범굿, 호자(虎藉), 호석(虎席), 범안굿이라고 한다. 일부 동해안의 범굿은 호탈굿이 중요한 주제가 되므로 별신굿 그 자체를 ‘범굿’...
-
가는 새끼를 엮어서 만든 운반기구. 가는 새끼나 노로써 너비가 좁고 울이 깊도록 짠 네모꼴의 주머니로 지역에 따라 구럭, 깔망태라고도 한다. 가는 새끼 등으로 촘촘하게 엮어 만드는데, 원래의 형태는 네모꼴이나 주둥이를 죄면 염낭처럼 보인다. 주둥이를 죄는 끈은 아래 양쪽 끝에 연결되어 멜빵 구실을 겸하고 있다. 강원도 산간마을에서 많이 쓰이는 것으로, 산비탈에서 망태기...
-
강원도 강릉시 내곡동에 있는 마을. 심북(尋福)은 신라 말기 또는 고려 초기에 범일국사가 창건한 신복사(神福寺)가 있어서 생긴 이름으로, 후에 심복으로 불리고 있다. 또한 신복사에 3층 석탑이 있어서 ‘탑골’이라고도 하는데 지금은 사찰은 없고, 절터만 남아 있다. 심북은 진재등에서 내려온 산줄기에 둘러싸여 있다. 심북 뒤쪽으로 진재등이 길...
-
강원도 강릉시 왕산면 도마 2리에 있는 마을. 탑동[탑골]은 마을 한가운데 자연석으로 쌓은 돌탑이 있어 생긴 이름이다. 탑골에 돌탑을 세운 것은 마을이 배 형국으로 되어 있기 때문인데, 홍수가 나면 배가 떠내려가지 않도록 배의 중심을 잡고, 바깥에 있는 기둥에다 밧줄을 단단하게 매기 위해 돌을 쌓았다. 돌탑 주위에는 소나무 6그루가 있다. 탑골은 칠...
-
강원도 강릉시 왕산면 도마 2리에 있는 마을. 탑동[탑골]은 마을 한가운데 자연석으로 쌓은 돌탑이 있어 생긴 이름이다. 탑골에 돌탑을 세운 것은 마을이 배 형국으로 되어 있기 때문인데, 홍수가 나면 배가 떠내려가지 않도록 배의 중심을 잡고, 바깥에 있는 기둥에다 밧줄을 단단하게 매기 위해 돌을 쌓았다. 돌탑 주위에는 소나무 6그루가 있다. 탑골은 칠...
-
종 모양의 형태로 만든 부도. 부도는 부도(浮圖), 부두(浮頭), 포도(蒲圖), 불도(佛圖) 등 여러 가지로 표기되고 있는데 원래는 불타와 같이 붓다[Buddha]를 번역한 것이라고도 하며, 스튜파[Stupa], 즉 탑파를 일컫기도 한다. 또한 승려들도 부도(浮屠-浮屠之者)라 하였던 예가 있어 부도란 실로 넓은 뜻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부도라 하면 승려의...
-
고려 전기의 관직. 태조가 고려를 세운 직후에 태봉(泰封)의 관계를 이어받아 919년(태조 2)부터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태광(太匡)’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문관과 무관에게 수여된 관계 중 실질적으로 최고위에 해당하며, 정1품 상계(上階)를 대광, 정1품 하계(下階)를 정광(正匡)이라 하였다. 고려 전기의 관계였던 대광·대승(大丞)·원보(元甫) 등은 958년(광종 9)...
-
강원도 강릉시 율곡초교길47번길 21[교1동 1855-1번지]에 있는 고기 요리를 전문으로 하는 음식점. 태백 지역 한우를 사용하기 때문에 ‘태백가든’이라는 상호를 사용하게 되었다. 1996년에 강릉시 포남동 한솔초등학교 인근에 개업하였고 2002년 신시가지인 교동 솔올 택지로 확장 이전하였다. 건평 230평의 3층 건물로 방이 12칸이고 400명을 수용한다....
-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모전2리에 있는 조그마한 봉우리. 태봉은 강릉의 명산이어서 일제강점기 때 일본인들이 한국인의 기를 말살시키기 위해 이 봉에다 철주를 박았다고 한다. 태봉(胎峰)은 예전에 왕녀의 태를 묻었다고 하여 생긴 이름이다. 강릉의 향토지인 『임영지(臨瀛志)』에 보면 ‘서기 1471년 성종의 왕녀 정복아지(貞福阿只)의 태를 묻고 신묘년 9월...
-
태장봉에서 봄날에 화전놀이하는 것을 노래한 규방가사. 「태장봉 화전가」는 세 본(本)이 있는데, 이귀자(李貴子)가 지은 것과 운산댁(雲山宅)인 최 알비나[천주교 세례명]가 지은 것, 그리고 작자 미상의 짧은 규방 가사가 그것이다. 이귀자가 지은 규방 가사는 두루마리본이 아니고 한 권으로 제책(製冊)된 순 한글 필사본이다. 운산댁 최 알비나가 지은 가사는 필자가...
-
삼국시대 신라의 장군. 지증왕 이래 법흥왕·진흥왕 대까지 활약한 대표적인 장군이며, 신라 왕실의 중신이다. 일명 태종(苔宗). 내물왕의 4대손이다. 505년(지증왕 6) 신라에서는 군현제가 실시되어 최초로 실직주(悉直州)[지금의 삼척]가 설치되었는데, 이때 이사부는 실직의 군주(軍主)가 되었다. 그리고 512년(지증왕 13)에는 하슬라주(何瑟羅州)[지금의 강릉]의 군주가...
-
강원도 강릉 지방에서 고기 잡을 때 부르던 민요. 강릉 지방 연안어업에서 그물을 당겨 올린 다음, 그물에 담긴 고기를 가래로 퍼 담으면서 부르던 어업 노동요의 하나로 「태질소리」라고도 한다. 여기서 ‘태’란 고기를 퍼 담는 도구를 가리키는데, 지역에 따라 ‘쪽대’ 또는 ‘바디’라고도 한다. 현재는 어업 환경의 변화에 따라 부르지도 않고, 노래가 전승되지도 않는...
-
2002년 8월 31일부터 9월 1일 사이 강원도 강릉 지방에 막대한 피해를 끼친 태풍. 태풍은 북태평양 서부에서 발생하는 열대성 저기압 중에서 중심 부근의 최대 풍속이 17㎧ 이상의 강한 폭풍우를 동반하고 있는 열대성 저기압을 말하는 것으로, 열대성 구름띠인 수렴대(收斂帶) 안에 생기는 요란(搖亂)[작은 저기압, 저기압 발달이 예상되는 지역, 구름이나 강수 등이 있는 날씨의 악화...
-
강원도 강릉 지역에서 도시 지역의 부족한 주택난 해소와 도시 발전을 위한 추가적인 주택을 공급하기 위하여 주택 건설에 필요한 미개발 지역을 선정하고 개발함으로써 택지를 대량으로 조성 공급하도록 하는 사업. 택지개발사업이란 정부의 주택 정책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 적기·적소에 양질의 주택 건설 용지를 마련하는 사업이다. 개발 대상 지역의 주택 수요와 가격 및 지가 등을...
-
삼숙이라 불리는 생선으로 끓인 강릉 지역 향토음식. 삼숙이는 삼세기의 방언으로 삼세기과의 생선이며 강릉시 주문진읍 앞바다에서 많이 잡힌다. 생김새는 배가 툭 불거지고 머리가 크며 살집도 별로 없어 아귀만큼이나 볼품이 없지만, 비린내가 덜하면서 구수하고 담백하며 쫄깃한 맛과 오돌오돌 씹히는 연골을 먹는 재미 때문에 강릉 지역에선 별미 생선매운탕으로 알려져 있다. 삼숙이는 지느러미와...
-
강원도 강릉 지역에서 집터를 지켜주는 가신(家神). 터주신은 지신, 토지신, 터주대감 등으로 불리며, 한 가정의 땅을 관장하는 신이다. 터주신에게는 명절 때나 안택 등을 할 때 따로 상을 차려 위한다. 함부로 땅을 파헤치거나 하면 “동티가 난다.”고 하는데 이는 동토(動土)로서 터주가 노하는 것으로 믿는다. 강릉시 홍제동, 강릉시 유천동, 강릉시 사천면 사천진...
-
강원도 강릉 지역에서 집터를 지켜주는 가신(家神). 터주신은 지신, 토지신, 터주대감 등으로 불리며, 한 가정의 땅을 관장하는 신이다. 터주신에게는 명절 때나 안택 등을 할 때 따로 상을 차려 위한다. 함부로 땅을 파헤치거나 하면 “동티가 난다.”고 하는데 이는 동토(動土)로서 터주가 노하는 것으로 믿는다. 강릉시 홍제동, 강릉시 유천동, 강릉시 사천면 사천진...
-
강릉 지역에서 털게를 찜통에 얹어 쪄먹는 음식. 강릉 지역의 털게는 십각목 털게과의 한해성(寒海性)의 비교적 큰 게이다. 털게는 강릉 지역 동해안에서 많이 잡히며 살이 연하고 맛이 좋은 주요한 수산자원이다. 몸 빛깔은 바탕색이 등홍색이나 등갈색이지만 성장한 개체는 흑갈색에 가깝다. 일반적으로 수컷이 더 크며 몸 전면에 털이 빽빽이 나 있는데 배 쪽이 더 길고...
-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현천길 25[어단리 973-1번지]에 있는 커피 제조공장, 커피숍, 레스토랑을 겸한 커피체험 종합문화 공간. ‘커피가 잘 자라는 비옥한 보랏빛 땅’이라는 뜻이 취지에 맞아 상호를 붙였다. 2002년에 건립되어 커피 제조 판매로 시작하였으며 식당은 2005년 7월에 개업하였다. 대지 420평에 건평 104평으로 본관 1층은 커피 제조공장 및 커피전문점...
-
가지과에 속하는 다년초 또한 식용 지하 덩이줄기. 감자는 현재 세계 130여 나라에서 재배되고, 연간 2억7천~2억8천 톤 정도가 생산되고 있어 생산량 기준으로 옥수수, 벼, 밀 다음을 차지하는 작물이다. 국가별 생산량을 보면 러시아, 폴란드, 중국, 미국 등이 주요 생산국이며 우리나라는 전체 생산량의 0.17%로 아주 적은 양을 생산하고 있다. 우리나라 감자 재배는 대부분 영세성...
-
강원도 강릉 지역에서 신석기 이래 점토를 빚어 불에 구워 만든 용기. 토기(土器)는 신석기 이래로 사용되었는데, 이는 과거의 수렵·채집생활에서 농경을 바탕으로 하는 정착생활로 전환하면서 식량을 저장하고, 식수를 담아두는 용기가 필요하게 되면서 출현하였다. 처음에는 자연적인 구덩이나 풀로 만든 바구니, 목기 등을 토기 대신에 사용하였으나 점차 흙을 반죽하여 일정한 형태를...
-
강원도 강릉시 강문동 신라시대 주거지에서 출토된 일본식 토기. 암갈색을 띠는 연질(軟質)의 원저장경호(圓底長頸壺)로, 기형은 둥근 바닥에서 완만한 곡선을 이루며 올라가다 어깨에서 몸체 최대경을 이룬 뒤 급격하게 오므라들었다. 목은 길고 완만하게 바라져 올라갔으며, 아가리 끝은 비교적 날카롭게 처리하였다. 토기 외면에는 다치구(多齒具)를 이용한 정면한 흔적이 일부 남아 있...
-
강원도 강릉시 사천면 석교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토성. 석교리 성지의 석교리라는 명칭은 사천천에 있었던 석교(石橋)에서 유래한다. 석교리는 사천면 북단에 위치하며 석교리 성지는 석교리의 제일 서쪽 부분에 해당된다. 최근 지표조사를 통하여 석교리의 윗구라미 지역에서 청동기시대의 석기(石器)와 집자리 단면이 확인되기도 하였다. 석교리 지역의 북서부는 해발...
-
지방에 토착하고 있던 재지 씨족집단의 성씨에 대한 총칭. 강릉은 토성들의 재지적 기반이 강했던 지역이다. 토성은 대체로 고려시대의 향리출신으로서 여말선초에는 신흥사대부를 성장시켰다.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 조선 초기 강릉 지방 성씨에 대해 “토성이 여섯이니 김(金)·최(崔)·박(朴)·곽(郭)·함(咸)·왕(王)이요, 사성(賜姓)이 하나이니 옥(玉)이...
-
강원도 강릉시 홍제동 주민 센터 앞에서 옥천동 율곡로에 이르는 도로. 도로가 옛날 강릉 읍성의 토성이 있던 곳을 지난다고 하여 토성로라고 이름 붙였다. 토성로는 과거 강릉 읍성 지역이던 임당동, 용강동, 홍제동 일대의 구시가지 주택 밀집 지역을 따라 오래전에 개설되고 정비 확충된 도로이다. 길이 1,974m, 폭 12m의 2차선 도로이다. 토성로는...
-
지표면에 퇴적되어 있는 물질. 토양은 토양 물질 일부가 위로 또는 아래로 이동함으로써 토양층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말한다. 강릉의 경우, 토양층이 형성되어 있는 토양은 산록 완사면 또는 구릉지 완사면 등 매우 한정된 지대에만 분포해 있다. 따라서 강릉 지역에서는 토양의 의미를 넓게 확대하여서 ‘땅의 가장 윗부분을 이루면서 식물이 자랄 수 있는 부드러운 물질’로 정의하는 것이 바람...
-
강원도 강릉 지역에서 집터를 지켜주는 가신(家神). 터주신은 지신, 토지신, 터주대감 등으로 불리며, 한 가정의 땅을 관장하는 신이다. 터주신에게는 명절 때나 안택 등을 할 때 따로 상을 차려 위한다. 함부로 땅을 파헤치거나 하면 “동티가 난다.”고 하는데 이는 동토(動土)로서 터주가 노하는 것으로 믿는다. 강릉시 홍제동, 강릉시 유천동, 강릉시 사천면 사천진...
-
강원도 강릉 지역에서 한쪽에 괸 물을 옮기거나 낮은 곳의 물을 높은 곳으로 퍼 올리는 데 쓰는 도구. 수원지(水源池)에 기둥 셋을 엇매겨 작사리를 지어서 묶어 세우고 긴 숟가락처럼 된 나무통을 중간에 매달아 그 한 끝을 쥐고 밀어서 물을 퍼 올리는 장치이다. 『훈민정음해례(訓民正音解例)』의 '드레[汲器]'나 「농가월령가」의 '길고(桔楗)'는 파래를 가리키는 말이다. 통두...
-
족제비 등의 작은 짐승을 사로잡을 때 사용하는 덫. 덫은 크게 짐승의 발목이나 목을 옭아매는 코와 짐승이 치이도록 하여 잡는 틀로 나누어지는데 통방이는 틀에 속하는 덫이다. 족제비나 쥐 등 작은 짐승을 유인하여 사로잡을 때 사용한다. 상자 모양의 나무틀을 짜서 앞문을 들어 올려 후리채에 걸어 두면 짐승이 나무통 안의 미끼를 건드리는 순간 후리채가 벗겨지면서 문이 떨어져 사로잡을 수...
-
족제비 등의 작은 짐승을 사로잡을 때 사용하는 덫. 덫은 크게 짐승의 발목이나 목을 옭아매는 코와 짐승이 치이도록 하여 잡는 틀로 나누어지는데 통방이는 틀에 속하는 덫이다. 족제비나 쥐 등 작은 짐승을 유인하여 사로잡을 때 사용한다. 상자 모양의 나무틀을 짜서 앞문을 들어 올려 후리채에 걸어 두면 짐승이 나무통 안의 미끼를 건드리는 순간 후리채가 벗겨지면서 문이 떨어져 사로잡을 수...
-
강원도 강릉 지역에서 사람이나 단체 간에 정보를 효과적으로 교환하는 과정 및 체계. 통신은 인사, 안보, 인사 이동, 첩보, 죽음 등의 소식이나 정보 등을 주고받는 과정 및 체계를 말한다. 곧 정보 교환이라 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인류는 그동안 많은 수단을 개발·이용하여 왔다. 예를 들면, 사람이 직접 오가면서 소식을 전하는 인편, 말과 역을 이용하는 역마(驛馬),...
-
조선 후기 강릉 부사 정경세가 지방의 풍속 교정을 위해 제시한 절목. 1614년(광해군 6)에 수령 정경세가 생활풍속을 교정하기 위해 제시하였던 명분과 그에 따른 절목이다. 강릉 부사 정경세가 강릉 지역의 생활풍속을 목격하고 성리학적 질서로 교정하기 위해 절목을 마련하여 제시하였다. 동성동본의 혼인을 금지하고, 어머니의 장례를 소홀히 하지 말고, 상호부조를 간소하게 할 것을 권유하...
-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안인진리에 있는 공원. 통일공원은 안인항과 등명 해변의 중간쯤에 위치한다. 바다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4,200평의 터에 들어선 304평의 통일 안보 전시관과 4,000평의 공간에 설치된 함정 전시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1996년 9월 18일 무장간첩이 잠수함을 타고 안인진에 잠입한 사건이 발생하였다. 무장간첩들은 결국 소탕되었지만, 우리...
-
신라 때 구산선문(九山禪門) 중 사굴산파(闍崛山派)를 개창한 선승(禪僧). 품일(品日)이라고도 한다. 강릉 지역에서는 대관령 성황신으로 신격화 되어 있으며 강릉단오제의 주신(主神)으로 추앙받고 있다. 아버지는 명주도독(溟州都督)을 지낸 김술원(金述元)이며, 어머니는 문씨(文氏)이다. 범일은 810년(헌덕왕 2) 음력 1월 10일에 명주에서 출생하여 15세에 출...
-
강릉시 연곡면 퇴곡리에 있었던 공립 초등학교. 1934년 4월 1일 강릉에 공립 연곡초등학교 퇴곡간이학교로 설립되고, 1942년 4월 1일 퇴곡초등학교로 설립되고, 1990년 3월 1일 삼산초등학교 퇴곡분교장으로 격하되고, 1996년 3월 1일 신왕초등학교 퇴곡분교장으로 개편되었다가 2000년 3월 1일 폐교되었다. 교가의 가사는 ‘태백산 정기 받은 퇴곡 어린이/ 배우는...
-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에 있는 행정리. 임진왜란 때 군량을 헌납한 공으로 동지중추의 벼슬을 한 권신이 퇴곡장을 짓고 살았고, 권신의 후손 퇴곡공 권칭이 강릉 옥가[옥천동]의 노남[옥천 초등학교 일대]에서 벼슬을 하다가 그만두고 정자를 짓고 살았다고 하여 권신의 호를 따서 ‘퇴곡’이라는 마을 이름이 생겼다는 설이 있다. 또 다른 설로는 마을에 안동 권씨가 들어오기 전에는 정...
-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1563~1633]를 추모하기 위해 건립되었던 사우. 정경세의 호를 따서 우복사(愚伏祠)라고 하였고, 일명 도동사(道東祠) 또는 퇴곡서원(退谷書院)이라고도 한다. 정경세는 1613년(광해군 5) 강릉대도호부사에 부임한 후 양몽재(養蒙齋)를 설치하고 강릉향교에 흥학비(興學碑)를 세우고 3년 재임 기간 동안 교화를 크게 행하...
-
강원도 강릉 지역 특산물의 종류와 특징. 강릉 지역의 특산물은 산업 분류별로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다. 강릉은 바다와 산지가 혼재한 지역으로 따라서 농산물, 수산물, 임산물 등 다양한 지역 생산물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지역 특산물은 생산 여건과 시장 조건, 그리고 수요 및 생산자의 시각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현재 강릉시 농업 기술 센터에서 강릉 특...
-
강원도 강릉 지역에서 생산하는 식용 이외의 특별한 용도에 쓰이는 농작물. 생산물 그 자체로서 사용되지 못하고, 각종 원료로 쓰이거나 많은 가공 과정을 거쳐 우리 생활에 사용되는 작물을 말한다. 작물은 이용성과 경제성이 높아 사람의 재배 대상이 되는 식물을 의미한다. 작물에는 식량 작물·채소·과수·특용작물·기타 직물로 분류된다. 특용작물을 달리 공예 작물 또는 공업 원료...
-
강원도 강릉 지역에서 생산하는 식용 이외의 특별한 용도에 쓰이는 농작물. 생산물 그 자체로서 사용되지 못하고, 각종 원료로 쓰이거나 많은 가공 과정을 거쳐 우리 생활에 사용되는 작물을 말한다. 작물은 이용성과 경제성이 높아 사람의 재배 대상이 되는 식물을 의미한다. 작물에는 식량 작물·채소·과수·특용작물·기타 직물로 분류된다. 특용작물을 달리 공예 작물 또는 공업 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