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0232
한자 『大邱邑誌』[國立中央圖書館]
영어공식명칭 Daegu Eupji
분야 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류명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24년연표보기 - 『대구읍지』[국립중앙도서관] 간행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산60-1]
성격 읍지
간행자 서석태
권책 1책
규격 29.2×19.4㎝

[정의]

1924년 간행된 경상북도 대구부의 읍지.

[편찬/간행 경위]

『대구읍지(大邱邑誌)』[국립중앙도서관]는 기존의 『대구부읍지』에 행정구역 개편으로 새로 형성된 경상북도 대구부와 달성군의 변화 내용을 반영한 읍지이다. 1924년 대구부 소재 선일인쇄소에서 서석태(徐錫台)가 저작 겸 발행자로 발간하였고, 교열자는 이종희(李宗熙)이다.

대구읍지편집역사(大邱邑誌編輯歷史)에는 인촌(仁村) 우재악(禹載岳)[1734~1814]이 2책으로 편집한 이후 1908년에 채헌식(蔡憲植)[1855~1933]과 이병달(李柄達)이 책을 인쇄·반포하였고, 1924년에 서석태와 이종희『대구읍지』를 속수(續修)한 것으로 되어 있다.

[형태/서지]

『대구읍지』[국립중앙도서관]의 표제와 내제는 모두 ‘대구읍지’이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1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읍지는 연활자본으로 제작되었으며, 크기는 세로 29.2㎝, 가로 19.4㎝이다.

[구성/내용]

『대구읍지』[국립중앙도서관]는 대구읍지 편집역사, 목록(目錄), 범례(凡例), 위치(位置), 계역(界域), 건치연혁(建置沿革), 소합제고현연혁(所合諸古縣沿革), 형승(形勝), 산천(山川), 토산(土産), 면리(面里), 풍속(風俗), 호구(戶口), 구시호구(舊時戶口), 조세(租稅), 구시조세, 구시군병(舊時軍兵), 구시성보(舊時城堡), 관직(官職), 구시관직, 구시관직연혁, 구시공해, 학교(學校), 시장(市場), 교량(橋梁), 도리(道里), 사묘(祠廟), 구시단사, 원사(元祠), 능묘(陵墓), 고대능묘, 성씨(姓氏), 고적(古蹟), 정사(亭榭), 폐정사(廢亭榭), 환적(宦蹟), 교우(僑寓), 인물부(人物部)[과환(科宦), 유행(儒行), 충의(忠義), 문원(文苑), 음덕(蔭德), 효자(孝子), 열녀(烈女), 사마방목(司馬榜目)], 사찰(寺刹), 폐사찰(廢寺刹), 승지시선(勝地詩選), 부록(附錄)[연혁, 위치급지세(位置及地勢), 행정구역, 교육, 호수급인구(戶數及人口), 토지, 명승고적]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범례에서 읍지의 구지(舊誌) 편집은 1910년(융희 4)에 끝냈지만 15년이 지난 1924년에 발간하기 때문에 그동안 달라진 사실을 증속(增續) 두 글자로 구별한다고 하였지만 목록에는 ‘구시(舊時)’로 표기하였다.

대구부의 위치는 동경 128도 36분, 북위 35도 50분으로 기록되어 있다. 산천 조에는 달성, 침산, 금호강, 팔조령, 팔공산, 비슬산 등이 실려 있다. 면리 조에는 30개 면과 소속된 225개 리를 소개하였다. 호구 조에는 2만 2250호, 9만 9984명[남자 5만 1044명, 여자 4만 7944명] 외에도 중국인, 미국인, 불국인 등의 호구도 기재하였다.

부록에는 새로운 대구부와 달성군의 연혁, 위치와 지세, 행정구역, 호수와 인구 등을 수록하였다. 호구는 대구부가 1만 3164호, 남자 3만 1385명, 여자 2만 7460명, 합계 5만 8845명이고, 달성군이 2만 3690호, 남자 6만 6401명, 여자 6만 1885명, 합계 12만 8286명이다.

[의의와 평가]

『대구읍지』[국립중앙도서관]는 일제강점기 초기 대구부와 달성군의 지리, 역사, 행정, 인물 등의 현황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