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000808
한자 -運動
영어공식명칭 Saemaeul Movement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북도 완주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성호

[정의]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전국적, 조직적으로 추진된 농촌개발운동.

[개설]

새마을운동은 1970년 4월부터 시작된 ‘새마을가꾸기’사업이 국가정책으로 구체화, 체계화되면서 시작되었다. 정부에 의해 본격적으로 ‘새마을운동’이 추진되기 시작한 것은 1972년 3월 「대통령령」에 의해 새마을운동 행정지도체계가 확립된 이후지만, 농촌 마을 주민들 대다수는 마을에 시멘트가 배정된 1970년 가을부터 새마을운동이 시작된 것으로 기억하고 있다.

[완주군의 새마을운동]

완주군에서도 1971년 새마을 시험사업이 시작되면서, 완주군 새마을운동의 역사가 만들어졌다. 1973년에는 군청에 새마을지도과가 신설되어, 각 마을의 새마을사업을 관리, 감독업무를 맡게 되었다. 이미 1950~1960년대부터 농촌 마을에 조직되어 활동해 오던 4-H 클럽, 생활개선구락부, 부녀회 등 기존 조직들은 모두 마을 새마을사업 조직으로 통합되거나 흡수되었다. 부녀조직은 새마을부녀회로 통합·일원화되고, 마을문고는 새마을문고로, 마을회관은 새마을회관으로 재편되었다. 그리고 그 조직들은 마을 새마을지도자와 면-군의 새마을지도과로 연결되었다. 1970년대 새마을운동의 확대로 완주군의 행정기구도 확대 개편되었다. 1972년 1월 내무과에 새마을계가 신설되고, 1973년 2월에는 새마을계가 새마을과로 승격되었다. 그리고 1973년 9월에는 전국적인 조림사업 추진을 위해 산림과가 신설되었다. 1974년에는 새마을과가 폐지되고, ‘새마을담당 부군수제’가 신설되어, 새마을운동이 각 군의 가장 중요한 업무가 되었다. 새마을운동 제1단계사업[1972년~1979년] 기간 동안 농촌 새마을운동은 경쟁과 포상 제도를 통해 추진되었다. 완주군에서는 1971년의 성과를 기준으로 137개 마을을 선정해서 지원과 함께 소득증대 사업을 추진했다. 그리고 1973년부터는 군내 509개 모든 마을을 기초·자조·자립마을 등으로 나누어 새마을사업을 추진해 나갔다. 그 결과 1977년에는 기초마을이 모두 자조 또는 자립마을로 승격되는 성과를 낳기도 했다.

[완주군의 새마을운동에 대한 평가]

새마을운동은 해방 이후, 특히 6·25전쟁 이후 농촌을 압박하고 있던 절대빈곤을 해결하기 위해 추진했던 모든 정책적 노력의 연장 선상에 놓여 있다. 새마을운동은 농촌의 빈곤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한 운동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농로개설, 조림사업, 저수지 및 수로개설, 교량 건설 등 막대한 노력이 투입되는 사업에 주민의 노동력을 보상 없이 동원되었다. 또 개인의 도로개설 등에 편입되는 개인의 농지에 대해서도 보상은 진행되지 않았다. 말하자면 새마을운동은 근대화를 지향하면서도, 주민의 근대적 권리와 인권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완주군 화산면의 한 사례는 새마을운동에 수용되는 토지와 동원되는 노동력에 대한 보상이 없어서, 늘 싸움이 벌어지곤 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마을 이장이나 새마을지도자, 개발위원 등 마을의 유력자들이 중재에 나서곤 했지만, 한결같이 ‘공익을 위해서 희생’하라는 것이었다. 그리고 당시를 기억하는 사람들은 ‘그래도 그때 안 했으면 지금은 더 어림없는 일’이었다고 증언하고 있다. 이 진술에는 당시의 재산권과 인권의 침해 정도가 요즘 같으면 생각할 수도 없을 정도로 만만치 않았다는 뜻이 담겨 있기도 하다. 이처럼 새마을운동은 공과 과를 동시에 내포하고 있다. 완주군에 새마을운동 당시를 기념하거나 기억할 수 있는 자료실이나 기념시설이 하나도 남아 있지 않은 것을 보면, 주민들은 이 사업에 기억하고 기념할 정도의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 것 같지는 않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