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제주시문화대전 > 제주시의 마을 이야기 > 중간산 유교마을, 납읍리 > 납읍리 개관
-
납읍리의 행정구역상 명칭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납읍리’이다. 제주시에서 남서쪽으로 지방도 1136번 도로를 따라 약 30㎞ 떨어진 곳으로, 동경 126°19′53″, 북위 33°26′9″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제주도의 일반적인 마을 입지는 해변마을, 중산간마을, 도시마을로 나뉜다. 그 중에서 중산간마을이란 한라산이 만들어낸 오름 분지 근처에 형성된...
-
납읍에서 열리는 유교식 의례인 마을 포제는 제주특별자치도 무형문화재 제6호로 지정을 받았다. 이 때문에 납읍은 유교적 전통이 살아 있는 마을로 많이 알려져 있다. 한편 포제가 열리는 장소는 납읍의 자랑인 금산공원인데, 이곳의 난대림은 1993년 8월 19일 천연기념물 제 375호로 지정되기도 했다. 금산공원은 납읍초등학교의 현장학습을 위한 공간으로도 활용된다....
-
전통을 이어가기 위한 마을 사람들의 노력은 “학교살리기운동”에 그치지 않았다. 또 다른 또다른 노력의 결과로 『납읍 향토지』가 발간되었다. 『납읍 향토지』의 발간은 18명의 편집위원회가 주무를 맡았는데, 집필에만 4년이 걸렸고, 납읍 주민들과 편집위원들이 10개월 이상 교열 및 교정 작업을 하여, 장장 5년만에 결실을 맺었다. 이 책에는 납읍마을의 역사와 삶이 기록되어 있다....
-
『납읍 향토지』에 수록된 납읍 향사 기록에 따르면, 애월읍 납읍리에 사람들이 정착해서 마을을 형성한 시기는 고려 충렬왕 26년(1300)경, 지금으로부터 약 7백 년 전으로 추정된다. 조선 태종 16년(1416) 안무사 오식의 계청에 의하여 산북을 제주목으로 하고 목사를 두게 되었는데 납읍은 제주목 산하의 곽남이 되었다. 이 곽남이라는 마을명이 와음이 되어 과납으로 통용...
-
마을 이름의 연원에 대해서는 매우 다양한 유래가 있으나, 역사적인 근거를 다 찾을 수는 없다. 예를 들면 곽남이라는 다른 지명이 있는데, 이는 곽지남동(郭支南洞) 또는 곽악(郭岳) 남쪽에 위치한다는 뜻에서 붙여진 것으로 해석된다. 곽남이라는 다른 이름이 오랜 세월 구전되면서 점차 와음(訛音)이 되어 과납(科納)으로 굳어지게 되었다. 광해군 원년(1609)에 판관 김치가...
-
납읍의 마을 주변 지세가 지닌 풍수적 관점을 무엇일까? 사실 주민들 중에서는 이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사람들이 드물다. 하지만 『납읍 향토지』에는 다음과 같은 해석이 나온다. 즉 마을의 지세로 보아 고내봉은 마을을 향하여 서 있으니 신관을 맞이하는 형이요, 곽지봉은 북쪽을 향하여 돌아서 있기에 무관을 배웅하는 형국이며, 곽지봉의 형국이 마을로 이어져 어사화를 꽂은...
-
납읍의 지명에 대한 설화는 인장묘발지지(寅葬卯發之地), 당릉(唐陵), 열희을 등에 관한 것이 전해진다. 주로 인재가 많이 나오는 곳이라는 점, 당나라의 태자가 이곳에 와서 불로초를 구했다는 전설, 그리고 여우의 여자되기 이야기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지금 마을 주민들은 이에 대해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자세히 알고 있는 분이 없다. 마을의 내력을 자세히 알기 위해 『납읍 향...
-
변흥덕은 납읍에서 두 번째로 등과한 사람으로 벼슬이 옥당에까지 이르렀다. 그 때에 육지에서 온 진거사라는 사람이 변흥덕을 뵈러 왔다가 꿩장이동산 뒤에 있는 인장묘발지지(寅葬卯發之地. 원래는 인장묘발복지지:인시[寅時]에 장[葬]하면 卯時[묘시]에 발복[發福]하는 좋은 산터)를 변흥덕의 신묘지지로 봐주었다. 그런데 변흥덕의 집에는 강 씨 성을 가진 머슴이 어미와 함께 살고...
-
곽오름 한가운데 위치한 무덤이다. 당나라 태자 일행이 이곳에 왔다가 태자가 죽으니 거기에 장사지낸 것으로 전해지는 곳인데, 이 마을에서 제일 오래된 무덤이라 한다. 당의 태자가 이 마을에 온 이유는 확실하지 않으나, 일설에는 그들이 불로초를 캐러 왔었는데, 그 당시 그들이 이 마을에 올 때 가지고 왔던 물건들을 탐낸 마을 사람들이 죽여 버렸다고도 한다. 객지에서 죽게 된...
-
'열희을’은 바리매 오름 뒤쪽에 위치해 있는데, 밤마다 사슴이 와서 질퍽질퍽한 흙에 성기를 꽂았다고 한다. 소길 사람 박 씨는 그 말을 듣고 사슴을 잡으려고 활을 준비하여 숨어서 기다리고 있었다. 밤이 깊어 동쪽에서 우는 아기를 업은 여자가 가까이 오더니 “이놈의 아들 여기 왔구나. 집이 불타고 세간이 없어져 못 살게 되었는데도 한가히 여기 와서 사냥만 하고 있느냐”하고 말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