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오락·연희·곡예 등의 놀이. 민속놀이는 그 지방의 풍속과 생활 모습을 잘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민속놀이는 세시풍속이나 통과의례 등과 매우 깊은 연관이 있다. 민속놀이는 놀이를 하는 시기에 따라 세시(歲時) 관련 놀이와 통과의례 관련 놀이, 일상적 놀이로 구분된다. 또 놀이가 전승되고 있는 집단의 성격에 따라 전문인 놀이와 일...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에서 이른 봄철 소년 소녀들이 진풀로 신랑과 신부를 만들어 놀던 놀이. 곤각시만들기는 ‘고운 색시 만들기’라는 말로서, 풀잎으로 인형을 만드는 놀이이다. 이른 봄 집의 올래(마당)를 비롯해서 울타리 돌담 밑에 파랗게 돋아난 보리뱅이 등의 진풀을 한줌씩 따다 추려 가지고, 그것의 한쪽을 한 뼘 정도의 대나무 끝에다 묶고 총각을 만든다. 총각에는 처녀총각과...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나무에 줄을 묶어 ‘굴메’(그네의 제주 방언)를 타던 놀이. 본래 그네타기는 중국의 한 무제 때 궁정에서 시작된 유희였고, 천추(千秋)라고 불렀던 것이 말이 뒤집혀 추천(秋千)이라 일컫게 되었는데, 이것이 다시 추천(鞦韆)이 되었다. 상당히 오랜 역사를 갖고 있는 그네뛰기는 추석뿐만 아니라 그 이외의 명절 때에도 부녀자들에 의해 자주 연희되었다....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어린이 놀이. 기러기놀이는 귀신으로 선정된 아이가 일렬로 무리를 이룬 기러기 떼의 맨 꼬리에 해당하는 새끼기러기들을 하나씩 떼어내는 민속놀이이다. 두 편으로 나뉘어 서로 상대편의 꼬리를 잡아야만 이기는 육지의 ‘꼬리잡기’ 놀이와 비슷하면서도 제주 지역만의 독특성을 지니고 있는 놀이이다. 주로 추석날 달 밝은 밤에 마을 놀이터나 넓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에서 어른과 아이들이 함께 즐기는 놀이. 꼰자는 주로 무더운 여름철에 시원한 나무 그늘 밑에서 쉬는 틈을 타 어른과 어린이가 함께 즐기는 놀이이다. 제주 지역에서는 ‘줄꼰자’·‘우물꼰자’·‘곤질꼰자’·‘호박꼰자’·‘자동차꼰자’ 등 다양한 종류의 꼰자 놀이가 전승되고 있는데, 대부분 육지와 놀이방법이 크게 다르지 않다. 네 줄, 여덟 줄 등 다...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겨울에 남자 아이들이 방 안에서 하는 놀이. 뚜럼놀이는 어린이들이 어른들의 통 넓은 바지를 뒤집어쓴 채 대화를 나누며 싸운다는 점에서 ‘탈놀이’의 원초적인 모습을 찾아볼 수 있는 놀이이다. 제주 지역에서는 행동거지가 어리숙한 사람을 ‘뚜럼’이라고 한다. 뚜럼놀이는 놀이를 하는 모습이 뚜럼처럼 우스꽝스럽고 흉측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마을 장정들이 즐겼던 힘겨루기 놀이. 제주 지역에서는 대보름날이나 추석, 또는 농한기 때 마을의 젊은 장정끼리 ‘뜽돌’로 힘겨루기를 하였다. 이것을 ‘뜽돌들기’라고 했는데, 가끔은 이웃 마을 청년들과 건전한 힘겨루기 경쟁을 통해 서로의 우의를 다지는 구실을 하였다. 뜽돌놀이는 옛날 머슴들이 힘겨루기를 통해 품삯을 정하거나, 농촌의 청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와흘리와 대흘리 사람들이 본향당의 관리권을 놓고 정월 대보름날 행하던 편싸움 놀이. 불싸움놀이는 전승이 끊긴 지 오래된 놀이이다. 근래 들어 각종 민속경연대회에서 몇 차례 복원이 시도되어 놀이의 양상을 짐작할 뿐이다. 불싸움놀이는 와흘리와 대흘리에서 공동으로 모시던 본향당의 관리권을 놓고 벌어지는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만들어 낸 일종의 편싸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에서 아이들이 즐겨하던 놀이. 4월 초순이면 아이들은 “삥이 빠레 간다.”고 하면서 띠의 새순인 삥이를 뜯으러 산으로 들로 돌아다녔다. 이렇게 뽑은 삥이는 먹기도 하지만, ‘삥이치기’라고 하는 삘기 뺏기 놀이를 하면서 재미있게 놀았다. 삘기를 제주 지역에서는 삥이라고 한다. 삥이를 서로 빼앗는 놀이라는 뜻으로 삥이치기라고 불렀다. 특별히 장소를 정해서...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에서 덕망 높은 사람이 호상(好喪)으로 죽었을 때 하는 민속놀이. 제주 지역에서는 덕망 높은 사람이 수명을 다하고 죽으면, 장례를 치르고 돌아오는 길에 그 마을에서 고인과 비슷한 덕망을 갖춘 한 사람을 사또로 모셔 가마에 태우고는 동네 잔치를 벌인다. 이것을 삿도놀이라고 하는데, 큰 어른을 모시는 잔치를 열어 마을의 활력을 되찾으려는 데에 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추석 때 놀았던 민속놀이.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이나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등에 보면 제주 지역에서는 8월 추석 때 지금의 줄다리기와 비슷한 놀이를 즐겼다고 한다. 그 내용을 보면, “제주의 풍속에는 매년 8월 15일에 남녀가 같이 모여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며 즐기고, 남녀가 좌우대(左右隊)로 나누어 큰 줄을 양쪽...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음력 삼월 삼짇날 하던 민속놀이. 화전(花煎)은 밀가루나 찹쌀가루를 반죽하여 전병을 만들고 진달래 꽃잎 따위를 떡 안팎으로 붙여 참기름에 지져 만든 것을 말한다. 봄철 농번기에 들어가기 전에 많은 사람들이 한데 모여 화전을 지져서 먹기도 하고 서로 정담을 나누기도 하고 노래를 부르기도 하는 등 하루를 즐기는 것을 화전놀이라고 한다. 이 화전놀이는...
놀이굿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영등굿 때 행하는 경조(競漕) 놀이. 떼몰이놀이는 영등굿의 맨 마지막 순서인 ‘배방선’ 제차에서 펼쳐지는 경조(경주) 놀이로서 ‘약마희(躍馬戱)’, 또는 ‘테몰이놀이’라고 한다. 배방선은 ‘송신(送神)’의 제차로서, 짚으로 만든 조그만 배(퇴송선)에 제상에 올렸던 갖가지 제물과 돈, 백지를 실어서 동쪽 바다로 띄워 보내는 의식이다. 우도(牛島)를...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전승되는 산신을 위해 벌이는 놀이굿. 산신놀이는 수렵과 목축의 신인 ‘백중와살’이란 산신을 위하여 벌이는 놀이굿이다. 대개 7월 백중(百中)에 행하는 본향굿에서 볼 수 있는데, 포수 두 명이 사냥감을 다투다가 화해하고 사냥감을 나누는 과정을 연출함으로써 사람들에게 삶의 모범을 보여 준다. 제주 지역 사람들은 아득한 옛날부터 한라산과 그...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김녕리에서 두린굿(추는굿)에 연신맞이 등을 혼합하여 만든 굿놀이. 서낭굿놀이는 완결된 형태의 무속 의례인 두린굿이나 선왕풀이 등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굿놀이로 만든 것이다. 전통 연행물의 개발이라는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면도 있지만, 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공연된 이후 연행되지 않아 아쉬움이 남는다. 두린굿, 또는 추는굿은 본래 바닷일을 하다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행해지고 있는 놀이굿. 「세경놀이」는 ‘세경무지침’이라고도 하는데, 농신(農神)인 세경(世經)에게 농사의 풍년을 비는, 일종의 유감 주술극이다. 「세경놀이」는 지역과 심방에 따라 내용이 일정하지 않으나, 조 농사의 경작에서 수확에 이르는 전 과정을 놀이로 재현하고 있다. 제상 차림이 없이 큰굿 때 제일 먼저 실연되는 놀이굿으...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전승되는 「삼공본풀이」를 굿본으로 하여 만들어진 놀이굿. ‘전상’이란 전생인연(前生因緣)을 뜻하는 제주 방언으로, 전생의 팔자 또는 업보를 의미한다. 「전상놀이」는 가난이란 나쁜 전상을 집 밖으로 내쫓고 부(富)라는 좋은 전상을 집 안으로 불러들이는 유감 주술극으로서, ‘삼공’ 신을 맞는다고 해서 ‘삼공맞이’라고도 부른다. 놀이를 시작하기 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