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10597
한자 光令里-群
영어음역 Gwangnyeong Jiseongmyogun
영어의미역 Dolmens in Gwangnyeong
이칭/별칭 광령리 지석묘군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고분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 1835
시대 선사/청동기,선사/철기
집필자 김경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71년 8월 26일연표보기 - 광령지석묘 1호~6호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2-16호~제2-21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04년 9월 9일연표보기 - 광령지석묘7호~10호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2-33호~제2-36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광령지석묘 1호~10호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재지정
성격 고분
양식 고인돌
건립시기/연도 탐라 성립기~탐라시대 전기
소재지 주소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 1835 지도보기
문화재 지정번호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에 있는 탐라 성립기에서 탐라시대 전기에 이르는 고인돌군.

[위치]

유적은 제주시의 서북부 지역에 위치한다. 유적은 대체로 광령천 서쪽의 평탄한 대지상에 자리한다.

[발굴조사경위 및 결과]

1986년 제주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실시된 지표 조사에서 고인돌 16기가 확인되었다. 최근에 새로 발견된 고인돌을 포함하여 모두 17기 정도가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인접한 외도동 일대에도 약 7기 가량이 분포되어 있다. 광령리외도동 일대에 분포하는 고인돌의 수는 현재보다 훨씬 많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유적에 대한 발굴 조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다만, 1985년 인접한 외도동 고인돌에 대한 발굴 조사가 이루어진 상태이다.

[형태]

광령리 일대에 분포하고 있는 고인돌은 전형적인 제주도식 고인돌이며 현무암을 활용하여 제작하였다. 고인돌의 형태는 무지석식(개석식)을 포함하여 아치형과 석실형태의 위석식 고인돌 등이 확인된다. 이 밖에도 최근에 새로 발견된 고인돌의 경우에는 상석 하부에 석관을 배치한 형태도 확인되었다.

[출토유물]

유물은 고인돌 주변에서 적갈색 경질 토기편과 고석·연석·지석·방추차 등이 다량으로 출토되었다. 고인돌의 대부분이 지상식으로 축조되어 상석 하부의 매장 주체부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부장 유물의 상당량이 훼손된 것으로 판단된다.

[현황]

최근에 3~4기 가량의 고인돌이 원상에서 이탈하여 훼손된 상태이다. 광령지석묘 1호~6호가 1971년 8월 26일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2-16호~제2-21호로, 광령지석묘7호~10호가 2004년 9월 9일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2-33호~제2-36호로 각각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로 재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광령리 고인돌군은 외도동 유적과 동일한 시기의 무덤 유적으로 이해된다. 최근에 발굴 조사된 외도동 유적을 통해 광령리 일대에 대규모 취락이 존재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외도동을 포함한 광령리 일대에 분포하고 있는 고인돌군은 이 일대에 축조된 대규모 취락을 조성했던 당시 주민 집단의 무덤 유적으로 판단된다. 광령리 고인돌군은 탐라 성립기에서 탐라시대 전기에 이르는 취락의 형태와 무덤 양상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배** 상세정보에 있는 건립시기/연도 부분에서 탐라 성립기~탐라시대 전기 라고 표현되어 있지만 시대 부분에는 청동기, 철기라고 표현되어 있습니다. 제주도의 편년에 경우, 육지와 다른 것을 알고 있지만 정확하게 숫자로 표현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고인돌의 한자명은 支石墓 입니다. 수정해주세요.
  • 답변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기하신 의견에 관해 확인 가능한 자료를 보내주시면 검토후 반영하겠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20.07.12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