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306124 |
---|---|
한자 | 注文津燈臺地區- |
영어공식명칭 | Jumunjin Lighthouse District Saetteul Village |
분야 |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
유형 | 제도/법령과 제도 |
지역 |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읍 주문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심재홍 |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읍 주문리에 있는 도시 취약 지역 생활 여건 개조 사업에 선정된 마을.
도시 취약 지역 생활 여건 개조 사업은 성장 혜택으로부터 소외되어 낙후된 지역이 여전히 존재하며, 따라서 전국 어디에 살든지 기본적인 삶의 질 충족을 위해서는 이들 소외 지역에 대한 우선적 배려가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사업을 추진한다. 지역 발전 위원회가 취약 지역 주민의 기본적인 생활 수준[national minimum] 보장을 위해 안전·위생 등 긴요한 생활 인프라 확충 및 주거 환경 개선, 주민 역량 강화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강릉시에서는 지역 발전 위원회와 농림축산식품부·국토교통부가 공모한 2015년도 도시 취약 지역 생활 여건 개조 사업[새뜰마을 조성 사업]에 주문진 등대마을[주문 1리, 주문 5리, 주문 7리] 지구가 최종 선정되어 78억 원의 사업비를 확보함에 따라 2018년까지 4년간 도시 재생 사업을 추진하게 되었다.
새뜰마을 사업은 주민 안전에 직간접 위협을 초래하는 재해[산사태, 상습 침수, 화재 등] 예방, 노후 위험 시설[축대, 담장, 건물] 보수, CC TV 설치 등 안전 확보 사업, 상하수도 설치·개량 지원, 재래식 화장실 개선 및 공동 화장실 확충, 다목적 커뮤니티 공간 지원 및 리모델링 등 생활·위생 인프라 사업, 기초 생활 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주거 여건 개선, 노후 불량 주택의 안전 문제 개선 지원의 주택 정비 사업, 육아·보육, 청소년 상담, 소외 계층 취업, 노인 돌봄, 건강 관리, 새뜰마을 사업 홍보 등 휴먼 케어(Human care) 사업 지원, 주민 공동체 활성화, 주민 참여, 사업 이후 자활 등을 위한 주민 역량 강화 지 원사업으로 이루어진다.
주문진 등대마을은 6·25 전쟁 당시 피란민들이 거주했던 곳으로 아픈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낙후된 기반 시설 및 화재, 위생, 안전 등 위험에 노출되어 있던 주문진 등대마을에 새뜰마을 조성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2015년 3월 도시 취약 지역 생활 여건 개조 사업 공모에 선정되어 2018년까지 총 21개 세부 사업에 70억 원을 투자하는 주문진 등대지구 새뜰마을 조성 사업은 2016년 10월에 착수한 도시 계획 도로[소3-33호선] 개설 공사가 2017년 6월 준공하였고, 또한 주민들의 생활 안전 및 지역 경관의 향상을 위해 추락 위험 지구 펜스 설치를 2017년 3월 완료하였고, 새뜰마을 구역 내 주택 가구마다 주문진읍 사회단체 협의회[번영회 및 23개 단체]에서 자원봉사 단체의 도움을 받아 화재 감지기 설치 및 분말 소화기 배부도 완료하였다.
마을 공동체 지원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중심 거점 공간도 '등대꼬뎅이'라는 이름으로 2017년 4월 초 공사를 착수해 8월에 준공하였다. 그리고 생선 반건조 등 수익 사업을 통해 주민 일자리를 창출하고, 주민 역량 강화, 공동체 활성화 프로그램[건강 교실, 치매 예방, 한글 교실, 화재 예방 교육 등]을 통하여 주민 참여 및 공동체 지속적인 유지 관리에 크게 도움을 주고 있다. 주택 정비 지원 사업 중 우선 취약 계층을 대상으로 한 슬레이트 지붕 개량 사업 대상자를 2017년 3월 선정, 철거 사업과 지붕 개량 사업을 추진하였다. 이밖에도 공동 화장실 및 오수관 정비, 마을 단위 화재 대응 사업, CC TV, 보안등 정비, 급경사로 정비, 마을 진입로 정비, 잔여 부지를 활용한 텃밭 등 국토부에서 승인한 마스터플랜에 의거 연차별 사업을 공정별로 추진하고 있다. 마을 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주민 협의체 운영 위원회를 월 1회 개최하여 사업 추진 상황 점검, 문제점 및 의견을 수렴하여 반영하므로써 주민이 새뜰마을 사업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강릉시의 낙후 지역 주민을 위한 기초 욕구의 충족은 물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사업 진행으로 지역 내 분배 효과 및 낙후 지역 쾌적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