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땅을 다스리는 신령을 모시는 굿. 지금 굿청에서 굿을 하니까 지신은 노하지 말고, 모든 사람들의 살을 막아 달라는 뜻에서 한다. 지신은 ‘터주'라고 하는데, 집터와 마을 또는 나...福)을 주는 신이다. 지신굿 장단은 청보 1장~6장까지이다. 지신굿 은 ‘오방토주지신(五方土主地神)굿'이라고도 한다. 지신굿 은 토주지신을 청해 부른 연후...
-
음력 정월 대보름 부터 3~4일간 행해지는 농악대의 민속놀이. 음력 정초에 지신을 진압함으로써 악귀와 잡신을 물리치고 마을의 안강과 풍작 및 가정의 다복을 축원하는 신앙적 의... 사설을 상쇠가 말하고 그에 맞는 가락을 울린다. 그리고 15일 밤부터 집집마다 들려서 지신을 밟아준다. 굿패들이 서낭기를 들고 풍물을 치고 지신밟기 를 원하는 집으로 간다. ...
-
... 고삼, 자삼 장단 등이 있다. 1. 청보장단 부정굿 , 청좌굿 , 하회굿, 축원굿, 조상굿 , 산신굿 , 칠성굿 , 성주굿 , 원님굿, 지신굿 , 군웅굿 , 장군굿 등 가장 다양한 굿에서 사용되는 장단이다. 청보장단은 초장에서 5장까지 구성되는데 차츰 빨라진다. 청보장단의 선율 구조는 ‘라솔미레도라미'인데 이...
-
강원도 강릉 지역에서 집터를 지켜주는 가신(家神). 터주신은 지신, 토지신, 터주대감 등으로 불리며, 한 가정의 땅을 관장하는 신이다. 터주신에게는 명절 때나 안택 등을 할 때 따로 상을 차려 위한다. 함부로 땅을 파헤치거나 하면 “동티가 난다.”고 하는데 이는 동토(動土)로서 터주가 노하는 것으로 믿는다. 강릉시 홍제동 ...
-
... 불린다. 마을의 수호신으로 모셔지는 동신(洞神)을 계통상으로 분류하면 천신(天神), 지신(地神), 수신(水神), 사귀(邪鬼), 인신(人神) 등의 계통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우는 3위의 서낭신을 모시는가 하면 1위의 신 즉, 성황지신, 토지지신, 해랑지신, 동해지신 등의 1위만 모시고 치제하는 양상도 있다. 한편으로는 3위의 신위에 영산지신, 목신지신...
-
...을 짓지 않고 둥글게 돌담을 쌓은 형태가 일반적이다. 고청제 를 지내는 당주변에는 대개 큰 나무가 있다. 고청제 는 자정에서 새벽 1시 사이에 모신다. 성황지신, 토지지신, 여역지신 신위를 차례로 모신 뒤 제물을 진설한다. 제물은 조육, 생물, 삼탕, 삼실과, 포, 메, 편 등이다. 제사는 전형적인 유교식으로 홀기에 따라 진행한다. 초헌, 아헌,...
-
... 『논어(論語)』 에 부엌을 아름답게 장식한다는 말이 있듯이 부엌은 음식을 만들고 불을 사용하는 중요한 곳이므로 신격을 설정했을 것으로 보인다. 조왕신은 안택고사를 지낼 때 지신, 성주신과 함께 모시게 되는데 제를 지내는 방법은 부엌에서 솥뚜껑을 뒤집어 놓고 그 위에 음식을 차려 놓는다. 제물은 팥시루떡, 메 한 그릇, 정화수, 어물, 무채를 쓰며 젓가...
-
...등 도처에서 민속 행사가 진행된다. 망월제 는 달맞이로 유명한 강릉 지역에서 전래하는 대보름 행사를 시민 축제화한 것으로 달맞이 제사를 비롯하여 농악대의 지신밟기 , 어부식, 달집태우기, 망우리돌리기, 달집에 소원 글씨 붙이기, 용물달기 , 연날리기, 윷놀이, 「강릉 관노 가면극」 공연 등 다양한 행사가 진행된다. 정월 대...
-
강릉단오제 에서 성황신을 제단으로 모셔갈 때 지내는 의례. 강릉단오제 때 홍제동 에 있는 여국사 서낭당에 모신 대관령국사서낭신위와 대관령국사여서낭신위를 강릉단오제 가 열리는 제단으로 모셔가기 전에 여국사 서낭당에서 지내는 제례이다. 강릉 단오제 보존회 및 무격(기능 보유자 및 기능 이수자)이 주관하는 행사로 음력...
-
...에 따르면 부정굿 노래 , 축원굿 노래 , 조상굿 노래 , 당고마기 노래 , 성주굿 노래 , 군웅 장수굿 노래 , 심청굿 노래 , 칠성굿 노래 , 지신굿 노래 , 손님굿 노래 , 제면굿 노래 , 꽃굿 노래 , 등굿 노래 등이 있다. 채록본에는 세존굿 , 성주굿 , 심청굿 , 손님굿 등 서사 무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