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천안 지역에서 쓰이는 음성과 문자로 표현되는 소통 수단. 일정한 공간적 지역에 사는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체계화된 언어를 지역 방언이라고 할 때, 지리적으로 ‘천안’이라는 공간에서 소통의 매체로 사용하는 언어를 ‘천안 방언’이라 부를 수 있다. 이는 천안 지역의 독립된 언어 체계를 의미한다. 여기에는 천안 지역 사람들의 삶과 전통과 문화가 함께 녹아들어...
충청남도 천안 지역에서 행해지는 어떤 사물에 빗대어 묻고 그것을 알아맞히는 말놀이. 수수께끼는 질문자가 어떤 사물과 현상을 비유적으로 표현하여 물으면 상대방이 그 답을 알아맞히는 언어유희이다. 정답에는 사람들이 당연하게 알고 있는 객관적 사실이 아니라, 은유적 표현이 내재된 일종의 반전이 들어 있다. 주로 내용의 흥미성이나 오락 효과를 주어서 재미와 쾌감을 느끼도록 하는...
충청남도 천안 지역에서 예로부터 민간에 전해 내려오는 교훈, 풍자, 비판 등을 나타내는 짧은 말. 속담은 간결한 관용어로서 일상적인 대화에 많이 사용된다. 대중들 사이에 원만하고 유쾌한 대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윤활유 같은 역할을 한다. 즉, 속담은 추상적인 것을 구체적인 것으로, 고도의 논리를 평이하게 드러냄으로써 쾌감을 얻는 동시에 적절한 표현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충청남도 천안 지역에서 좋은 조짐에 대한 행위나 현상으로 나타나 전해 내려오는 말. 일반적으로 길조어(吉兆語)는 오랜 세월을 두고 구비 전승되는 특징을 갖는다. 생활 습관이나 민간 신앙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어떤 행동이나 행위, 또는 현상이 좋은 조짐으로 나타난다고 본다. 이는 “아이가 물건을 머리에 이고 다니면 동생을 본다.”와 같은 행위나, “까치가 울면 반가운...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어떤 행위를 금하거나 대상을 기피하는 기능을 하는 말. 어떤 행동이 마음에 꺼려서 하지 않거나 피하는 것이 금기(禁忌)이다. 즉 어떤 행위를 피하거나 대상에 대한 접근을 꺼리는 것이다. 이 금기하는 내용이 문장으로 표현되어 구전되어 온 말을 금기어라고 한다. “상여가 나갈 때 상여를 똑바로 쳐다보지 마라.”와 같은 ‘~하지 마라.’ 유형과 “손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