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활동하는 석가모니를 교조로 하는 종교. 불교라는 말은 석가모니인 부처가 설한 교법이라는 뜻과 부처가 되기 위한 교법이라는 뜻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스도교·이슬람교와 더불어 세계 3대 종교의 하나인 불교는 석가 생전에 이미 교단(敎團)이 조직되어 포교가 시작되었으나 교세가 본격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한 것은 그가 죽은 이후이다. 기원 전후로 인도와 스리랑카 등지로...
-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부처를 숭상하고 불법을 익히는 장소. 안동 지역에 불교가 처음 들어온 시기는 삼국시대인 5~6세기경이다. 안동 지역의 불교는 삼국시대에 정립된 뒤 통일신라 이후 7~9세기까지 의상이 도입한 화엄종의 개척지로서의 불교, 통일신라가 멸망하고 고려가 건국하기까지의 시기인 9~10세기에는 미륵신앙 불교, 고려 중·후반기에는 귀족 불교에 대한 변방의 토착 불교, 조선...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6구 본사 고운사의 말사. 개목사란 이름에 관련하여 두 가지 이야기가 전해 오는데 『영가지(永嘉誌)』에 의하면 원래는 절 이름을 흥국사(興國寺)라 하였다 한다. 당시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 앞을 보지 못하는 소경들이 많았는데 절 건립 후 비보사찰을 삼은 후에 소경들이 없어졌다 하여 개목사(開目寺)로 이름을 바꾸었다고 한다. 또...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에 있는 대한불교 본원종 제17교구 본사. 개온사가 처음 창건될 당시의 이름은 성덕사였으나, 1995년 본원종에 등록하면서 같은 이름의 사찰이 경상북도 안동에 있어 개온사로 개칭하게 되었다. 개온사는 1987년 법정(法頂, 1932~ )이 창건하였다. 그동안 여러 곳에 사찰을 건립해 온 법정은 경상북도 안동에도 사찰을 건립하고자 하였다. 법정이 이곳에 와서 보...
-
경상북도 안동시 성곡동에 있는 사찰. 관음사는 1976년 김자성이 건립하였다. 1970년대 초 보살 김자성이 23세의 젊은 나이로 남편과 사별한 뒤 안동 시내의 가정집에 법당을 꾸미고 부처를 봉안하였는데, 신도가 늘어 주택이 협소하게 되자 사찰 부지를 물색하기 시작하였다. 사찰 부지로 정해진 곳이 곧 안동댐 건설 부지로 지정됨에 따라 관음사는 현재 위치인 안동민속박물관 뒤쪽의 산골...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산야리에 있는 대한불교 정토종 소속 사찰. 광석사 대웅전 불단에 봉안된 일광보살(日光菩薩)과 월광보살(月光菩薩)은 현실적인 고통을 덜어 주고 안락하게 해 주는 성격의 보살로 단독으로는 거의 조성되지 않고 동방 유리광세계의 교주로 유리광왕 또는 대의왕불로 불리는 약사여래의 협시불로 조성된다. 두 보살의 일반적인 형상을 살펴보면, 일광보살은 일상이 표시된 보관을...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자품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 고운사의 말사. 광흥사 창건자인 의상(義湘, 625~702)은 통일신라시대의 승려로, 속성은 김(金)이다. 신라 십성의 한 사람으로 당나라에 건너가 화엄을 공부하였다. 이후 귀국하여 부석사(浮石寺)를 세우고 화엄종을 강론하여 우리나라 화엄종의 창시자가 되었다. 전국 열 군데에 화엄종 사찰을 세웠으며, 저서로 『화...
-
경상북도 안동시 목성동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 사찰. 대원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6교구의 사찰로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불교 전파에 큰 힘을 쓰고 있는 사찰이다. 해방 후에 모든 것을 원만하게 하라는 뜻에서 대원사(大圓寺)라는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 대원사는 1923년 창건되었다. 당시 경상북도 안동시 당북동에 법룡사가 있었으나, 법룡사에는 소위 상류층의 신도들이 많아 서민...
-
경상북도 안동시 남후면 검암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 고운사의 말사. 모운사(暮雲寺)라는 절 이름은 신라 8산(八山)의 하나인 모운산(暮雲山)에서 유래하였다. 모운사를 건립한 의상(義湘, 625~702)은 통일신라시대의 승려로, 속성은 김(金)이다. 신라 십성의 한 사람으로 당나라에 건너가 화엄을 공부하였다. 이후 귀국하여 부석사(浮石寺)를 세우고 화엄종을 강론하여...
-
경상북도 안동시 상아동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 사찰. 1975년 경상북도 안동의 보살 박시춘이 사재를 들여 극락전 1동, 산신각 1동, 요사 1동 규모의 문수사를 건립하였다. 1978년 현재의 주지인 효성과 신도들이 사찰을 구입하고 재단법인 대각회에 등록하였다. 1985년 대웅전과 신도회관, 요사 1동을 건립하였다. 문수사는 여느 사찰들과 다름없이 법공양을 주요 활동으로 하고...
-
경상북도 안동시 당북동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 고운사의 말사. 법룡사는 언제 창건되었는지 알 수 없을 만큼 유서 깊은 사찰로 과거에 비해 많이 쇠퇴하긴 하였지만, 대신에 불교의 교리를 몸소 실천하는 사찰이다. 법룡사는 연대가 오래된 사찰로 누가 언제 건립하였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영가지(永嘉誌)』의 기록을 보면 고려 후기 이전부터 있었던 사찰로 추정되며, 규모...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2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 고운사의 말사. 보광사는 최초 건립될 당시 안동시 예안면 동부리의 수몰 지역에 있었다. 1962년경 당시 지역 주민들의 공동 발의로 건립이 추진되었고, 주민 서영균이 밭 1322.32㎡를 기증하여 부지가 조성되었다고 한다. 1977년 이건할 당시 같은 지역인 도산면 동부리로 선정하였으나 주민들의 반대로 현재의...
-
경상북도 안동시 남후면 광음리에 있는 대승불교 본원종 소속 사찰. 보현사는 서안 민병홍 거사의 어머니인 권도심화 보살의 발원으로 서안거사가 1979년 안절골의 991.74㎡ 부지 위에 건립하였다. 전하는 말에 따르면 서안거사가 중형의 요양 수행을 위해 1979년 99.17㎡ 규모의 요사를 건립하였고, 1년 후에 대웅전을 건립하였으며, 1994년에 삼성각을 조성하였다고 한다. 보현사...
-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 옹천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 고운사의 말사. 봉서사의 정확한 창건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신라시대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영주 부석사를 창건한 의상(義湘, 625~702)이 종이로 봉황을 만들어 도력(道力)으로 날렸는데, ‘봉황이 이곳에 내려 앉아 알을 품었다’ 하여 봉서사(鳳棲寺)라 이름 지었다는 전설이 전한다. 보광전(普光殿)은 186...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 고운사의 말사. 봉정사를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는 의상(義湘, 625~702)은 통일신라시대의 승려로, 속성은 김(金)이다. 신라 십성의 한 사람으로 당나라에 건너가 화엄을 공부하였다. 이후 귀국하여 부석사(浮石寺)를 세우고 화엄종을 강론하여 우리나라 화엄종의 창시자가 되었다. 전국 열 군데에 화엄종 사찰을 세웠으며...
-
경상북도 안동시 태화동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 사찰. 창건 당시 절 이름을 운대사(雲臺寺)라 하였는데, 후에 안동부 사악(四嶽)의 하나인 서악(西嶽)에 위치한다 하여 서악사(西岳寺)로 개칭하였다. 서악사를 창건한 도선(道詵, 827~898)은 통일신라의 승려로, 풍수지리설의 대가였다. 혜철대사에게 무설설(無說說)·무법법(無法法)을 배워 크게 깨달았으며, 참선 삼매의 불도를 닦...
-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 사찰. 석수암을 창건한 도선(道詵, 827~898)은 통일신라의 승려로, 풍수지리설의 대가였다. 혜철대사에게 무설설(無說說)·무법법(無法法)을 배워 크게 깨달았으며, 참선 삼매의 불도를 닦았다. 도선의 음양지리설과 풍수상지법(風水相地法)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석수암은 통일신라 후기 도선이 창건하였다고 전한다...
-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 석탑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 고운사의 말사. 석탑사에 전하는 「학가산신흥암기(鶴駕山新興庵)」라는 현판을 통하여 예전에는 절 이름이 신흥암(新興庵)이었음을 알 수 있다. 석탑사라는 이름은 절 입구에 세워진 특이한 모양의 안동 석탑리 방단형 적석탑(安東石塔里方壇形積石塔)으로 인해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안동 석탑리 방단형 적석탑을 보면 석탑사가...
-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천지리에 있는 신라시대 사찰. 선찰사는 신라시대에 건립된 유서 깊은 사찰로 경상북도 안동과 포항을 잇는 국도 35호선과 청송과 의성을 잇는 지방도 914호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있는 사찰이다. 선찰사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신선이 노닐 만한 아름다운 풍경을 가진 절로 유명했는데, 안동댐이 건설되기 이전에는 도연삼절(陶淵三絶)이라 하는 격진령(隔塵領)·도연폭...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자품리에 있는 사찰. 애련사(愛蓮寺)는 누가 언제 창건하였는지 정확히 알 수 없으며, 소속 종단이 따로 없다. 다만, 1799년 발간된 『범우고(梵宇攷)』에 예련사(刈蓮寺)라고 기록되어 있고, 『안동향토지(安東鄕土誌)』에는 “『영가지(永嘉誌)』의 기록을 살펴보면 애련사(艾蓮寺)라 했고, 신라의 옛 절이라고 전하나 확실하지 않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애련암(...
-
경상북도 안동시 이천동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 고운사의 말사. 연미사라는 이름은 원래 조선시대 때 여행객이 쉬어가는 숙소인 연비원(燕飛院), 속칭 제비원에서 유래했는데, 당시 연미사 석불을 제비 모양의 누(樓)가 덮고 있었으며, 법당이 제비의 부리에 해당한다 하여 연미사라 이름 지었다고 전한다. 또한 연미사 석불은 “성주 본향이 어디메냐. 경상도 안동 땅 제비원이...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 고운사의 말사. 연화사는 1981년 안동 하회마을 주민들의 지원에 힘입어 건립되었다. 특히 충효당(忠孝堂) 종부와 윤순계의 힘이 컸다고 한다. 윤순계는 오대산의 월정사(月精寺)와 경상북도 봉화의 각화사(覺華寺) 등지에서 생활하다가 1950년대 말 경상북도 안동 지역으로 옮겨와 암자를 짓고 생활하였다고 한다. 이때...
-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 석탑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 사찰. 영봉사는 민간신앙적인 요소가 많이 남아 있는 사찰로, 현재 영봉사의 신도가 많이 줄면서 사세가 쇠퇴하고 있는데 절에서 전하기로는 그 이유가 산세와 관련이 있다고 한다. 영봉사가 자리한 곳은 봉황이 새끼를 낳기 위해 엎드린 형국이라고 한다. 봉황은 새끼를 낳고 기르는 동안 몸이 야위어 가기 때문에 절이 피폐해져 가고...
-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 장기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 고운사의 말사. 옥산사는 아주 오래된 사찰로 산속 깊은 곳에 위치하여 잘 찾기 힘든 고찰이다. 규모가 크지 않고 신도 수도 그리 많지 않은 사찰이지만, 수려한 경관을 바탕으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81호로 지정된 옥산사 마애약사여래좌상과 더불어 불법을 전하고 있다. 옥산사는 언제 누가 창건하였는지 알려지지 않았...
-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금곡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 고운사의 말사. 용담사는 신라시대 창건 이후 크게 번성하였으나 임진왜란과 화재 등으로 인해 많은 문화재가 소실되기도 하였다. 절이 번창할 당시에는 많은 승려들이 수도를 하여 쌀 씻는 물이 멀리 7㎞ 떨어진 묵계까지 이어질 정도였다고 한다. 그만큼 용담사에는 수도승과 불자들이 많았으며 부속 암자도 3개나 갖추고 있...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운곡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5교구 본사 통도사의 말사. 용수사는 1181년(명종 11) 최선이 건립하였다. 개창기에 따르면 용수사 개창 이전 이미 안동시 도산면 운곡리에 사찰이 있었다고 하는데, 수차례 화재로 옛 터만 남게 되었다. 경상북도 봉화의 각화사(覺華寺) 주지인 성원이 1146년(의종 원년)에 용수사 옛 터의 남쪽에 암자 몇 칸을 지은 뒤 입...
-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고천리에 있는 한국불교 태고종 소속 사찰. 월봉사는 1900년 조계종의 어느 비구니에 의해 개창되었다. 월봉사의 창건에 대해서는 기록으로 남아 있는 것이 없고, 또 상좌가 없어 구전되는 이야기도 거의 없지만, 사찰의 창건과 관련한 이야기가 주민들에 의해 구전되어 오고 있다. 월봉사의 창건자인 비구니는 조계종에 있으면서 소백산에서 입산수도를 하다가 백일기도 중...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가구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 고운사의 말사. 유하사는 창건 당시 풍수와 관련한 기이한 이력을 지니고 있다. 승천하지 못한 와룡(臥龍)의 승천을 돕기 위하여 유하사가 창건되었으며, 절 이름 역시 용이 활동하기 좋아하는 여름 ‘하(夏)’가 들어가는 편액을 걸었다는 것이다. 유하사의 변천은 크게 3단계로 나누어진다. 첫째는 1897년 8월 월선보...
-
경상북도 안동시 녹전면 녹래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 고운사의 말사. 일출사는 신라 법흥왕(法興王, ?~540) 때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창건한 암자로 전해지나 기록이 없어 확인은 어렵다. 의상대사가 일출사를 창건할 때에는 5명의 승려들이 있었다고 하나, 이후 점차 불사가 늘어 사세가 커지면서 승려도 100여 명이 되는 거대 도량이 되었다고 한다. 승려가 많이 모이...
-
경상북도 안동시 성곡동에 있는 대한불교 미타종 소속 사찰. 평화사는 1987년 주지 최사불에 의해 창건되었다. 최사불은 26세에 병이 나서 3년 동안 병마와 싸우던 중 청량산 장군봉에 올라가 백일기도를 올리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던 어느 날 기도 중, 신령이 나타나 어느 곳에 가면 흑장미가 있을 테니 그 꽃을 먹으라는 계시를 내렸다. 최사불이 즉시 그곳에 가 보니 흑장미가 만발해...
-
경상북도 안동시 신세동에 있는 대한불교 천태종 소속 사찰. 구인사 창건 이후 대조사의 가르침을 따르던 강정원, 류우희 등 30여 명이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 포교연락소를 조직하였으며, 초대 포교연락소장으로 강정원이 임명되었다. 그 후 1969년 초대 신도회장으로 강정원이 임명되고, 1980년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에 495.87㎡ 규모의 신도회관을 마련하였다. 그해 8월 16일 승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