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302151
한자 廢校
영어공식명칭 Abolition of a School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강원도 영월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윤

[정의]

강원도 영월군의 운영을 폐지한 교육기관.

[개설]

강원도 영월군에는 영월 지역 인구 감소에 따른 학생 수 감소로 인하여 폐교된 학교가 많다. 영월군의 폐교는 초등학교와 분교장이 대다수이다. 2022년 3월 현재 폐교된 초등학교와 분교장, 분교는 약 50여 개소이고 폐교된 중학교는 1개 중학교와 1개 중학교 분교가 있으며, 고등학교는 폐교된 학교가 없다.

영월군의 인구변화를 살펴보면 1960년 영월군 인구는 10만 7254명이었으며 1970년에는 15.3% 증가한 12만 3668명이었다. 그러나 1980년에는 11%가 감소한[1960년 대비] 9만 5506명이었고, 1990년에는 39.8%가 감소한[1960년 대비] 6만 4588명, 2000년에는 54.8%가 감소한[1960년 대비] 4만 8481명이었다. 이와 같은 급격한 인구 감소는 영월군 내에 산재하여 있던 각종 광산이 폐광되면서 광산촌이 급격하게 쇠퇴한 것이 주요 원인이다.

인구변화의 추이에 따라 영월군에서는 196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각급 학교가 활발하게 설립되었으나 1980년대부터는 점차 폐교되는 학교가 늘어났다. 1985년부터 2022년까지 50여 개가 넘는 학교가 폐교되었다. 폐교된 학교 건물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는데, 특히 폐교 건물에 다양한 박물관이 들어서면서 영월군이 ‘박물관 고을 영월’로 자리 잡는 계기가 되었다.

[폐교 현황]

영월군의 폐교된 학교는 대부분 초등학교[분교와 분교장 포함]이며, 폐교 사유는 주로 학생 수 감소에 따른 통폐합이다. 폐교된 학교들은 대부분 영월 관내 초등학교와 통폐합하였지만 2000년 폐교된 무릉초등학교 두산분교장, 무릉초등학교 운학분교장, 무릉초등학교 운일분교장은 강원도 원주시 신림면 황둔리에 있는 황둔초등학교와 통폐합하였다.

폐교 현황을 연대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980년대에는 1985년 마차초등학교 율치분교장과 마차초등학교 송치분교장이 폐교된 것을 시작으로 1987년 덕전초등학교와 도천초등학교 엄둔분교장이 폐교되었다.

1990년대에는 1991년 봉암초등학교와 내덕초등학교 삼덕분교장이 폐교된 것을 시작으로 1993년 구래초등학교 백운분교장, 옥동초등학교 대야분교장과 각동분교장, 1994년 무릉초등학교 법흥분교장, 창원초등학교, 쌍룡초등학교 후탄분교장, 연상초등학교 화라분교장, 신천초등학교 광전분교장, 1995년 조전초등학교, 연당초등학교 광천분교장, 봉래초등학교 진별분교장, 옥동초등학교 예밀분교장, 주천초등학교 결운분교장, 1996년 문덕초등학교 덕상분교장, 1997년 영월초등학교 팔괴분교장, 외룡초등학교 와석분교장, 옥동초등학교 주석분교장, 1998년 영월초등학교 흥교분교장, 외룡초등학교, 녹전초등학교 송운분교장, 녹전초등학교 직동분교장, 신천초등학교 여촌분교장, 판운초등학교 중선분교장, 1999년 봉래초등학교 삼옥분교장, 연상초등학교 화원분교장, 문포초등학교, 판운초등학교가 폐교되었다.

2000년대에는 2000년 영월초등학교 흥월분교장, 내덕초등학교, 금룡초등학교, 도천초등학교, 무릉초등학교 두산분교장, 무릉초등학교 운학분교장, 무릉초등학교 운일분교장이 폐교되었다. 2001년에는 주천중학교 금룡분교장이 폐교되었고 2002년에는 옥동초등학교 모운분교장, 2007년에는 녹전초등학교 내리분교장, 연당초등학교 옹정분교장, 금마초등학교가 폐교되었다.

2010년대에는 2011년 옥동초등학교 조제분교장, 문곡초등학교, 마차초등학교 문곡분교장이 폐교되었고, 2014년 봉래초등학교 문산분교장, 2018년 마차초등학교 연덕분교장, 2019년 영월초등학교 연상분교장이 폐교되었다. 2020년대에는 2020년 마차초등학교 공기분교장이 폐교되었고, 2021년 쌍룡초등학교 토교분교장이 폐교되었다. 2022년 3월 1일에는 봉래초등학교 거운분교와 신천중학교가 폐교되었다.

영월군의 폐교 가운데는 일제 강점기에 설립되어 50년 이상의 오랜 역사를 가진 학교들도 포함되어 있다.

1933년 문곡공립보통학교로 설립된 마차초등학교 문곡분교장[2011년 폐교], 1934년 무릉공립보통학교 부설 운학간이학교로 설립된 무릉초등학교 운학분교장[2000년 폐교], 1934년 옥동공립보통학교 부설 조제간이학교로 설립된 옥동초등학교 조제분교장[2011년 폐교], 1934년 토교간이소학교로 설립된 쌍룡초등학교 토교분교장[2021년 폐교], 1936년 주천공립보통학교 판운간이학교로 설립된 판운초등학교[1999년 폐교], 1937년 강림보통학교 법흥간이학교로 설립된 무릉초등학교 법흥분교장[1994년 폐교], 1939년 외룡공립심상소학교로 설립된 외룡초등학교[1998년 폐교], 1939년 연당공립심상소학교 부설 흥월간이학교로 설립된 영월초등학교 흥월분교장[2000년 폐교], 1940년 녹전공립심상소학교 부설 직동간이학교로 설립된 녹전초등학교 직동분교장[1998년 폐교], 1941년 옥동공립국민학교 부설 각동간이학교로 설립된 옥동초등학교 각동분교장[1993년 폐교], 1942년 녹전공립국민학교 부설 내덕간이학교로 설립된 내덕초등학교[2000년 폐교] 등이다.

[폐교 건물 활용 사례]

영월군 내 폐교 건물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2000년대 초반부터 폐교 건물에 곤충·지리·천문·사진·민화 등 독특하고 다양한 박물관이 들어서면서 영월군이 ‘지붕 없는 박물관 도시’로 도약하는 계기가 되었다. 영월곤충박물관[문포초등학교], 인도미술박물관[금마초등학교], 구 영월책박물관[신천초등학교 여촌분교장], 영월미디어기자박물관[신천초등학교 여촌분교장], 영월초등교육박물관[마차초등학교 문곡분교장 본관], 근현대생활사박물관[마차초등학교 문곡분교장 별관], 동강디지털소사이어티[옥동초등학교 주석분교장], 호안다구박물관[녹전초등학교 내리분교장], 영월아프리카미술박물관[봉래초등학교 진별분교장] 등의 사례를 들 수 있다.

폐교 활용 사례는 박물관 외에도 국제현대미술관[영월초등학교 삼옥분교], 쾌연재도자미술관[연당초등학교 옹정분교장], 연리지문화센터[무릉초등학교 운일분교장], 폐교를 활용한 입주 작가 전용 창작 공간인 영월미술인촌[영월초등학교 팔괴분교장과 봉래초등학교 삼옥분교장] 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