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302748 |
---|---|
한자 | 羽溪縣 |
영어음역 | Ugye-hyeon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제도/법령과 제도,지명/고지명 |
지역 | 강원도 강릉시 옥계면 |
집필자 | 최호 |
강원도 강릉시 옥계면 일대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신라는 삼국통일 이후 중국식으로 행정체계를 갖추고 전국을 9주(州)로 정비하였다. 9주는 원 신라 지역에 3개 주, 옛 고구려 지역에 3개 주, 옛 백제 지역에 각각 3개 주씩을 두었다. 그리고 9주의 군현 명칭은 경덕왕 때에 이르러 한화정책(漢化政策)의 일환으로 향음(鄕音) 표기하던 것을 한자식 표기로 개명 표기하게 되었다.
본래는 고구려의 우곡현(羽谷縣)이었다. 9주의 하나인 하서주(河西州)[溟州]에는 9개의 속군(屬郡)과 25개의 속현(屬縣)이 소속되었는데, 757년(신라 경덕왕 16) 삼척군(三陟郡)의 영현(領縣)이 되면서 우계현(羽溪縣)으로 개칭되었다.
우계현은 고려 시대에 들어와서 1018년(현종 9)에 명주의 임내(任內)로 이속(移屬)되었고, 조선시대에는 강릉대도호부에 속하게 되었다.
『삼국사기(三國史記)』 「지리지 삼척군」,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강릉대도호부」 기록에 의하면, “우계현은 호수(戶數) 225호, 인구수 775명이었다. 토성(土姓)으로는 이(李)·변(邊)·심(沈)·노(盧)의 4성이 있었고, 속성(屬姓)으로는 유(劉) 1성이 있었다.”라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