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403
한자 河演
영어공식명칭 Ha Yeon
이칭/별칭 연량(淵亮),경재(敬齋),신희옹(新稀翁),문효(文孝)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박세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376년 8월 10일연표보기 - 하연 출생
활동 시기/일시 1396년 - 하연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419년 - 하연 예조참판 역임
활동 시기/일시 1421년 - 하연 강원도관찰사로 부임
활동 시기/일시 1423년 - 하연 대사헌 역임
활동 시기/일시 1424년 - 하연 경상도관찰사로 부임
활동 시기/일시 1427년 - 하연 평안도관찰사로 부임
활동 시기/일시 1428년 - 하연 천안으로 유배
활동 시기/일시 1429년 - 하연 형조판서 역임
활동 시기/일시 1445년 - 하연 우의정 역임
활동 시기/일시 1450년 - 하연 영의정 역임
몰년 시기/일시 1553년 8월 28일연표보기 - 하연 사망
추모 시기/일시 1718년 - 하연 진주 종천서원(宗川書院)에 제향됨
출생지 진주 여사촌 -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남사리
거주|이주지 한성 - 서울특별시
부임|활동지 경상감영 - 대구광역시 중구 경상감영길 99[포정동 21]지도보기
유배|이배지 천안 - 충청남도 천안시
묘소|단소 하연 묘소 - 경기도 시흥시 신천동 산12
사당|배향지 종천서원 - 경상남도 하동군 옥종면 안계길 67-63[안계리 776]
성격 문관
성별 남성
본관 진주(晉州)
대표 관직 경상도관찰사|영의정

[정의]

조선 전기 경상도관찰사를 역임한 문관.

[가계]

하연(河演)[1376~1453]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연량(淵亮), 호는 경재(敬齋) 또는 신희옹(新稀翁)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진천부원군(晉川府院君) 하즙(河楫)이고, 할아버지는 대사헌을 지낸 하윤원(河允源)이다. 아버지는 좌의정으로 증직된 하자종(河自宗)이고, 어머니는 판서 정우(鄭寓)의 딸 진주정씨(晉州鄭氏)이다. 부인은 개성윤(開城尹) 이존성(李存性)의 딸 성산이씨(星山李氏)이다. 슬하에 3남 2녀를 두었다.

[활동 사항]

하연은 1376년(우왕 2) 진주 여사촌[현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남사리]에서 태어났다. 1396년(태조 5) 문과에 급제하고 봉상시녹사(奉常寺錄事)에 임명되었다. 1419년(세종 1) 예조참판을 역임하였고, 1421년에 강원도관찰사로 부임하였다가 1423년 병조참판으로 조정에 복귀하여 대사헌이 되었다. 1424년에는 형조참판을 거쳐 경상도관찰사로 부임하였다. 경상도관찰사로 재임 중이던 1425년 경상감영 「제명기(題名記)」 서문을 지었고, 왕명으로 『경상도지리지(慶尙道地理志)』를 편찬하였다.

하연은 1427년 평안도관찰사로 평양부윤을 겸하였고, 1428년 천안에 잠시 유배되었다가 1429년 다시 조정의 부름을 받아 형조판서가 되었다. 1429년 예문관대제학을 역임했으며, 1436년부터 형조판서·이조판서·좌참찬·세자좌빈객·우찬성·좌찬성을 거쳐 1445년 우의정에 발탁되고 궤장을 받았다. 1450년(문종 즉위년) 영의정이 되었고, 1453년(단종 1) 8월 28일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하연의 저술로는 1826년(순조 26)에 간행된 문집인 『경재집(敬齋集)』 5권 2책이 있다. 하연은 1425년 왕명으로 『경상도지리지』를 편찬하였고, 『사서오경대전(四書五經大全)』과 『성리대전(性理大全)』을 간행하였다. 1430년에는 왕명으로 허조(許稠)와 함께 『오례의(五禮儀)』를 찬술하였다.

[묘소]

하연의 묘소는 경기도 시흥시 신천동 산12에 있다.

[상훈과 추모]

하연문효(文孝)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1463년(세조 9) 청백리에 녹훈(錄勳)되고 충효문이 세워졌다. 1608년(선조 41)에는 영당(影堂)이 지금의 경상남도 합천군 야로면에 옮겨 세워졌으며, 1718년(숙종 44) 하동 종천서원(宗川書院)에 배향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