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0992
한자 慶尙監營
이칭/별칭 경상도관찰영,영남감영,영영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중구 경상감영길 99[포정동 2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재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601년연표보기 - 경상감영 설립
해체 시기/일시 1895년연표보기 - 경상감영 해체
현 소재지 경상감영 - 대구광역시 중구 경상감영길 99[포정동 21]지도보기
성격 행정조직

[정의]

대구광역시 중구 포정동에 있는 조선시대 경상도 지역 최고 행정 기관.

[개설]

조선 전기 경상도는 행정 군사적 필요에 따라 좌도와 우도로 빈번히 분할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경상감영은 조선 개국 때는 경주에 있었으나 그 후 상주와 경주로 나뉘었다가 합치기를 거듭하다가, 임진왜란 이후인 1601년(선조 34)부터는 경상감영이 대구에 정착하여 1895년(고종 32) 8도가 23부로 개편될 때까지 존속하였다. 1896년에는 도제로 환원되어 경상도가 경상남도와 경상북도로 나누어졌다. 경상감영대구읍성의 동북쪽에 자리 잡고 있어 서북쪽의 대구부 관아와 이웃하고 있었다. 대구부에서 매달 초하루와 보름에 정기적으로 객사의 전패 앞에서 국왕에 대한 예를 갖추는 일과 그 밖에 객사인 달성관(達城館)에서 이루어지는 공식적인 의식은 부사를 겸한 경상감사가 주관하였다.

[설립 목적]

대구에 경상감영을 두게 된 이유는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대구가 전략 요충지로 부각되었으며, 경상도의 한가운데에 있어 물산의 결집과 이동이 쉽고, 조정의 지시를 쉽게 내릴 수 있었으며, 군사나 지방 관리들의 감독 등에 이르기까지 여러모로 편리하였기 때문이다.

[변천]

조선 전기 관찰사[감사]는 임명받은 때부터 1년 동안 관할 지역을 순시하는 방식이었으나, 조선 후기에는 관찰사가 감영에 머무르면서 업무를 수행하는 유영(留營) 체제로 바뀌었다. 이에 따라 경상감영 내에서 다양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감영 내의 건물들도 체계를 갖춰 들어섰다. 또한 정3품의 중군이라는 군사 막료가 신설되고 감영에 배속된 군관과 각종 장교 및 병사가 대폭 증강되었고, 성주의 화원현과 밀양의 풍각현도 편입되었으며, 감영직제의 정비와 감영 시설의 확충과 함께 등 감영의 예산도 늘어났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대구읍지』에는 1599년에 감사 한준겸(韓浚謙)과 체찰사 이덕형(李德馨)이 장계를 올려, “성주와 대구는 경상도의 중앙인데 전쟁의 상처가 아직 아물지 않았고 또한 황폐해져 여전히 막혀 있다”라고 하며 잠시 안동부에 유영(留營)을 두었다는 기록이 있다. 그러나 한준겸이덕형이 장계를 올린 것은 사실이겠지만, 『영가지』와 『안동부읍지』 등에 이와 관련된 언급이 없는 것으로 보아 안동부에 경상감영을 설치한 사실은 없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현황]

지금의 경상감영은 1807년 관찰사 겸 부사(府使)였던 윤광안이 지은 것이다. 경상감영 내에는 선화당, 응향당, 제승당, 응수당, 징청각 등 여러 채의 건물이 있었지만, 현재는 경상도관찰사 집무실인 선화당[1972년 12월 26일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과 징청각[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건물이 남아 있다. 선화당은 조선시대의 관아 건물이 거의 남아 있지 않은 상황에서 귀중한 자료로 평가 받고 있다. 선화당은 정면 6칸, 측면 4칸의 단층 팔작기와집으로 주심포 양식과 익공식의 절충형 공포를 이루고 있다. 경상감영의 누각 관풍루[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는 1906년 달성토성으로 옮겨졌다. 총 29기의 선정비, 영영(嶺營) 측우대, ‘절도사이하개하마비’ 표지석 등이 있다. 대구 경상감영지(大邱慶尙監營址)는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아 2017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2020년 6월에는 경상감영의 정문과 부속건물지 등을 발굴하고 조사하였다. 현재 경상감영 자리는 경상감영공원으로 운영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대구는 경상감영이라는 도정 총괄 기구로 인하여 경상도의 행정,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 성장하여 갔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