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조선지도』 「칠곡지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0837
한자 朝鮮地圖 㓒谷地圖
영어공식명칭 Map of Chilgok in Joseonjido
분야 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류명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08년 12월 22일 - 『조선지도』 보물 제1587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6월 29일 - 『조선지도』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문화재 지정 번호 삭제
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성격 지도
권책 7책
규격 49.8×38.5㎝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

[정의]

조선 후기에 제작된 『조선지도』에 수록된 경상도 칠곡도호부의 지도.

[편찬/간행 경위]

『조선지도(朝鮮地圖)』 「칠곡지도(㓒谷地圖)」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조선지도』[奎 16030] 제7책에 수록되어 있다. 『조선지도』는 제3책 강원도와 제7책 경상도 목차 부분에 비변사 도장이 찍혀 있어, 비변사에서 보관하며 사용하던 지도였음을 알 수 있다. 또 경상도 산음현(山陰縣)과 안음현(安陰縣)이 1767년(영조 43) 개칭된 ‘산청(山淸)’과 ‘안의(安義)’로 표기되어 있고, 충청도 이산현(尼山縣)이 기록되어 있어 1767년부터 1776년 사이에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형태/서지]

『조선지도』 「칠곡지도」 의 크기는 세로 49.8㎝, 가로 38.5㎝이다. 세로 3칸, 가로 5칸의 방안에 그려져 있고, 주기(註記)는 없다.

[구성/내용]

『조선지도』 「칠곡지도」 에서 가산성에 있는 읍치는 적색의 원형으로 표시되어 있다. 방리는 현재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지역인 노곡면·파미면, 칠곡군 가산면 지역인 동북면, 칠곡군 동명면 지역인 북하면[하북면의 오기]·서북면, 칠곡군 지천면 지역인 이언면·상지면·도촌면, 대구광역시 북구에 편입된 옛 경상북도 칠곡군 칠곡읍을 이루던 팔거면·문주면이 기재되어 있는데, 퇴천면은 누락되어 있다.

산세는 ‘∧’ 모양으로 중첩되게 그렸는데, 칠곡도호부의 북쪽과 동쪽을 둘러싸고 있다. 인동·의흥과 경계를 이루는 북쪽에는 소학산·우암산·팔공산, 대구와 경계를 이루는 동쪽에는 도덕산·구산 등이 기록되어 있다. 그 외에 파암, 발암, 거무산, 위령산, 녹봉 등이 표기되어 있다.

하천은 두 줄의 실선을 사용하여 청색으로 채색하였다. 칠곡도호부의 서쪽에는 매원천이 서류하면서 낙동강으로, 중앙에는 팔거천이 남류하면서 금호강으로 각각 유입된다.

도로는 적색으로 그렸는데, 읍치에서 소야현 방향으로 인동, 석모현·고평역 방향으로 대구와 연결된다. 창고는 승창을 비롯하여 팔거창, 북창, 남창, 강창, 고마창 등이 표시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조선지도』는 전국의 군현에 대하여 동일한 4.2㎝ 크기의 20리 방안(方眼)에 통일된 기호를 사용하여 1개의 군현을 1장의 지도에 수록한 지도책이다. 『조선지도』 「칠곡지도」 는 당시 칠곡 지역의 현황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며, 이후 간행된 『청구도(靑邱圖)』·『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등 대축척 조선 전도의 바탕이 된 지도이다. 『조선지도』는 2008년 12월 22일 보물 제1587호로 지정되었다. 그 후 2021년 6월 2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
관련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