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301627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경기도 양주시 백석면 방성리 |
집필자 | 이원영 |
문화재 지정 일시 | 1980년 11월 17일 - 국가 무형 문화재 제70호로 지정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99년 - 『양주의 옛소리』에 수록 |
가창권역 | 양주시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방성리 618-2 |
성격 | 민요|의식요 |
기능 구분 | 의식요 |
가창자/시연자 | 김인기 |
문화재 지정 번호 | 국가무형문화재 |
[정의]
경기도 양주 지역의 소놀이굿에서 논밭을 갈면서 부르는 의식요.
[개설]
「논밭갈기」는 양주소놀이굿의 일부분으로 불리고 있는 가사로서 소와 쟁기를 이용하여 논밭을 갈면서 부르는 소리이다. 「논밭갈기」는 ‘소마모색 타령’과 ‘소 치장치레 대목’이 이어지고 난 후 「글내력」 전에 주로 구송(口誦)된다.
[채록/수집 상황]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양주의 옛소리』의 137쪽에 실려 있다. 「논밭갈기」는 당시 경기도 양주군 백석면 방성리 주민 김인기[남, 86]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구성 및 형식]
「논밭갈기」에서는 논과 밭의 종류가 나오는 사설이 구연되는데, 소에게 논밭갈기를 가르치는 대목에 해당한다.
[내용]
수답을 갈면 일정보/ 편답을 갈면 이정보/ 전을 갈면 삼정보.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수답(水畓)은 ‘무논’으로 다른 말로는 골답[畓]이라고도 한다. 이는 물이 흔하고 기름진 논을 가리키는 단어이다. 정보(町步)는 면적이 한 정(町)으로 끝이 나고 끝수가 없을 때를 일컫는 단위이다.
[현황]
농요 「논밭갈기」는 소와 쟁기를 이용하여 논과 밭을 가는 농부들의 수가 절대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전승자 및 가창 문화가 사라지고 있는 형편이다. 의식요 「논밭갈기」가 구연되는 양주소놀이굿은 현재 양주소놀이굿보존회를 통하여 전수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