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300322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동물/동물
지역 경기도 양주시
집필자 김종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73년 4월 12일연표보기 - 독수리 천연기념물 제243-1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독수리 천연기념물 재지정
지역 출현 장소 불곡산 -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지도보기
지역 출현 장소 불곡산 - 경기도 양주시 산북동
성격 조류
학명 Aegypius monachus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척삭동물문〉조강〉매목〉수리과〉독수리아과〉독수리속〉독수리
서식지 산지|하천 부지나 하구|지중해 서부|아시아 동부
몸길이 102~112㎝
새끼(알) 낳는 시기 2~4월 사이에 1회 1개의 알을 낳음
문화재 지정 번호 천연기념물

[정의]

경기도 양주시를 경유하여 이동하는 매목 수리과의 대형 조류.

[형태]

날개덮깃과 등은 암갈색이며 검은 갈색인 털색은 몸 전체를 덮고 있다. 엷은 하늘색인 납막(臘膜)과 검정색인 날개깃과 꼬리, 검정색인 부리 끝을 가지고 있다. 다리는 회백색이며 부리 기부 및 아랫부리는 연노란색이다. 몸길이는 102~112㎝, 날개 편 길이는 234~274㎝, 꼬리 길이는 29~41.2㎝이며, 몸무게는 6.8~14㎏이다. 날개의 폭이 넓으며 길어 꼬리는 상대적으로 짧아 보인다.

[역사/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월인석보(月印釋譜)』[1459년]에 처음부터 ‘수리’로 표기되어 있으며, ‘독 므수리 독’이라 하는 것은 ‘믈[水]+수리’에서 ㄹ이 탈락한 형태로 『훈몽자회(訓蒙字會)』[1527년]에 나타나 있다.

[생태 및 사육법]

독수리는 겨울을 나기 위해 한국에 찾아오는 철새로, 지중해 서부에서 아시아 동부에 걸쳐 분포한다. 고산 및 초원에서 서식하며 개활지, 교목림, 하천, 하구, 초습지 등에서 겨울을 난다. 알은 백색 바탕에 암갈색과 회색의 반점이 있다. 용맹스럽고 잔인한 것 같은 인상과는 달리 활공에만 적합한 날개로 인해 먹이 사냥 능력이 떨어져 주로 짐승의 시체나 병들어 죽어가는 짐승 등을 먹이로 한다. 이러한 섭식 형태로 인해 지상의 청소부로 불리기도 한다.

독수리는 우리나라에 찾아오는 수리 중 가장 큰 편에 해당되는데, 나이를 먹으면서 머리 위의 검은 깃털은 줄어들고, 어른 새가 되면 아주 짧은 솜털 같은 깃털로 바뀐다. 작은 무리를 이루어 사는데, 먹이가 있는 곳에는 다수가 몰려들기도 한다. 몸동작이 둔하고 움직임이 느리기 때문에 보기와는 달리 까마귀나 까치 등에게 쫓기기도 한다.

[현황]

1990년대 독수리는 멸종 위기를 맞기도 했지만, 1973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면서, 몇 년 사이에 수백 마리로 개체수가 늘어났다. 2000년 12월 국립환경연구원은 한국자연정보연구원과 공동으로 민간인 출입 통제선과 비무장 지대[DMZ] 일대를 중심으로 도래 규모와 도래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837마리가 우리나라에 월동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두지리 일대와 문산·양주 지역에 독수리가 날아온다. 이 독수리들은 몽골에서 번식기를 마친 후 이곳을 찾아와 겨울을 보낸다.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산북동에 걸쳐 있는 불곡산에서 날아가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국립수목원 내에 있는 산림동물원에서는 사육되거나 방사된 형태로 보호되고 있다. 1973년 4월 12일 천연기념물 제243-1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천연기념물로 재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