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000580 |
---|---|
한자 | 竹節里內周瓦窯址- |
영어공식명칭 | Naeju Roof Tile Kiln Site in Jukjeol-ri |
이칭/별칭 | 와요지 |
분야 | 문화유산/유형 유산,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유적/터 |
지역 |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죽절리 43 일대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유영춘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2006년 - 죽절리 내주 기와가마터 『문화유적분포지도』 작성을 위한 지표조사 |
---|---|
소재지 | 죽절리 내주 기와가마터 -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죽절리 43
![]() |
성격 | 가마 |
지정 면적 | 약 6,300㎡ |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죽절리에서 확인된 조선시대 기와가마터.
죽절리 내주 기와가마터 지표에서 등면에 청해파문[파도 모양을 기하학적으로 나타낸 문양]이 타날[점토 안에 들어 있는 공기를 빼내고 토기 벽을 단단하게 두드리는 작업]된 기와가 다수 수습되는 것으로 볼 때, 죽절리 내주 기와가마터는 조선시대에 조성, 운영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죽절리 내주 기와가마터는 종남산[해발 608m]에서 동남쪽으로 뻗어내린 산줄기 하단부에 위치한다. 이곳은 소양면 죽절리 인덕마을 동북쪽에 위치한 경작지 일대로 행정구역상 완주군 소양면 죽절리 43번지 일대이다. 죽절리 내주 기와가마터에서 서남쪽으로 75m가량 떨어진 지점에 죽절리 내주 고인돌이 위치한다.
죽절리 내주 기와가마터 발굴조사는 진행되지 않았으나 2006년 전북대학교 박물관에서 『문화유적분포지도』를 발간하는 과정에서 유적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죽절리 내주 기와가마터 지표조사를 통해 유적의 대략적인 범위와 그 시기가 파악되었다.
내주마을 북쪽에는 내주교회가 있으며, 내주교회를 기준으로 동북편 산사면에 죽절리 내주 기와가마터가 위치한다. 죽절리 내주 기와가마터 지표에서 가마와 관련된 직접적인 흔적은 찾을 수 없었으나 도로와 가까운 사면부에서 집중적으로 기와 조각과 가마의 벽체 조각이 수습되었다. 기와는 등면에 청해파문이 타날되었거나 무문인 암, 수키와이다. 현재 죽절리 내주 기와가마터는 경작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파괴되고 있다.
완주군 내에는 조선시대에 조성된 기와 가마터가 3개소 존재한다. 향후 발굴조사를 통해 죽절리 내주 기와가마터의 성격이 밝혀진다면, 완주군의 조선시대 기와 생산 및 유통 관계 등을 규명할 수 있는 좋은 유적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죽절리 내주 기와가마터가 훼손될 우려가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