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000518 |
---|---|
한자 | 盤橋里遺蹟 |
영어공식명칭 | Historic Site Related to Bangyo-ri |
분야 | 문화유산/유형 유산,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지역 | 전라북도 완주군 이서면 반교리 510 일원 |
시대 | 선사/청동기,고대/초기 국가 시대 |
집필자 | 한수영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94~1995년 - 반교리 유적 발굴조사 |
---|---|
현 소재지 | 반교리 유적 - 전라북도 완주군 이서면 반교리 510 일원 |
출토 유물 소장처 | 국립전주박물관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쑥고개로 249 |
성격 | 주거지|무덤 |
크기(높이,길이,둘레) | 청동기시대 주거지 1호: 직경 503㎝, 잔존깊이 76㎝|청동기시대 주거지 2호: 직경 363㎝, 잔존깊이 43㎝|석개2단토광묘: 길이 110~188㎝, 너비 75~107㎝, 잔존깊이 52~69㎝|원삼국시대 주거지: 길이 270~290㎝, 잔존깊이 50㎝ 내외 |
[정의]
전라북도 완주군 이서면 반교리 510번지 일원에서 확인된 청동기~원삼국시대 주거지와 무덤 유적.
[개설]
반교리 유적은 1994년 과수원 작업 중에 석검과 민무늬토기 조각[무문토기편]을 발견한 민원인의 신고로 조사가 이루어졌다. 반교리 유적 발굴조사는 국립전주박물관에 의해 1994년과 1995년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조사 결과 청동기시대 주거지 2기와 무덤 8기, 원삼국시대 주거지 3기가 확인되었다.
[위치]
반교리 유적은 반교리 정농마을의 북쪽 구릉에 있으며, 이 일대는 해발 30m 이내의 평지성 구릉과 구릉 사이의 충적평야가 발달되어 있다.
[형태]
반교리 유적의 청동기시대 주거지는 중앙에 타원형수혈이 있는 전형적인 송국리형으로 약 40m의 거리를 두고 2기가 조사되었는데, 평면형태는 원형이며, 규모는 1호가 직경 503㎝, 잔존깊이 76㎝이며, 2호는 직경 363㎝, 잔존깊이 43㎝이다. 바닥에는 부분적으로 벽구가 돌아가고, 모두 화재로 폐기되어 탄화된 목재와 초본류 등이 바닥에 깔려 있었다. 청동기시대 무덤은 구릉 정상부에 군집을 이루는데 석개2단토광묘[묘광을 장방형 내지는 타원형으로 상하 이단을 파고 돌로서 뚜껑을 덮는 방식] 5기와 널무덤[토광묘] 2기, 추정 돌널무덤[석관묘] 1기 등이 확인되었다. 석개2단토광묘는 길이 110~188㎝, 너비 75~107㎝, 잔존깊이 52~69㎝이며, 바닥면에 작은 깬 돌[할석]이나 토기 조각을 소량 깔거나 맨바닥으로 시상을 마련하였다. 원삼국시대 집자리는 방형의 수혈주거지로 길이 270~290㎝, 잔존깊이 50㎝ 내외이며, 화재 폐기로 다량의 목탄과 토기 조각이 출토되었다.
[현황]
반교리 유적은 현재 밭으로 경작되고 있으며, 전면적인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유적의 범위는 주변으로 확장될 것으로 판단된다. 반교리 유적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유물은 국고로 귀속되어 국립전주박물관에 소장되었다.
[출토유물]
청동기시대 주거지에서는 민무늬토기와 적갈색마연토기가 출토되었으며 기형은 호와 옹, 발형토기[바리모양토기]와 뚜껑 등이 확인되었다. 석기류는 지석과 돌화살촉, 가락바퀴[방추차] 등으로 구분된다. 무덤에서는 민무늬토기와 마제석검이 출토되었고, 8호 상층부에서 원형점토대토기편[아가리 부분에 원형의 점토 띠를 덧댄 덧띠토기 조각] 이 수습되었다. 원삼국시대 주거지에서는 시루와 발형토기, 곧은입목긴항아리[직구장동호(直口長胴壺)], 원저단경호(圓底短頸壺)[바닥이 불룩하고 목이 짧은 항아리], 부리토기[주구토기(注口土器)], 숫돌과 돌도끼 등이 확인되었다.
[의의와 평가]
반교리 유적은 완주군에서 최초로 정식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된 청동기시대 주거지이다. 반교리 유적은 청동기시대 중기에 해당하는 송국리형 주거지가 구릉 사면에서 확인되었고, 구릉 정상부에서는 무덤이 군집을 이루어 조사되었다. 또한 덧띠토기 조각이 확인되어 송국리문화와 덧띠토기문화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원삼국시대 주거지는 격자문이 타날[점토 안에 들어 있는 공기를 빼내고 토기 벽을 단단하게 두드리는 작업]된 연질토기류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완주군 일대의 마한문화를 복원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해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