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600751
한자 -四三遺蹟址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동광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은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49년 1월 20일 - 삼밧구석 주민들 집단학살됨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9년연표보기 - 삼밧구석 4·3 유적지 내 위령비 건립
원소재지 삼밧구석 4·3유적지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1425번지 일대지도보기
성격 유적지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1425번지 일대로 제주 4.3사건 당시 소개된 이후 복구되지 못한 잃어버린 마을.

[개설]

안덕면 동광리 하동인 마전동이라고도 불리던 삼밧구석은 삼을 재배하던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정확히 46호가 거주하던 마을로 임씨 집성촌이었다. 호주로는 임두칠·변기칠·변갑출·임원현·임성산·임해생·임문숙·홍방언·임화명·이영길·양맹호·임원년·김철규·임승수·임경화·임오생·김여생·이정학·이갑문·이태옥·임공숙·강무학 등이다.

1948년 11월, 소개령 이후에 삼밧구석 주민들은 은신처를 찾아 헤매다 큰넓궤로 들어가던가 해안 마을로 이주하였다. 얼마 지나지 않아 큰넓궤도 발각이 되고 더 산으로 올라갔으나 토벌대의 토벌작전에 대부분 잡혀서 서귀포 단추공장에 수감되었다. 이들은 1949년 1월 20일 경 정방폭포 부근에서 집단 총살되었다.

이렇듯 희생이 컸던 삼밧구석 주민들은 본래 마을을 복구하지 못하고 동광리 간장동에 성을 쌓고 재건되면서 삼밧구석은 잃어버린 마을로 남게 되었다.

[형태]

서귀포시 안덕면 1425번지 일대의 삼밧구석 중심지에 우람하게 서 있던 수령 350년 된 팽나무는 태풍에 잘려져 허망함이 느껴진다. 잘 가꾸어진 밭들 주변으로 대나무 숲이 군데군데 남아 있어 예전의 마을 터임을 알려주고 있다. 1999년에 마을 주민들이 세운 4.3사건 위령비를 보면 4.3사건 당시 피해가 컸던 지역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현황]

마을 입구에는 2005년에 세운 잃어버린 마을 표석이 있으며, 주변의 듬성듬성한 대나무 숲과, 마을 중심지였음을 알려주는 팽나무, 그 밑에 4.3사건 위령비삼밧구석 마을터라는 것을 알려 주고 있다.

[의의와 평가]

삼밧구석은 4.3사건의 마을 별 피해 실체를 체험하고, 4.3사건의 아픈 역사를 배우는 현장이다.

[참고문헌]
  • 『제주4·3사건진상조사보고서』(4·3사건진상규명 및 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 2003)
  • 제주도, 『제주4.3유적 Ⅱ』((사)제주4.3연구소, 2004)
  • 인터뷰(안덕면 주민 김여수, 남, 70세, 2003)
  • 인터뷰(안덕면 주민 강춘화, 여, 85세, 2004)
  • 인터뷰(동명리 주민 임문숙, 남, 79세, 2004)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