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202941 |
---|---|
영어의미역 | Song Sung While Droving Cattle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경상북도 구미시 |
집필자 | 김재웅 |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소를 이용하여 논밭을 갈 때 부른 노동요.
「소 모는 소리」는 『구미시지』에 수록되어 있다.
「소 모는 소리」는 일정한 구성이나 형식은 없으나 소를 몰면서 즉흥적인 내용을 가사에 엮어서 부른다. 후렴구는 일정하지 않지만, 노래를 부르는 중에 “이랴 쯔쯔쯔쯔 워디 이랴”와 같이 나타난다.
「소 모는 소리」는 농사에 중요한 노동력을 제공하는 소를 몰면서 부르는 노동요이다. 소를 이용하여 논밭을 갈아엎을 때 주인이 소의 공덕을 칭찬하거나 노동의 지루함을 잊어버리기 위해서 이러한 노래를 부른다. 구미 지역에서 채록된 「소 모는 소리」의 내용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이랴이랴 워디위디 이랴이랴이랴/이 밭 갈아 옥토 갈아 이 곡식을 내여서러/부모봉양 다하고서 자녀 보호 다하고요/부모봉친 다하더라/이랴이랴 워디 이래이 쯔쯔쯔쯔 이랴/가자 가자 어서 가자 쉬지 말고 어서가자.
위와 같은 「소 모는 소리」는 독창으로 부르기 때문에 비교적 일찍 소멸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기계를 사용하여 농사를 짓게 되면서 「소 모는 소리」는 급격히 소멸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래서 현재 구미 지역에는 이러한 소리가 전승되지 않고 있다.
「소 모는 소리」는 강원도 산골에서도 좀처럼 찾아보기 어려운 노래이다. 구미의 「소 모는 소리」는 주인이 힘든 일을 하는 소를 위로하고 노동의 지루함을 달래기 위해서 부른다. 또한 논밭을 갈아엎을 때 소와 일체감을 가져야만 노동의 효율성을 가져올 수 있기에 노래를 부르는 것이다. 일정한 형식과 구성은 없으나 노동하는 사람의 심정을 즉흥적 사설로 엮어서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