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200309
한자 舞乙面
영어음역 Mueul-myeon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경상북도 구미시 무을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안귀남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행정구역
면적 44.73㎢[2015년 12월 31일 기준]
총인구(남,여) 2,096명[남 1,044명, 여 1,052명][2016년 6월 30일 기준]
가구수 1,012세대[2016년 6월 30일 기준]

[정의]

경상북도 구미시에 속하는 법정면.

[명칭유래]

지형이 새가 춤추는 형상과 같으며, 모든 면에서 앞서 간다는 뜻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형성 및 변천]

121년경 신라시대에 무을동방(舞乙洞坊)이었고, 676년경 풍헌(風憲)으로 개칭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10개리를 관할하는 무을면이 되었다.

[자연환경]

동서로 트여 있는 산간 분지로 마을 한가운데로 대천이 흐른다. 북쪽으로 연악산, 남쪽으로 복우산(머무산)과 접하며, 연악산을 주맥으로 하는 산악이 길게 뻗쳐 있는 곳에 북에서 동으로 경사를 이루며 가로 누운 장방형 지형이다.

[현황]

구미시 서쪽에 있는 지역으로, 2016년 6월 30일 현재 총 1,012세대에 2,096명[남 1,044명, 여 1,052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2015년 12월 31일 기준 면적은 44.73㎢이다. 10개 법정리(18개 행정리), 68개 반으로 이루어져 있다.

동쪽으로 선산읍옥성면, 남쪽으로 김천시 감문면, 서북쪽으로 상주시 공성면과 접하며, 선산읍과 상주시로 통하는 국가지원지방도 68호선이 면 중앙부를 지난다. 주요 산물로 표고버섯·새송이버섯·참외·사과·상추·채종포 등 농산물을 재배한다.

대표적인 마을 행사로 무을풍물이 유명하다. 무을풍물은 무을면 무이리를 중심으로 상송리, 오가리 등지에서 전승·공연되는 전통 풍물놀이로서 발원지는 상송리에 있는 수다사(水多寺)이다.

약 300년 전 수다사에 있던 승려 정재진이 구전되어 내려오는 내용을 소재로 하여 풍물 가락을 만들어 인근 마을로 전파시킨 것이 시초이다. 무을면과 김천시 일대에는 아직도 “정재진 나고 매구 나고, 엄복동이 나고 자동차 났으며, 안창남을 위하여 비행기 나왔다”라는 말이 뭇사람들의 입으로 전하여 오고 있어 무을풍물의 발원지가 수다사라는 것을 뒷받침하고 있다.

정재진 이후의 전승은 분명하지 않으나, 약 100년 뒤 무을면 오가리의 이군선(본명 이경춘, 1868~?) 상쇠가 풍물 가락을 집대성하여 독보적이고 독창적인 경지에 올려놓았다. 그 후 명맥만 유지하다가 1990년부터 재건 작업이 본격화되어 1996년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농악 부문 우수상을 수상하였고, 현재의 박원용 상쇠로 가락이 이어지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