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501337
한자 稼亭牧隱兩先生遺墟碑
이칭/별칭 가정목은유허비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 339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창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736년연표보기 - 가정목은양선생유허비 건립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298년 - 이곡 출생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328년 - 이색 출생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1351년 - 이곡 사망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1396년 - 이색 사망
특기 사항 시기/일시 1843년 - 가정목은양선생유허비 비각 건립
현 소재지 가정목은양선생유허비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 339 지도보기
현 소재지 영덕 괴시마을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호지마을1길 11-2[괴시리 320]지도보기
성격
관련 인물 이곡|이색
크기(높이, 너비, 두께) 166㎝[비신 높이]|39㎝[개석 높이]|48㎝[비신 너비]|97㎝[개석 너비]|12.5㎝[비신 두께]|64㎝[개석 두께]

[정의]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에 있는 조선 후기 유허비.

[개설]

가정목은양선생유허비(稼亭牧隱兩先生遺墟碑)는 이곡(李穀)[1298~1351]과 이색(李穡)[1328~1396]을 기리기 위해 건립하였다. 이곡의 본관은 한산(韓山), 호는 가정으로 이제현(李齊賢)의 문인이자 이색의 아버지이다. 신흥사대부로 1332년 원나라의 과거에 급제하였고, 예문관 검열·밀직부사·정당 문학 등의 벼슬을 지냈다. 시호는 문효(文孝)이며, 저서로 『가정집』 4책 20권이 전한다.

이색의 호는 목은이다. 포은 정몽주·야은 길재와 함께 고려 삼은(三隱)의 한 사람이다. 1354년 원나라의 과거에 급제하였고, 대사성·정당문학·판삼사사 등의 벼슬을 지냈다. 시호는 문정(文靖)이며, 저서로 『목은문고(牧隱文藁)』와 『목은시고(牧隱詩藁)』 등이 있다.

[건립 경위]

비는 1736년(영조 12) 후손 이태영(李泰永)이 경상 감사로 있을 때 세웠다. 비문은 황은(黃隱)이 찬하였다. 비각은 1843년(헌종 9) 후손 이경재(李景在)가 경상 감사로 있을 때 세웠다.

[위치]

가정목은양선생유허비는 '영덕 괴시마을'에 있다. 괴시마을은 이색의 출생지로, 이색의 외가인 함창김씨가 처음 터를 잡은 이후 조선 인조대 영양남씨가 정착하는 등 영덕 지역을 대표하는 반촌마을이다. 이에 마을 전체가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유허비는 마을 뒤쪽 능선상에 있는 목은이색기념관만서헌(晩棲軒)의 남동쪽에 자리한다.

[형태]

가정목은양선생유허비는 개석과 비신이 분리된 채로 누워 있으며, 비제(碑題)는 훼손되지 않았으나, 좌우와 위쪽의 일부는 파손된 상태이다. 비신 높이는 166㎝, 너비 48㎝, 두께는 12.5㎝이다. 개석의 높이는 39㎝, 너비 97㎝, 두께는 64㎝이다.

[금석문]

가정목은양선생유허비 비신 전면에는 ‘가정목은양선생유허비(稼亭牧隱兩先生遺墟碑)’가, 좌측면에는 ‘숭정…일 립(崇禎…日 立)’이 새겨져 있다. 후면에는 비문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현황]

가정목은양선생유허비는 1971년 중수비가 새로 조성됨에 따라 중수비 아래에 묻혀 있었는데, 2001년 ‘경북북부유교문화권관광개발사업’의 일환으로 비각을 중수[1843년 창건, 1977년 중건]할 때 들어내어 지금의 자리로 이전하였다고 한다.

[의의와 평가]

가정목은양선생유허비는 이곡이색의 생애와 학문을 생각해 볼 수 있는 관광자원 및 교육 장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