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길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500699
한자 申吉暉
영어공식명칭 Shin Gilhwi
이칭/별칭 휘원(輝遠),유헌(幽軒)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경상북도 영덕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광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604년연표보기 - 신길휘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30년 - 신길휘 진사시 입격
활동 시기/일시 1650년 - 신길휘 성산 소청 소수 추대
몰년 시기/일시 1663년연표보기 - 신길휘 사망
출생지 인량리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인량리 지도보기
묘소|단소 상암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삼계리 지도보기
성격 학자
성별
본관 평산[영해]
대표 관직|경력 진사

[정의]

조선 후기 영덕 출신의 학자.

[개설]

신길휘(申吉暉)[1604~1663]는 진사시에 입격하였으며, 문집으로 『유헌집(幽軒集)』을 남겼다.

[가계]

신길휘의 본관은 평산(平山)[영해(寧海)], 자는 휘원(輝遠), 호는 유헌(幽軒)이다. 아버지는 장악원정(掌樂院正)을 지낸 신활(申活), 어머니는 목사(牧使)를 지낸 이민현(李民顯)의 딸 숙인(淑人) 영천이씨(永川李氏), 할아버지는 승사랑(承事郞) 신준민(申俊民), 증조할아버지는 증(贈) 병조참의(兵曹參議) 신명화(申命和)이다. 부인은 참봉(參奉)을 지낸 박응몽(朴應夢)의 딸 의인(宜仁) 무안박씨(務安朴氏)이며, 후처는 수안김씨(遂安金氏)이다.

[활동 사항]

신길휘는 1604년(선조 37) 경상도 영해도호부(寧海都護府) 인량리(仁良里)[지금의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인량리]에서 태어났다. 1630년(인조 8) 진사시에 입격하였고, 이후 과거에 응시하였으나 장자(莊子)의 말을 인용해서 급제가 취소되었다. 이에 국왕이 특별히 『소학(小學)』 1부를 하사하였다. 1636년 병자호란 당시 은거하고 있었는데, 청나라와 강화를 맺은 후 신력(新曆)이 배포된 것을 보고 비분강개하며 시를 지었다.

1650년(효종 1) 경상도 사림들이 성산(星山)에서 소청(疏廳)을 설치하여, 이이(李珥)·성혼(成渾)에 대한 문묘종사(文廟從祀) 반대 상소문을 추진할 때, 도(道)의 공론에 따라 소수(疏首)로 추대되었다. 이상일(李尙逸)·권상길(權尙吉)·박호(朴滈)·남길(南佶) 등의 인사들과 교유하였다.

[학문과 저술]

문집으로 1968년 간행된 3권 1책의 『유헌집』이 전한다. 문집은 시 170수, 제문 1편, 묘지명 1편, 잡저 5편, 부(賦) 1편과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잡저의 「책제(策題)」는 춘추대의(春秋大義)를 논한 글이며, 「형자성인지인심론(刑者聖人之人心論)」은 형벌을 행할 때 인(仁)도 병용해야 한다는 논설이다.

[묘소]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삼계리 상암(尙岩)에 묘소가 있다. 이인행(李仁行)이 묘갈명(墓碣銘)을 지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