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500425
한자 知足堂
영어공식명칭 Jijokdang House, Yeongdeok
분야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인량5길 49-12[인량리 472]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찬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727년연표보기 - 지족당 건립
문화재 지정 일시 1993년 2월 25일연표보기 - 지족당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74호 지정
현 소재지 지족당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인량5길 49-12[인량리 472]지도보기
원소재지 지족당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인량5길 49-12[인량리 472]
성격 전통 가옥
정면 칸수 8칸[정침]
측면 칸수 6칸[정침]
소유자 권병세
관리자 권병세
문화재 지정 번호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74호

[정의]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인량리에 있는 조선 후기 가옥.

[개설]

지족당(知足堂)은 권만두(權萬斗)[1674~1753]가 건립하였다. 권만두의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용경(用卿)이고, 호는 지족당(知足堂)이다. 장수현감을 사임한 후 고향으로 돌아와 후진을 양성하고 학문에 힘썼다. 유생들과 함께 『사례절요서(四禮節要書)』를 짓고, 『영해읍지』를 편찬하였다. 장수현감 재직시에 일어난 무신의 난을 진압하였으며, 이와 관련한 사건을 정리한 『지족당문집(知足堂文集)』을 남겼다.

[위치]

인량리 마을 가장 뒤편 산 밑인 영덕군 창수면 인량5길 49-12[인량리 472]에 있다. 지족당영덕만괴헌영덕 충효당 종택과 함께 전망 좋은 높이에 자리 잡고 있다.

[변천]

1727년(영조 3) 권만두가 장수현감을 사임한 후에 고향으로 돌아와 살림집으로 건립하였다.

[형태]

현재 정침, 헛간채, 화장실로 구성되어 있다. 골목에서 대문 없이 곧장 들어서면 넓은 마당 동쪽에 초가 헛간채가 서향하고, 그 북쪽 높은 지대에 북고남저한 지세에 맞춰 뒷산을 배후로 정침을 남동향으로 앉혔다. 정침은 정면 8칸, 측면 6칸 규모에 완결형 뜰집인데, 전면에 배치된 중문간을 포함한 사랑채가 안채보다 실을 돌출해 평면구성하여 행간확장형 뜰집에 속한다. 이런 정침 평면은 마을 내 삼벽당, 만귀헌에서도 볼 수 있다. 안채는 3칸 안마당에 면해 안대청을 배열하고, 그 우측으로는 안방 뒤의 마룻바닥의 도장, 좌측으로 상방을 각기 두었다. 안대청과 상방 앞에는 툇마루와 통래(通來)칸이 있다. 안방 앞으로는 정지, 상방 앞으로는 마룻바닥의 고방을 두어 안채는 전체적으로 '⊓' 자형을 이룬다.

사랑채는 안마당 중간에 낸 중문간을 기준으로 서쪽에 사랑방, 우물마루의 사랑대청을 안채보다 돌출시켜 일렬로 배열하고, 사랑방 뒤로는 책방 1칸을 우익사와 연결시켜 '⊥' 자형을 이룬다. 사랑채는 사랑마당이나 중문간 앞을 통해 출입하며, 전면 쪽마루에는 만귀헌, 삼벽당의 사랑채처럼 계자각 헌함을 설치하였다. 중문간 좌측으로는 마구, 아랫방에 마루방 1칸이 돌출해 있다. 구조는 자연석 기단에 자연석 초석을 놓고 네모기둥을 세운 뒤 주상부는 사랑채 사랑마루와 안채 안대청 전면에만 직절익공형식으로 꾸미고 그 외는 민도리형식으로 꾸몄다.

지붕가구는 안채가 2고주 5량가, 사랑채는 5량가이다. 사랑대청에는 판벽에 쌍여닫이 굽널살문을 달아 내부화하였다. 사랑채의 지붕은 팔작지붕으로 다른 채보다 높게 부각시켜 격식과 위계성을 표현하였다. 헛간채는 4칸 '一' 자형에 3량가 초가집이다. 방아실를 비롯해 헛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랑채 전면에는 중문간과의 사이에 내외담, 중문간 앞에는 만귀헌처럼 안채의 내밀한 모습을 볼 수 없게 차면담이 설치되어 있다.

[현황]

1993년 2월 25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마을 가장 높은 지대에 1727년에 지은 살림집으로 완결형 평면에 전면의 사랑채가 안채보다 돌출되게 실을 구성한 점, 안방과 대각선 방향에 배치된 사랑채는 위치 및 구조와 지붕 형태에서 안채보다 높은 격식과 위계성을 표현한 점, 안채 상방 앞에 툇마루와 통래칸을 둔 점, 안채의 내밀한 모습을 볼 수 없게 차면담을 설치한 점 등이 특징이다. 전반적으로 경상북도 북부 지역의 상류주택의 특성을 기반으로 영덕 지역 특유의 평면 구성과 건축 시기, 특성을 살펴볼 수 있는 살림집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