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삼 삼기 소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401265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경상북도 성주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지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79년 3월 31일 - 「삼 삼기 소리」 이태순에게 채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0년 - 「삼 삼기 소리」 『한국 구비 문학 대계』7-4에 수록
채록지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칠봉리 지도보기
성격 민요|노동요
기능 구분 길쌈 노동요
형식 구분 독창
박자 구조 2음보
가창자/시연자 이태순[여, 65세]

[정의]

경상북도 성주 지역에서 여성들이 삼을 삼거나 명을 자으며 부르는 소리.

[개설]

「삼 삼기 소리」는 경상북도 성주군 지역에서 여성들이 삼을 삼거나 명을 잣는 등 길쌈 노동을 할 때 부르는 민요이다. 길쌈 노동뿐만 아니라 밭매기, 풀 뽑기 등 인내력을 요하는 여성들의 고된 노동 환경에서도 불린다. 힘들고 고된 노동 시간 동안 졸음을 쫓거나 지루함을 달래기 위해 주로 구연한다.

[채록/수집 상황]

1980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발행한 『한국 구비 문학 대계』7-4에 수록되어 있다. 1979년 3월 31일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칠봉1동 유촌[현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칠봉리]에서 이태순[여, 65세] 제보자로부터 채록하였다. 제보자는 명잣는 흉내를 내며 구연하였다.

[구성 및 형식]

「삼 삼기 소리」는 혼자서 부르는 ‘독창’의 방식으로 구연된다. 노래의 가락과 노동의 동작이 밀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길쌈, 밭매기 등의 농업 노동 전반에서 구연될 수 있다. 특별한 가락 없이 음영의 방식으로 구연된다. 2음보 연속체로 정형화된 사설은 없다. 구비 전승되는 사설에 자신의 경험을 덧붙여 구연자만의 개성적 사설이 구성된다.

[내용]

「삼 삼기 소리」는 사설의 내용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시집살이 노래」로 분류할 수 있다. 「시집살이 노래」는 며느리가 시집 생활에서 겪은 사건과 경험, 감정 등을 내용으로 하는 민요를 일컫는다. 「시집살이 노래」는 비슷한 처지의 또래 여성들끼리 모여 일을 하거나 혼자 노동을 할 때 주로 구연되며, 구연자들은 「시집살이 노래」를 가창함으로써 자신과 비슷한 처지의 시적 화자에게 감정을 이입하고 정서적 치유를 경험하게 된다. 또한 성주군 「삼 삼기 소리」를 장르를 기준으로 구분한다면, 일정한 인물과 사건을 갖춘 이야기로 된 민요라는 점에서 서사 민요라고 할 수 있다.

「삼 삼기 소리」의 사설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반부는 시집온 후 며느리가 겪은 사건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다.

경상감사 딸이로다 / 순임금의 집이로다

시집가던 삼일만에 / 집도랑에 돌아오니

능금한쌍 열렸도다 / 능금애기도령 큰일났소

능금한쌍 먹고저버 / 한개는 손에들고

한개는 품에품고 / 시누아씨어마님께 달려가네

저어마니 거동보소 / 시숙극에 전장가네

저시숙 거동보소 / 원님극에 송사가네[후략]

며느리가 시집온 지 삼일만에 사과 한 쌍을 따 먹자, 시집 식구들이 며느리를 대상으로 송사를 벌이는 내용이다. 시집 식구들의 행위가 반복적으로 나열되어 시집 식구들의 횡포가 강조되는 역할을 한다. 후반부는 며느리가 시집살이의 어려움을 직접적으로 토로하는 내용이다.

[전략] 말도많데 말도 많데 / 시집살이 말도많데

중우벗은 시동상은 / 말하기도 어렵더라

도리도리 도리판에 /수저놓기 어렵더라

후반부는 시집오기 전의 자신의 모습과 시집온 이후의 모습을 대비적으로 표현하고 시집살이의 어려움을 토로하는 것으로 마무리되고 있다.

[현황]

「삼 삼기 소리」는 성주 지역을 중심으로 하여 영남 지역에서 활발하게 구연되고 다양한 사설이 전승되었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에는 기억하는 사람이 거의 없어 전승이 끊어질 위기에 처해 있다.

[의의와 평가]

「삼 삼기 소리」는 비교적 장형의 형태로, 길쌈 노동요의 형태적·내용적 특징을 파악하기에 용이한 귀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