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701261
한자 樓亭
이칭/별칭 누관(樓觀)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남도 밀양시
시대 조선/조선,근대/근대,현대/현대
집필자 하강진

[정의]

경상남도 밀양 지역에 있는 사방을 볼 수 있도록 지면에서 높게 만든 건축물.

[개설]

누정(樓亭)은 누각(樓閣)과 정자(亭子)를 합친 말로, 사방을 볼 수 있도록 다락 형식으로 마루바닥을 지면에서 한층 높게 만든 건축물이다. 누관(樓觀)이라는 이칭도 있는데, 이때 관(觀)은 망루의 뜻이 있다. 대개 높은 언덕이나 돌 혹은 흙으로 쌓아 올린 대 위에 세우기 때문에 대각(臺閣) 또는 누대(樓臺)라고도 한다. 누정이 대규모인 경우, 당(堂)·(閣)·정(亭)·헌(軒) 등의 부속 건물을 거느리기도 한다. 건물 형태가 정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이 있지만 직사각형이 대부분이다. 대개 당(堂)·정(亭)·재(齋)의 명칭을 붙였는데, 용도로는 공적 기능과 사적 기능으로 나뉜다.

공공의 누정은 대개 관청의 부속 건물로 고을에서 자연 경관이 좋은 곳에 건립되었다. 고려시대 영남사(嶺南寺) 부속 건물로 창건된 밀양 영남루(密陽嶺南樓)는 조선 초에 개창되었고, 능파당과 침류당을 부속 건물로 거느려 한국 3대 누각의 하나로 일찍부터 명성을 얻었다. 사적인 누정은 휴식이나 강학, 문중의 회합이나 동족 결속, 조상 추모나 선대 묘 수호 등 다양한 목적으로 동리나 경관이 수려한 곳에 건립되었는데, 이 중 치제를 위한 재숙소 용도로 묘소 인근에 지은 분암(墳庵)인 재(齋)가 많다. 그리고 삼우정·탁삼재·월연대·모렴당 등과 같은 내력이 오래된 누정도 있지만 근현대에 지어진 건물이 대다수이다. 밀양 시내와 면별로 소재한 누정을 열거하기로 한다.

[시내]

밀양 시내의 경우 내일동밀성재·세루정[밀양박씨], 교동춘복재[밀양손씨], 모례의 오연정[밀양손씨], 용평용호정·심경루[안동손씨], 용평장선재[평산신씨], 용평월연대·쌍경당·제헌·풍수암·송월당·춘우정[여주이씨], 활성동금시당·백곡재·전천서당[여주이씨] 등이 있다.

[부북면]

부북면에는 가산재[순창설씨], 영모재·두곡정·동강재·추모재·보본재[진양하씨], 첨모재[대항리]·귀원정[장수황씨], 내독재·추모재[아산장씨], 용화재[함안조씨], 원모재·의첨재·성목재·용호정·사우정사[함평이씨], 완재정·학산정사[안동권씨], 경정당·사우정[평산신씨], 모렴당·둔옹정·고취정[광주안씨], 추원재[선산김씨], 서고정사·한서암·천연정·삼은정[여주이씨], 추감재[재령이씨], 국담재·기양재·행산재[밀양박씨], 덕곡재·상덕재[밀양손씨], 옥봉재[선산김씨], 운곡재·삼모재[김해김씨], 사우당[성주도씨], 운계재[전주류씨], 학상사[여양진씨], 추모재[경주최씨] 등이 있다.

[단장면]

단장면에는 추모재[능성구씨], 세경재[경주김씨], 태산재[김녕김씨], 지족당·침류정·용연정[의령남씨], 자암서당[광주노씨], 금석정·진모재·모선재[밀양박씨], 삼화재[달성서씨], 칠탄정[밀양손씨], 칠산정·구산정[안동손씨], 사양정[월성손씨], 추원재[경주이씨], 도원정·반계정·단구정사[여주이씨], 옥봉정·낙주정·농산헌·고례사[인동장씨], 노곡재[나주정씨], 주산서당[김해허씨] 등이 있다.

[산내면]

산내면에는 탁삼재[김녕김씨], 동림재[김해김씨], 원사재[청도김씨], 우경재[밀양박씨], 경모재[달성서씨], 만취재[밀양손씨], 혜남정·영언재·삼우당[안동손씨], 낙선재[평산신씨], 건척정[광주안씨], 영모재[파평윤씨], 사인재[경주이씨], 건모재[재령이씨], 영모재[연일정씨], 모운재[함안조씨], 지산재[장수황씨] 등이 있다.

[산외면]

산외면에는 학남서당[안동권씨], 금양재·용산정·성모재[밀양박씨], 죽원재사·죽포정사[밀양손씨], 혜산서원·다원서당·이이정·동산정·양진당·죽계서당·광산재[안동손씨], 운산정[남원양씨], 내복재[양성이씨], 청룡재[청도김씨] 등이 있다.

[상동면]

상동면에는 박연정[광주김씨], 덕음재[김녕김씨], 경무재·학선정·인산재·모현재[김해김씨], 청송정[청도김씨], 영훈재[장연노씨], 경모정·원모정·요산요수당·송강정·원사재[밀양박씨], 도화재[순천박씨], 경선재·삼모정[달성서씨], 모운재[파평윤씨], 추모재[경주이씨], 호산정사[여주이씨], 여수정[달성하씨] 등이 있다.

[삼랑진읍]

삼랑진읍에는 영사정[문화류씨], 오우정[여흥민씨], 안양재[밀양박씨], 벽소정[안동손씨], 이출재[광주안씨], 세심정[아산장씨], 고원재[나주정씨], 무산재[충주지씨] 등이 있다.

[상남면]

상남면에는 경묵재[회산감씨], 첨모재[동산리]·포은정[광산김씨], 명덕재[선산김씨], 덕후재[여흥민씨], 명성재[평산신씨], 용운재·춘언재[경주이씨], 추원재·영사재[재령이씨], 정관당·이척재·삼세정[창녕조씨] 등이 있다.

[하남읍]

하남읍에는 덕양재·대학당·무홀재·남수정·동호재·임춘재·추모정[광주김씨], 경모재[밀양박씨], 영모재[벽진이씨], 학명재·완산재·파산재[김해김씨], 추파정·덕산재·일경재·반전재[옥산전씨], 낙주재·관란정[전주이씨], 동호재[이천서씨]·양정서당[여흥민씨] 등이 있다.

[초동면]

초동면에는 오사재·유산재·여재당[김해김씨], 죽계재[청도김씨], 모선정·신계재·감모재·자영재·낙역재·역열재·검석정·덕린재·사죽당·원모재·봉서재[밀양박씨], 덕산재[달성서씨], 성암재·곡강정·팔문각[벽진이씨], 영모재[수원백씨], 봉림재[밀양손씨], 오휴정·식호당·근사재·취성재[광주안씨], 오산재·경모재[파평윤씨], 영사정[고성이씨], 감모재[재령이씨], 대원정[동래정씨], 오봉서원·경모재·원모재·귀후재[창녕조씨] 등이 있다.

[무안면]

무안면에는 덕암재[진양강씨], 보유재[능성구씨], 임연재[안동권씨], 경모재[경주김씨], 벽산재[김녕김씨], 모계재·산양재·현곡재[김해김씨], 죽담정·운곡재[진주류씨], 어변당·만운재·경도재·경모재·창번재·반월정[밀양박씨], 모본재[분성배씨], 운포재·월담재·경우재·청덕재[충주석씨], 태산재[순창설씨], 중봉재·낙남재·지성재·영모재·송암재[평산신씨], 문송정[광주안씨], 경모재[순흥안씨], 사모재[남원양씨], 만산재[해주오씨], 복강재·용연재[경주이씨], 남회당·청옹정·죽파정·용연재[벽진이씨], 청사당[합천이씨], 백운재[완산전씨], 삼은재·포산재·원천재·추모재[창녕조씨], 동광재[경주최씨], 원모재·괴산재[진양하씨], 청단재[연주현씨] 등이 있다.

[청도면]

청도면에는 치산재[광산김씨], 모선재·화선재[김해김씨], 망수재·추강정사·낙역재·사의정·돈의정·오남재·장남재[청도김씨], 숭모재[남평문씨], 경모재·모성재·모아재·모우재·보본재·달과정·추모재·영모사·직조재[밀양박씨], 이필재[의흥예씨], 소호재·염수정[경주이씨], 추보재[벽진이씨], 원모재[전주이씨], 전모재[함평이씨], 자암재[아산장씨] 등이 있다.

[의의]

밀양 향촌 사회의 결속 형태와 행정구역별 성씨 분포지, 별서 문화의 전통을 파악하는 데 필수적인 문화 자산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