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701044
한자 密陽鄕校 大成殿
영어공식명칭 Daeseongjeon Shrine of Miryang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경상남도 밀양시 밀양향교3길 19[교동 733]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전지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100년 경 - 밀양향교 대성전 건립
이전 시기/일시 1617년 - 밀양향교 대성전 이건
이전 시기/일시 1820년 - 밀양향교 대성전 이건
개축|증축 시기/일시 1602년 - 밀양향교 대성전 중건
문화재 지정 일시 2020년 12월 28일연표보기 - 밀양향교 대성전 보물 제2094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6월 29일 - 밀양향교 대성전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보물 지정 번호 삭제
현 소재지 밀양향교 대성전 - 경상남도 밀양시 밀양향교3길 19[교동 733]지도보기
원소재지 밀양향교 대성전 - 경상남도 밀양시 밀양향교3길 19[교동 733]
성격 대성전
양식 맞배지붕
정면 칸수 3칸
측면 칸수 2칸
소유자 경상남도향교재단
관리자 밀양향교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 제2094호

[정의]

경상남도 밀양시 교동에 있는 밀양향교에 부속된 조선 후기 대성전.

[개설]

밀양향교 대성전(密陽鄕校大成殿)밀양향교의 제묘 공간이다.

[위치]

밀양향교 대성전경상남도 밀양시 교동에 있다.

[변천]

밀양향교 대성전은 1100년경 세워졌다고 전하나,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다. 임진왜란 때 향교 전각이 불타 사라진 후 1602년(선조 35)에 다시 세워졌다. 이후 1617년(광해 9)과 1820년(순조 20)에 이건하였다. 건물 이전 기록에 따르면 대성전의 지형이 낮아 훌륭한 인물이 나지 않는다는 이유로 위치를 옮겼다고 한다.

[형태]

밀양향교 대성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이며 기단은 일정한 길이로 가공된 돌을 쌓아 만든 장대석 기단으로 만들었다. 방형(方形)으로 가공된 초석 위에 원통형 기둥을 세우고, 기둥 위에 이익공 형식의 공포를 올렸다. 건물 앞에 붙이는 칸살인 전퇴(前退)가 없는 것이 특징이며, 지붕은 맞배지붕 형태로 지어졌다.

[현황]

밀양향교의 제묘 공간인 대성전에는 5성(五聖), 송조 2현(宋朝 二賢), 우리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5성은 공자(孔子), 안자(顔子), 증자(曾子), 자사(子思), 맹자(孟子)이다. 송조 2현은 정호(程顥)와 주희(朱熹)이다. 18현은 동무(東廡)에 설총(薛聰), 안유(安裕), 김굉필(金宏弼), 조광조(趙光祖), 이황(李滉), 이이(李珥), 김장생(金長生), 김집(金集), 송준길(宋浚吉)이, 서무(西廡)에 최치원(崔致遠), 정몽주(鄭夢周), 정여창(鄭汝昌), 이언적(李彥迪), 김인후(金麟厚), 성혼(成渾), 조헌(趙憲), 송시열(宋時烈), 박세채(朴世采)가 각각 봉안되어 있다. 봄과 가을에 석전(釋奠)을 봉행(奉行)하고,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분향을 하고 있다.

밀양향교 대성전은 2020년 12월 28일보물 제2094호로 지정되었다. 그 후 2021년 6월 2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보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의의와 평가]

밀양향교 대성전은 위치를 바꾸는 과정에서 기둥, 익공, 창호 등에서 구재를 재사용하여 고식 기법들이 잘 보존되어 있는 점에서 그 미적·역사적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