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701381
한자 影燈祭
영어공식명칭 Yeongdeung Rite|Yeongdeungje
이칭/별칭 영동할미제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제
지역 경상남도 밀양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황경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속 의례
의례 시기/일시 음력 2월 초하루~2월 그믐
신당/신체 장독간|부엌

[정의]

경상남도 밀양시에서 음력 2월에 바람신인 영동할매에게 치성을 드리는 의례.

[개설]

영등제는 음력 2월에 바람신인 영등할머니에게 가정의 태평과 자손들의 소원 성취, 한 해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의례이다. 의례를 행하는 시기는 가정마다 다르지만 대체적으로 영등할머니가 내방하는 음력 2월 초하루에 제의를 베푼다.

경상남도 밀양 지역에서는 영등제는 2월 초하루부터 열흘날 사이에 손 없는 날을 택하여 행하거나, 영등할머니가 천상으로 돌아가는 2월 그믐에 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영등할머니를 지칭하는 명칭은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데, 밀양 지역에서는 일반적으로 ‘영동할매’, ‘이월영동’, ‘바람할매’ 등으로 칭하고, 영동할매에게 올리는 제의를 “영동할매 바람 올린다,”라고 칭한다.

[연원 및 변천]

영등제의 연원에 대하여는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다. 단군신화에 바람신인 풍백(風伯)이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바람신에 대한 민간신앙은 역사가 유구할 것으로 추정된다. 밀양시 상남면 연금리 이연마을에 전하여 오는 영등제의 유래담에 따르면, 옛날에 어떤 할머니가 가난하여 밥을 구걸하다가 보리밭에서 굶어 죽었는데, 마을 사람이 죽은 할머니를 위하여 제를 모시기 시작하여 지금에 이르렀다고 한다.

[신당/신체의 형태]

과거 밀양 지역에서는 영등제의 제의 공간이 주로 장독간이였으나 주거 환경이 변화되면서는 부엌에서 지내는 가정이 많다. 영동할매의 신체는 달리 없다. 영등제를 지낼 때 영동할매에게 공물을 바치는데, 상남면 연금리에서는 제물 옆에 오색 헝겊을 단 대꼬챙이를 세우기도 하고, 삼랑진읍 율동리에서는 책, 연필, 도끼, 낫 등을 놓기도 한다.

[절차]

제의 준비는 금기를 지키는 것으로 시작된다. 영등제를 지내는 집안에는 엄격한 금기가 수반되었는데, 대문에 금줄을 치고 담장 주변에 소금을 뿌려 부정을 막았으며, 마을 내 초상이나 출산이 있으면 새로 날을 잡아 제를 지내야 하였다. 제의 방식은 장독대나 부엌에 제물을 차리고 비손하는 방식이다. 제물은 정화수, 떡, 나물, 과일, 호박범벅, 오곡밥, 명태찌개 등이고 조리한 그릇째로 올리며, 메에는 식구 수대로 수저를 꽂는다. 어떤 가정에서는 장맛이 좋아진다고 믿고 메주를 함께 올리기도 한다. 제물을 차린 후에는 촛불을 켜고 절을 하지 않고 신에게 비손할 때 말로 고하는 이령수를 외며 주부가 비손한 뒤 식구 수대로 소지를 올려 소원을 빈다. 제의가 끝나면 가족들이 음복하는데, 밀양에서는 재앙이나 탈이 날 것을 염려하여 제물을 개에게는 절대 주지 않는다.

[현황]

시대적 변화의 추이에 따라 민간신앙의 전승 기반이 약화되면서 영등제를 모시는 가정을 찾기 쉽지 않다. 그러나 영동할매가 내방하는 음력 2월에는 혼사를 하지 않고 땅을 파지 않는 금기라든지, 영동할미가 며느리를 데리고 오면 비가 내리고 딸을 데리고 오면 바람이 분다는 속신은 여전히 전승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