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600449
한자 貞淑翁主 胎室碑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경기도 화성시 동탄호수2길 40[송동 727]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권기중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588년연표보기 - 정숙옹주 태실비 건립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587년 3월 19일 - 정숙옹주 출생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1627년 11월 5일 - 정숙옹주 사망
문화재 지정 일시 2019년 10월 24일연표보기 - 정숙옹주 태실비 화성시 유형문화재 지정
현 소재지 정숙옹주 태실비 - 경기도 화성시 동탄호수2길 40[송동 727]지도보기
성격 태실비
양식 영봉형 비두
관련 인물 정숙옹주
재질 석재
크기(높이, 너비, 두께) 183㎝[비좌 제외 높이]|47㎝[비신 너비]|15㎝[비신 두께]|95㎝[비좌 너비]|43㎝[비좌 높이]
소유자 화성시
문화재 지정 번호 화성시 유형문화재

[정의]

경기도 화성시 송동에 있는 조선 전기 태실비.

[개설]

정숙옹주 태실비는 조선 선조와 인빈 김씨의 딸인 정숙옹주(貞淑翁主)[1587~1627]의 태실비이다. 태실은 왕실 자녀의 태를 전국 길지에 봉안하는 것으로, 신라에서 시작되어 조선 전기에 이르러 왕실 문화로 정착되었다. 조선 시대에 태는 태아의 생명력을 상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졌으며, 태의 보관은 곧 국운과 연관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이처럼 태를 소중히 여겼기 때문에 조선 왕실에서는 왕자 또는 공주의 태를 보관하기 위해 태실을 조성하고 태실비를 세웠다.

[위치]

정숙옹주 태실비는 동탄호수 인근 태봉산 정상에 있다.

[형태]

정숙옹주 태실비는 받침돌, 몸돌, 머릿돌로 구성되어 있다. 몸돌과 머릿돌은 하나의 돌로 제작하였고, 받침돌은 별개의 돌로 만들었다. 머릿돌은 둥근 반원형이며, 연잎과 연 줄기가 장식되어 있다. 머릿돌의 맨 위에는 연꽃 봉오리가 조각되어 있다. 받침돌의 윗면은 복련으로 덮여 있고, 측면에는 눈처럼 생긴 모양이 조각되어 있다.

[금석문]

정숙옹주 태실비의 앞면에는 '왕녀아지씨태실(王女阿只氏胎室)', 뒷면에는 '황명만력십육년 칠월십일일 을시립(皇命萬曆十六年 七月十一日 乙時立)'이라고 적혀 있다. 앞면의 명문을 통해 태실비의 주인공이 왕녀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뒷면의 만력 16년은 1588년(선조 21)에 해당한다. 선조의 왕녀 가운데 1588년 출생한 사람은 없기 때문에, 1587년에 출생한 정숙옹주가 태실비의 주인공으로 보인다.

[현황]

정숙옹주 태실비는 2019년 10월 24일 화성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정숙옹주 태실비는 경기도 화성시 관내에서 확인된 유일한 태실비이며, 훼손 없이 온전하게 남아 있어 가치가 높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